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 휴게소 팁 - 프레임 팁 (A) - 한 개 이상의 Iframe에 타깃을 주는 방법
내부 프레임(inline frame ; iframe)이나 링크에 타깃을 주는 방법들은 대부분 인지하고 계실것입니다. 중복되는 팁이지만
재 정리해서 등록합니다. 하나의 링크를 설정해 두고 클릭시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링크시킨 웹 문서를 불러 들이거나
하나 이상의 내부 프레임에 동시에 웹 문서들을 불러들이는 방법입니다. 먼저 아래의 [미리보기] 버튼을 눌러 확인해 봅니다.
[소스 예문]
위에서 링크열기 를 클릭했을 때 설정한 두 개의 내부프레임(iframe)에 동시에 testlink5.html 문서와 testlink6.html 문서가 각
프레임에다가 열어줍니다. 하이퍼링크의 testlink5.html 문서의 타깃을 ifrm1으로 주었으므로 ifrm1 이란 이름을 가진
프레임에 testlink5.html 문서를 열어주는 것이며 또한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 이라는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해 다음 링크를 걸어줍니다.
위 소스의 a 태그안에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window.frames['ifrm2'].location='testlink6.html'" 부분으로 클릭시 a 태그의 src 에 연결된
링크페이지를 열면서 동시에 클릭 이벤트를 받아 이 이벤트에 연결된 링크를 열어주는 것입니다.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 이벤트 핸들러는 마우스
버튼을 클릭했을 때 어떤 행동을 이행하라는 스크립트 코드입니다. 클릭했을 때 설정한 testlink6.html 문서를 지정한 방식(타깃)
에 따라 연결해 주는것이며 위에서는 ifrm2 가 타깃입니다. 따라서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에 연결된 링크는 ifrm2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프레임에
testlink6.html 문서를 열어 줍니다. 설정방법은 아래 형식에 따라서 만들어 줍니다.
위 예문에서 필요할 경우 프레임을 더 추가해 줄 수 있으며 위 예문에서 하나를 더 추가해 3 개의 프레임을 이용하려면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window.frames['ifrm2'].location='testlink6.html'" 에서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 부분의
window.frames['ifrm2'].location='testlink6.html' 이 스크립트 뒤에다가 똑같은 구문형식으로 하나를 더 추가해 줍니다.
window.frames['ifrm3'].location='문서3.html'" 이런씩으로 추가해 주되 앞의 스크립트와의 별개의 스크립트 이므로
앞 부분에 세미콜론 부호 ; 으로 연결해 줍니다. 아래와 같이...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click="window.frames['ifrm2'].location='testlink6.html' ; window.frames['frame3'].location='문서3.html'"
그리고 <iframe name="ifrm3" width="가로크기" height="세로크기" src="" frameborder="1"></iframe> 이렇게 내부 프레임을
하나 더 추가해 넣어주면 클릭시 해당 이름(ifrm1,ifrm2,ifrm3)을 가진 프레임에다가 각각 열어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