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아서 보기만하면 으르렁 거리며 싸우는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를 비유한 말이다.
犬 : 개 견(犬/0)
猿 : 원숭이 원(犭/10)
之 : 갈 지(丿/3)
間 : 사이 간(門/4)
(유의어)
불구대천(不俱戴天)
불구재천(不俱戴天)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빙탄지간(氷炭之間)
사이가 아주 나쁜 두 사람 사이를 말하는 견원지간(犬猿之間)의 개와 원숭이는 실제로 사이가 나쁜가.
개와 원숭이 모두 야생이었을 때 후각이 예민한 개가 몸집이 작은 원숭이가 만만해 먹잇감으로 잡아먹으려 하니 서로 으르렁대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미뤄 짐작한다.
원숭이는 복종심이 강한 동물이라 강한 상대엔 등을 보이며 달아나는데 개는 등을 보이면 자기보다 약하다고 바로 공격한다고 한다.
이들이 불화하는 이유를 동물학자들이 밝힌 바로는 신호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즉 기분이 좋을 때 원숭이는 꼬리를 내리는데 개는 올리고, 기분이 상하면 반대로 원숭이가 올리고 개는 내리니 오해에서 오는 대적 관계로 숙명이란다.
중국에 이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런가 하지만 실제 쓰인 곳은 많지 않다.
중국 명(明)나라 때 오승은(吳承恩)이 쓴 장편 신괴(神怪) 소설 서유기(西遊記)에 개와 원숭이 싸움이 그려져 있다.
돌에서 태어난 원숭이 손오공(孫悟空)은 도술을 써서 천제의 궁전이 발칵 뒤집히는 소동을 벌인 죄로 500년 동안 오행산(五行山)에 갇혀 있었는데, 삼장법사(三藏法師)가 지나가는 길에 구출해 준 뒤 수행하며 벌이는 이야기다.
손오공이 도술을 부려 난리를 피우자 관세음보살이 막기 위해 제자를 보냈으나 날뛰는 원숭이의 비법엔 속수무책. 천계에서 할 수 없이 회의 끝에 옥황상제의 조카로 무술이 천하제일이라는 이랑진군(二郞眞君)에게 도움을 청했다.
손오공과의 싸움에 지쳐있던 지상의 군부는 이랑진군을 환영하고, 이랑진군은 군부를 안심시키고 손오공과 싸움을 시작한다. 손오공 역시 이랑진군을 대비하여 전열을 정비하고 둘은 건곤일척의 승부수를 띄운다.
진군의 황금칼이 예상보다 강했던 지라 둘의 싸움은 그야말로 막상막하의 혈투였다. 하지만 무기를 가지고 싸우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진군은 괴물로 변신하여 손오공을 압박하고, 손오공 역시 변신술로 응수한다.
둘의 천하를 흔드는 싸움에 화과산의 원숭이들은 발만 동동 구를 뿐 싸움에 개입하는 원숭이는 한 마리도 없었고, 진군의 진중에서 개떼를 풀어 원숭이들을 습격했다.
여기에 놀란 원숭이들은 무기를 버리고 모두 뿔뿔이 흩어지고, 이에 낙심한 손오공은 여의봉을 귓속에 감추고 참새로 변해 나무위로 날아오른다.
손오공의 변신술을 알아챈 진군 역시 매로 변해 손오공을 압박하고 둘의 변신술에 양쪽의 군사들은 갈채를 보냈다고 한다.
서유기에 등장하는 손오공과 이랑진군과의 대결 부분부터 개와 원숭이는 서로 이빨을 드러내고 으르렁 거리는 사이가 되었고, 사람들은 둘의 모습을 '견원지간'이라는 한자어로 부르기 시작하여 오늘날 사이가 나쁜 사이를 가르켜 견원지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중국 사람들은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늘 다투는 것으로 보았지만 우리는 아옹다옹이란 말이 있듯 고양이와 개가 사이가 안 좋다고 보았다. 야옹은 고양이 소리고 다옹은 개의 소리를 나타냈다고 한다.
일본은 전국시대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별명; 원숭이)와 시바타 카츠이에(별명; 개)의 싸움을 두고 하는 말이라 한다.
둘은 자신들의 주군인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사의 변으로 자살하자 서로 일본의 패권을 두고 다투게 된다. 결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압승으로 끝난다. 일본발 사자성어인 셈이다.
유명인 사이에서도 일반인 사이에서도 犬猿之間은 있다. 이번 리스트를 남기고 떠난 고 성완종과 이완구 총리가 막판 사이가 좋았을 리 없고 야당의 친노와 비노, 여당의 친박과 비박 사이도 속으로 으르렁 거린다.
만나면 쳐다보지도 않는 불공대천(不共戴天)의 원수 사이라면 몰라도 서로 이기거나 앞서려고 하는 라이벌 같은 사이라면 조직의 발전을 위해 오히려 권장할 만하다.
▶️ 犬(개 견)은 ❶상형문자로 犭(견)은 동자(同字)이다. 犬(견)은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한자는 그것의 제일 두드러진 곳을 강조한 것이다. 소와 양은 뿔을, 말은 갈기를 개는 짖는 입을 각각 특징으로 본뜬 자형(字形)이다. 犬(견)은 다른 글자의 변이 되면 개사슴록변(犭=犬; 개)部로 쓴다. ❷상형문자로 犬자는 '개'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갑골문 이전의 문자라고도 하는 도문(陶文)에도 犬(개 견)자가 발견될 정도로 개는 인류와 매우 친숙한 동물이었다. 그래서인지 갑골문에서는 마치 재롱을 피우듯이 꼬리를 추어올린 개가 그려져 있었다. 犬자는 이렇게 꼬리가 강조된 개를 그린 것으로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개'나 '개의 행동', '짐승'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犬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犭자로 바뀌기도 하며 狐(여우 호)자나 狼(이리 랑)자처럼 개와 비슷한 부류의 동물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犬(견)은 ①개(갯과의 포유류) ②겸칭(謙稱), 자신(自身)이나 자식(子息)을 낮춤 ③하찮은 것의 비유 ④남을 멸시(蔑視)하는 말 ⑤서쪽 오랑캐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개와 말을 견마(犬馬), 송곳니를 견치(犬齒), 개가죽을 견피(犬皮), 개와 고양이를 견묘(犬猫), 개와 원숭이를 견원(犬猿), 개가 짖음을 견폐(犬吠), 주인에게 충실한 개를 충견(忠犬), 사냥 때 부리는 매와 개를 응견(鷹犬), 군사 목적에 쓰이는 특별히 훈련된 개를 군견(軍犬), 사나운 개를 맹견(猛犬), 사랑하는 개를 애견(愛犬), 이름난 훌륭한 개를 명견(名犬), 개끼리 싸움으로 붙임 또는 거기에 쓰이는 개를 투견(鬪犬), 개와 원숭이의 사이처럼 매우 사이가 나쁜 관계를 일컫는 말을 견원지간(犬猿之間), 개나 말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 또는 윗사람에게 바치는 자기의 노력을 낮추어 말할 때 쓰는 말을 견마지로(犬馬之勞),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양자의 싸움에서 제3자가 이익을 봄을 이르는 말을 견토지쟁(犬兔之爭),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에게 충성을 다해서 몸을 바치는 자기 마음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견마지심(犬馬之心), 자기 나이를 낮추어 일컫는 말을 견마지년(犬馬之年), 개나 말의 정성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정성 또는 남에게 자기가 바치는 정성을 아주 겸손하게 일컫는 말을 견마지성(犬馬之誠), 개나 말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더하듯이 아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먹는 일 또는 자기 나이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견마지령(犬馬之齡), 개나 말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더하듯이 아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먹는 일 또는 자기 나이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견마지치(犬馬之齒), 개나 말의 봉양이라는 뜻으로 부모를 봉양만 하고 경의가 없음 또는 봉양만 하는 것은 효도가 아니라는 뜻을 이르는 말을 견마지양(犬馬之養),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의 싸움에 제삼자가 이익을 봄을 이르는 말을 견토지쟁(犬兎之爭), 개의 어금니가 서로서로 맞지 않는 것같이 국경선이 볼록 나오고 오목 들어가 서로 견제하려는 형세를 일컫는 말을 견아상제(犬牙相制), 원래의 뜻은 동쪽 닭과 서쪽 개가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뜻으로 닭 우는 소리와 개가 짖는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들린다 하여, 인가가 잇대어 있음을 이르는 말을 계견상문(鷄犬相聞), 폭군 걸왕의 개도 성왕 요임금을 보면 짓는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아랫 사람을 진심과 믿음으로 대하면 아랫사람은 자기 상관에게 충성을 다하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걸견폐요(桀犬吠堯), 고을 개가 무리지어 짖는다는 뜻으로 소인들이 남을 비방함을 이르는 말을 읍견군폐(邑犬群吠), 가라말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들을 가치가 없는 이야기나 보잘것없는 문장을 이르는 말을 여명견폐(驪鳴犬吠) 등에 쓰인다.
▶️ 猿(원숭이 원)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개사슴록변(犭=犬; 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袁(원)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猿(원)은 원숭이를 뜻한다. 용례로는 원숭이의 가죽을 원피(猿皮), 원숭이를 원후(猿猴),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원소(猿嘯), 원숭이의 팔이라는 뜻으로 팔이 길고 힘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원비(猿臂), 원숭이를 미원(獼猿), 개와 원숭이를 견원(犬猿), 자루 속에 든 원숭이라는 뜻으로 꼼짝할 수 없는 상태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대원(帒猿), 유인원과에 딸린 원숭이의 통틀어 일컬음을 유인원(類人猿), 형세가 좋을 때는 진격하고 형세가 나쁠 때는 퇴각함을 원비지세(猿臂之勢), 마음은 원숭이 같고 생각은 말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안정되지 않아 생각을 집중할 수 없다는 심원의마(心猿意馬), 새장에 든 새와 우리에 같힌 원숭이라는 뜻으로 속박되어 자유가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농조함원(籠鳥檻猿), 어미 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슬픔과 애통함을 형용해 이르는 말을 모원단장(母猿斷腸)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間(사이 간)은 ❶회의문자로 簡(간)과 통자(通字), 閒(간)은 본자(本字)이고, 间(간)은 간자(簡字)이다. 옛날엔 門(문)속에 月(월; 달)을 쓰거나 또는 門(문)속에 外(외)를 쓰기도 하였다. 중국에서는 집의 대문이나 방문을 모두 門(문)이라 한다. 閒(한)은 방문으로 달빛이 비치다에서 틈을 말하고, 후에 間(간)자가 생겨 間(간)은 사이, 閒(한; 閑(한)은 '여가' 또는 '조용함'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❷회의문자로 間자는 '사이'나 '틈새'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間자는 門(문 문)자와 日(해 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금문과 소전에서는 月(달 월)자가 들어간 閒(틈 한)자가 '틈새'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閒자는 어두운 밤 문틈으로 달빛이 비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어두운 밤에야 달빛을 통해 문틈이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으니 閒자가 '틈새'라는 뜻을 더 잘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후에 閒자가 시간에 틈이 있다는 의미에서 '한가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자 해서에서는 間자가 만들어지면서 '틈새'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間(간)은 (1)집 간살의 수효(數爻)를 세는 말 (2)집 간살의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보통 일곱 자(210cm) 평방 또는 여덟 자(240cm)나 아홉 자(270cm) 평방을 이름 (3)여섯 자 곧 180cm를 단위로 하여 거리를 세는 이름 (4)성(姓)의 하나 (5)둘의 사이 (6)주로 간에로 쓰이어 어느 경우든지 가릴 것 없이의 뜻을 나타내는 말 (7)무엇이 존재하거나 또는 무엇으로 사용되는 곳이라는 등의 뜻으로 ①사이 ②때 ③동안 ④차별(差別) ⑤틈, 틈새 ⑥간첩(間諜) ⑦혐의 ⑧사사로이 ⑨몰래, 비밀히 ⑩간혹 ⑪사이에 두다, 끼이다 ⑫섞이다 ⑬이간하다(헐뜯어 서로 멀어지게 하다), 헐뜯다 ⑭간소하다 ⑮검열하다 ⑯엿보다 ⑰살피다 ⑱틈을 타다 ⑲섞이다 ⑳참여하다 ㉑범하다 ㉒차도(差度)가 있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사이 뜰 격(隔), 틈 극(隙), 한가할 한(閑)이다. 용례로는 한 작물 사이에 딴 작물을 심어 가꿈을 간작(間作), 어떤 한 곡 도중에 삽입하여 연주하는 것을 간주(間奏), 물건과 물건과의 거리를 간격(間隔), 군음식을 먹음을 간식(間食), 주기적으로 그쳤다 일어났다 함을 간헐(間歇), 어쩌다가나 가끔을 간혹(間或), 잠깐 끊임이나 쉴 사이를 간단(間斷), 군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을 간식(間食), 사물 사이의 틈을 간극(間隙), 하루 또는 며칠씩 거름을 간일(間日), 차이 따위와 함께 쓰이어 순간적이거나 아주 적음을 나타내는 말을 간발(間髮),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를 시간(時間), 극히 짧은 시간을 순간(瞬間), 어느 일정한 시기에서 어떤 다른 일정한 시기까지의 사이를 기간(期間), 일반 백성의 사회를 민간(民間), 한 해 동안을 연간(年間), 그리 멀지 않은 과거로 부터 현재까지의 동안을 저간(這間), 일정한 지점 간의 사이를 구간(區間), 두 사물의 사이를 중간(中間),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라는 뜻으로 약한 자가 강한 자들 사이에 끼여 괴로움을 받음을 이르는 말을 간어제초(間於齊楚),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뛰어난 인재를 일컫는 말을 간세지재(間世之材), 머리털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사태가 단단히 급박하여 조그마한 여유도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간불용발(間不容髮), 세상에 드문 뛰어난 인물을 일컫는 말을 간기인물(間氣人物), 개와 원숭이의 사이처럼 매우 사이가 나쁜 관계를 일컫는 말을 견원지간(犬猿之間), 눈 한 번 깜짝하거나 숨 한 번 쉴 사이와 같이 짧은 동안을 일컫는 말을 순식간(瞬息間), 얼음과 숯 사이란 뜻으로 둘이 서로 어긋나 맞지 않는 사이 또는 서로 화합할 수 없는 사이를 일컫는 말을 빙탄지간(氷炭之間), 세 칸짜리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보잘것 없는 초가를 이르는 말을 초가삼간(草家三間), 복수 강가의 뽕나무 숲 사이라는 뜻으로 음란한 음악 또는 망국의 음악을 일컫는 말을 상간복상(桑間濮上), 손짓하여 부르면 대답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를 일컫는 말을 지호지간(指呼之間), 서로의 차이가 썩 심함 또는 썩 심한 차이를 이르는 말을 천양지간(天壤之間), 잠을 자면서 꿈을 꾸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사물을 좀처럼 잊지 못함이나 이룰 수 없는 일에 너무 지나치게 몰두함을 이르는 말을 몽매지간(夢寐之間), 한 말들이 말 만한 작은 집이란 뜻으로 한 칸밖에 안 되는 작은 집을 이르는 말을 일간두옥(一間斗屋), 풀 사이로 민간에서 삶을 구한다는 뜻으로 욕되게 한갓 삶을 탐냄을 이르는 말을 초간구활(草間求活)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