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조9378억원, 전년비 47%↑
고금리·경기침체 "빚 못갚아"
https://www.dailian.co.kr/news/view/1327714/?sc=Naver
국내 4대 금융그룹이 떠안고 있는 부실채권이 한 해 동안에만 2조500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8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빚을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늘면서 대출 연체율이 높아진 탓이다. 올해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 등 불확실성 속에 대출 부실 우려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그룹의 고정이하여신(NPL) 규모는 총 7조9378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47.0%(2조5381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NPL비율도 0.35%에서 0.50%까지 치솟았다.
은행은 대출을 부실 위험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으로 나눈다. 고정 여신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으로 채권 회수에 위험이 발생한 여신이다. 은행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으로 관리하고, 부실채권(NPL)으로 분류한다.
4대 금융의 NPL은 1년 만에 2조원이 넘게 확대됐다. 대손충당금 확충과 상당 수준의 부실채권 매각에도 그 규모가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각 사별로는 ▲KB 2조5078억원(NPL비율 0.57%) ▲신한 2조1830억원(0.56%) ▲하나 1조9500억원(0.49%) ▲우리 1조2970억원(0.35%)으로 집계됐다.
핵심계열사인 은행의 부실채권 비중도 눈에 띄게 늘었다. 4대 시중은행의 NPL 규모는 같은 기간 24.2% 늘어난 3조3860억원을 기록했다. 신한은행만 7930억원에서 7870억원으로 NPL 잔액이 줄고, KB(1조1550억원)·하나(8780억원)·우리은행(5660억원)의 NPL잔액은 모두 증가했다.
이들 은행들의 NPL규모가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이후 대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리인하가 지연되는 사이 중소기업이나 금융취약층의 채무 상환능력이 급격히 악화돼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연체율도 2022년 말 평균 0.20%에서 지난해 말 0.25%로 0.05%포인트(p) 올랐다. 국민은행은 0.16%에서 0.22%로, 신한은행은 0.21%에서 0.26%로, 하나은행은 0.20%에서 0.26%로, 우리은행은 0.22%에서 0.26%로 일제히 연체율이 뛰었다.
지난해 건설업 대출을 늘린 것이 부메랑으로 돌아왔다는 분석이다. 지난 1년 동안 신한은행은 0.34%에서 0.79%로, 하나은행은 0.17%에서 0.33%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0.39%로 건설업 연체율이 올랐다. 국민은행만 0.28%에서 0.27%로 소폭 낮아졌다.
이에 따라 은행을 포함한 금융그룹들은 지난해 9조원에 가까운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부실 대비를 압박하자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렸다. 지난해 4대 금융이 쌓은 대손충당금은 8조9260억원으로 지난해(5조2079억원)보다 71.4% 늘었다. 각각 ▲KB 3조790억원 ▲신한 2조2512억원 ▲하나 1조7148억원 ▲우리 1조8810원이다.
대손충당금 9조, 부실채권 8조
올해는 얼마나 더 필요할까? ㅋㅋㅋㅋ 지옥으로 가자..
첫댓글 답답하네요, 이제 시작인데...
당장 5월 경기대응완층자본 1% 쌓아야 합니다.
그리고, 또 필요하면~~쌓고 쌓고 더 쌓고..
24년 은행 순이익 뚝 떨어질 것 입니다.
배당도 줄고요.
벌써 8조 부실채권이면~~
금감원이 난리치는 이유겠죠.
충당금, 충당금 더 쌓아라.
발등의 불이 크게 번지고 있네요.
이런데 무슨 대출이냐.
은행도 망할 것 같은데~~
제2금융권, 여전사는 내놓은 자식 되려나..
각자도생이네요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