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 수렁에 빠진 새 / 堇(근)
堇
진흙(근)1 |
끈적끈적한(卄) 입(口)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丨)
2층(二) 구조의 흙(土) |
卄 손 맞잡을(공)
스물(입) |
진흙(菫) |
菫 →漢 한수(한)
한나라 |
艱
어려울(간)1 |
길을 잘못 들어, 진흙 수렁에(菫) 그치어(艮) 빠져들면 |
艮 그칠(간) |
어려운(艱), 간난(艱難)을 겪게 된다. |
간난 → 가난 |
勤
부지런할(근)4 |
그 진흙(菫) 수렁에 빠졌을 땐 힘을(力) |
力 힘(력) |
부지런히(勤) 써야 |
勤勉(근면) |
僅
겨우(근)3 |
사람도(亻) |
人( 亻 ) |
겨우(僅) 빠져 나올 수 있음인데 |
僅僅(근근) 僅少(근소) |
難
어려울(난)4 |
하물며 작은 새가(隹) 진흙(菫) 수렁에 빠져 |
隹 새(추)
|
허우적거리며, 곤란(困難)을 겪고 있는 꼴이란... |
難關(난관) |
謹
삼갈(근)3 |
아무튼 모든 이에게 말하여(言) 주고 싶다.
진흙길은(菫) |
言 말씀(언) |
삼가라며(謹)..... |
謹身(근신) 勤愼(근신) |
覲
뵐(근)1 |
(응용) |
|
한동안 못가서,
삼가던(謹) 곳을 찾아 뵈다(見) |
謹(菫) 見 볼(견) |
饉
주릴(근)1 |
한동안 식량(食) 생산이 삼가되어져(謹) |
謹(菫) 食糧(식량) |
굶주리다(饉) / 기근(飢饉)이 들다 |
饑饉(기근) |
瑾
아름다운
옥(근)2 |
모든 좋은 옥을(王) 물리치게(謹.삼가게)하는 |
玉(王) 謹(菫) |
아름다운 옥(瑾) |
瑾瑜(근유) |
槿
무궁화(근)2 |
(쉴새없이) 부지런히(勤) 꽃피우는 나무(木) |
勤(菫) |
무궁화(槿) / 근화(槿花) |
花 꽃(화) |
灘
여울(탄)2 |
물살이(氵) 빨라 건너기 어려운(難) |
水(氵)
難 어려울(난) |
여울(灘) |
玄海灘(현해탄) |
漢
한수(한)5 |
중국 양자강변(氵) 진흙땅의(菫) 큰(大) 나라인 |
江(氵); 강(강)
揚子江(양자강)/양쯔강 |
한나라는(漢)
유방(劉邦)이 진(秦)나라를 멸하고 세운 나라이다. |
漢文(한문) |
|
전한(前漢)의 수도는 장안(長安)이며
후한(後漢)의 수도는 낙양(洛陽.뤄양)이다. |
장안;전한.수,당의 수도 |
漢字(한자);먼 옛날 ‘창힐’이라는 사람이 창제한 중국 글자
漢族(한족);중국 본토의 민족 |
字글자(자) 族겨레(족) |
嘆
탄식할(탄)3 |
한나라(漢) 사람이 끝없는 진흙길을 걷다가
한숨을(口) 쉬며 |
氵생략현상(탈락)
口 입(구) |
자신의 신세를 탄식하다(嘆). |
身世(신세) 嘆息(탄식) |
歎
탄식할(탄)3 |
힘든 진흙길을(菫) 걷다가 한숨을 쉬며(欠) |
欠 빠질(흠)
吹(欠); 불(취)/ 불다 |
탄식(歎息)하고, 한탄(恨歎)하다. |
息 쉴(식) 恨한할(한) |

황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