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 |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는 말 탄 사람 모양의 토기를 뜻한다. 이런 토기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1924년 경북 경주시의 금령총에서 금관과 함께 출토된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신라 6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 쌍이다.
그런데 궁금한 것이 있다. 왜 무덤에서 나온 것일까. 그리고 왜 두 개(한 쌍)일까.
진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 중이지만 경기 의왕시 철도박물관에 가면 복제품을 만날 수 있다. 이 토기가 철도박물관에 전시된 이유는 무엇일까.
기마인물형토기는 무덤에서 출토되었으니 당연히 무덤에 묻힌 사람을 위한 부장품일 것이다. 말을 타고 있다는 건 말을 타고 편안하게 저승에 당도하라는 기원을 표현한 것이다. 즉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영생을 기원하는 신라인들의 마음이 담겨 있는 상징적인 유물이다.
이것은 기마인물형토기가 죽은 사람을 태우고 저승에 가는 일종의 교통수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철도박물관에 이 토기를 전시한 것도 교통수단과 관련된 유물이라는 판단에서였을 것이다.
국보 91호를 다시 한 번 살펴보면, 한 쌍 모두 다리가 짧은 조랑말 위에 사람이 올라앉아 있고 말 엉덩이 위에는 등잔이 붙어 있으며 앞가슴에는 물을 따르는 부리가 나와 있다. 그런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약간 작다. 큰 것은 사람과 말의 장식이 화려하고 작은 것은 그 장식이 단순하다.
크고 화려한 토기는 주인을, 다른 하나는 하인을 표현한 것이다. 주인상은 높이 23.4㎝, 길이 29.4㎝, 하인상은 높이 21.3㎝, 길이 26.8㎝. 신분의 차이를 크기에서도 알 수 있다.
주인상은 삼각모자를 쓰고 다리 위로는 갑옷을 늘어뜨렸다. 말 몸통의 장니(障泥, 말을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않도록 말의 안장에 매달아 늘어뜨리는 장비)도 하인 것에 비해 훨씬 정교하고 선도 더 아름답다. 등에는 전대(錢帶)도 차고 있다. 아마 저승 가는 데 필요한 돈, 즉 노자(路資)일 것이다.
이에 비해 하인상은 장식이 단순하다. 머리엔 수건을 동여맸고 웃통은 벗어젖혔다. 등에 짐을 지고 오른손에 방울을 들고 있다. 주인의 저승길을 안내하기 위한 하인의 차림새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기마인물형토기가 출토된 금령총에선 금관도 함께 나왔는데 금관이 왕 또는 왕족의 부장품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말을 타고 있는 주인공은 왕 또는 왕족의 한 명일 것이다.
이 한 쌍의 유물은 단순한 토기가 아니다. 신라인들의 복식과 말갖춤, 나아가 그들의 영혼관과 장례풍속을 보여 주는 소중한 문화재다. 그래서 더욱 흥미롭고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