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연, 3월 28일 스터디 자료
심화 학습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1.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이 보조 형용사인 것은?
① 나는 너를 생각해 본다.
② 철수가 장대 높이를 높게 한다.
③ 하던 일이 잘 되어 간다.
④ 산 너머에 비가 오나 보다.
⇒
대체로 본용언의 동사와 같이 활용하면 - 보조 동사
본용언의 형용사와 같이 활용하면 - 보조 형용사
그러나 ③과 같이 형용사 '잘되어' 뒤에 보조 동사 '간다'가 올 수 있다.
또한 ④와 같이 동사 '오나' 뒤에 보조형용사 '보다'가 올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④의 보다는 '눈'으로 '보다'(동사)가 아니라 느낌 같은,
'오나'를 도와주는 보조 형용사이다.
① 본다 - 본용언, 동사 ② 높게 한다 - 사동사
2. 다음에서 동사에만 해당되는 불규칙 용언은?
① 'ㄷ' 불규칙 ② 'ㅂ' 불규칙 ③ 'ㅎ' 불규칙
④ 'ㅅ' 불규칙 ⑤ '러' 불규칙
⇒
① 'ㄷ' 불규칙(동사에만 있다) : 'ㄷ' → 'ㄹ'로 바뀐다.
듣다, 걷다, 일컫다, 긷다, 묻다(물음) → 들어, 걸어, 일컬어, 길어, 물어 (동사)
② 'ㅂ' 불규칙 : 'ㅂ' → '오' '우'로 바뀐다.
굽다, 깁다, 눕다, 돕다, 곱다, 아름답다 → 구워, 기워, 누워, 도와, 고와, 아름다워
③ 'ㅎ' 불규칙(형용사에만 있다) : 'ㅎ'이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 '아' '어' → '애'로 바뀐다.
파랗다, 노랗다, 빨갛다 → 파란, 파래지다, 노란, 노래지다, 빨간, 빨개지다(형용사)
④ 'ㅅ' 불규칙 : 'ㅅ'이 어미 앞에서 탈락된다.
잇다, 젓다, 긋다, 낫다, 짓다 → 이어, 이으니, 지어, 지으니, 저어, 저으니, 나아, 나으니
⑤ '러' 불규칙 : 이르다(도착), 누르다(황색), 푸르다 - 3가지 뿐, 어미 '어'가 '러'로 바뀌어 나타난다.
→ 이르러, 누르러, 푸르러
3. 다음에서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 용언의 활용은?
① 곱+아 → 고와 ② 파랗+ㄴ → 파란
③ 짓+어 → 지어 ④ 기쁘+어 → 기뻐
⑤ 듣+어 → 들어
⇒
문제 2번 ☊ 해설 참조, '기쁘+어 → 기뻐'로 'ㅡ'가 탈락
'ㅡ' 탈락, 'ㄹ' 탈락, 자음 동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등은 음운 규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① 'ㅂ' 불규칙 ② 'ㅎ' 불규칙 ③ 'ㅅ' 불규칙 ⑤ 'ㄷ' 불규칙
4. 다음에서 'ㄷ' 불규칙 용언에 속하는 것은?
① 닫다[닫을 폐(閉)] ② 묻다[묻을 매(埋)] ③ 믿다[믿을 신(信)]
④ 걷다[걸음 보(步)] ⑤ 얻다[얻을 득(得)]
⇒
문제2번 ☊ 해설 참조, 'ㄷ'이 'ㄹ'로 바뀐다. ④ 걷다 → 걷고, 걸어, 걸으니
5. 다음에서 'ㅅ' 불규칙 용언에 속하는 것은?
① 낫다 ② 솟다 ③ 빗다
④ 웃다 ⑤ 빼앗다
⇒
문제2번 ☊ 해설 참조, 'ㅅ'이 어미 앞에서 탈락 ① 낫다 → 낫고, 나아, 나으니
6. 다음에서 'ㅂ' 불규칙 용언에 속하는 것은?
① 접다 ② 입다 ③ 깁다
④ 좁다 ⑤ 뽑다
⇒
문제2번 ☊ 해설 참조, 'ㅂ' → '오' '우'로 바뀐다. ③ 깁다 → 깁고, 기워, 기우니
7. 다음 문장에서 불규칙 용언은 모두 몇 개가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