|
![]() 우암산은 청주의 동쪽에 있는 우리 지역의 진신(鎭山)으로서, 옛 문헌에는 와우산(臥牛山)또는 목암산(牧巖山)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우암산은 절이 많았던 곳으로 지금도 용암사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수많은 사찰이 모여 있으며, 멀리 흥덕사지와 무심천이 한 눈에 들어오는 안산(案山)이기도 합니다. 우암산 중턱에 자리한 관음사는 고려 때 창건된 계향사의 옛 절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적 끊어진 절터에 인봉노사가 60여 년 전에 관음사라 이름 짓고 임시로 초암을 지은 것이 관음사의 초창입니다. 그리고 83년에 지금의 회주(會主)이신 이두 큰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도량을 일신하고 중창불사를 거듭하면서 관음사는 법주사의 수말사로서의 사격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어찌 보면 계향사의 옛 가람을 복원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동안 중창불사를 해오면서 포교와 교육에 소홀함이 많았습니다. 이제 관음사는 청주지역의 대표사찰로서 전법도생에 그 역할을 다하면서 충북의 중심사찰로서 거듭 발전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다양한 문화와 매체를 통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에 앞장설 것이며, 복지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관음사는 매년 다양한 문화행사와 음악회를 개최하여 불교문화를 통한 열린 사찰로서의 기능을 어느 정도 담당하여 왔습니다. 이 즈음 인터넷은 불법을 알리는 또 하나의 좋은 매체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부처님의 향기를 전하고 가르침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인터넷은 누구나 이용하는 매체로서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으로 불법을 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반인에게 올바른 불교의 지식을 알리고 청소년에게 친근한 불교의 이미지를 심어주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관음사는 사이트 개설을 계기로 도심 포교당으로서 더욱 정진할 것이며, 아울러 홈페이지를 모범적으로 운영하여 많은 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사이버 법당이 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아울러 관음사 가족들을 비롯하여 사부대중이 다녀가는 신앙의 공간으로서도 손색이 없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입니다. 차근차근 관음사 사이트를 둘러보시길 바라며, 좋은 인연 맺을 수 있기를 염원합니다. 다시 한번 관음사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들에 감사드리며, 이 인연으로 모든 일이 원만히 성취되길 발원하면서 여러분들의 가정에 부처님의 가피와 은혜가 늘 함께 하시길 축원 드립니다. 모두 좋은 날 되십시오. 불기 2548년 2월
우암산(牛岩山) 관음사(觀音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의 수말사로서 청주지역의 대표적인 사찰 가운데 하나다. 관음사는 도심지에 인접한 산지가람이면서 사명(寺名)에서 알 수 있듯 관음신앙의 근본도량이기도 하다.
|
![]() |
|
|
■ 극락보전에 대하여
극락전 혹은 극락보전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교주이시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과 그 협시보살들을 모시 법당이다. 사찰에 따라서 미타전, 아미타전, 무량수전, 수광전이라고도 하는데, 일부사찰의 경우에는 극락전이 사찰의 주된 전각이 되는 경우도 있다.
● 극락보전의부처님
극락보전에는 아미타부처님과 그분의 협시보살로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혹은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이 모셔진다.
일찍이 아미타부처님이 법장비구로 수행하던 시절에 그 유명한 48대원을 세워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모든 것이 아름답기 그지없는 서방의 극락정토를 건설하였다고 한다. 그때 세웠던 서원에 따라 누구나 일념으로 '아미타불'이란 명호만을 불러도 극락에 왕생시켜 괴로움을 물리치고 불도에 정진할 수 있도록 해 주시는 대자대비하신 분이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에서 아미타불신앙은 예로부터 사후신왕과 관련하여 서민들의 마음 속에 깊이 자리잡아 왔다.
따라서 전국의 사찰에는 아미타부처님이 석가모니부처님 다음으로 많이 모셔져있다.
아미타부처님은 설법인을 취하고 있거나 미타정인(九品印)이라고 부르는 다양한
수인을 하고 계신다.
■ 관음사 극락보전 사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