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학교에서 일본어선생님께서 열전도도가 가장 큰 게 뭐냐고 여쭈어보셨는데요.
제가 당시 열전도도하고 전기전도도하고 헤깔려서
당. 당. 히 ;;;; 은 다음에 구리라고 대답을 했는데요.
다시생각해 보니까 아니더라구요;;
근데 네이버에서 찾아봐도 잘 안나오더라구요;
전기전도도하고 열 전도도는 비례관계인가요?? (온도가 일정하다면; )
그리고 열 전도도가 큰 게 꼭 금속은 아닌것 같더라구요;
찾아보니까;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튜브가 열전도도가 100%에 가깝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열 전도도가 큰 것들은 또 어떤게 있나요;;
그 중 금속은 어떤게 있을 까요???;;;;
첫댓글 아마 서로 관련성이 있을 껄요? 젤 쉽게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사실은, 부도체 보다 도체가 더 빨리 열 전달을 한다는 것입니다. 즉, 열전달에 여러가지 작용이 있지만 금속의 경우 자유전자가 이동하기 쉬우니 자유전자에 의한 열 전송 효과때문에 열전도도가 클 겁니다.
탄소 나노튜브처럼 금속 뿐만 아니라 전도성을 가진 물질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현재 관심 많이 받는 것 중에 하나가 OLED TV 에 쓰이는 전도성 유기물이죠..
열도 전자의 진동에 의한거라공 알고있는데..ㅎㅎ 그러면 초전도체의 경우 열전도 경향이 어떻게 되나요?
열전도되다가 임계온도를 넘어가면ㅋ 그리고 아무리 초전도체라도 전기적인 와류(????자세한건...)로인해 저항이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가 금속이었군요.. -_-;;;;;
음... 분류하기 나름인데요... 보통 금속은 주기율표에 금속이라 분류한 것을 기준으로 말할 겁니다. 탄소나노튜브는 금속은 아니고, 전도성 유기물이라가 합니다. 즉. 금속은 뭉쳐있기만 하면 전류가 흐르지만, 탄소나노튜브는 뭉치는 모양이 나노튜브 형태로 되어야만 하죠.. 탄소의 경우 흑연구조에서도 전류가 흐르지만, 다이아몬드 구조에서 흐르지 않으니, 금속과 구별이 잘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