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8413xbb7IUE
(서울=연합뉴스) 완연한 봄 날씨에 요즘 공원 등 야외에서 산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제대로 된 자세로 걷지 않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안짱걸음과 팔자걸음은 걸을 때 발의 모양에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정식명칭은 각각 '내족지 보행', '외족지 보행'입니다.
안짱걸음은 발이 안쪽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빨리 걸으면 오리처럼 뒤뚱거리고, 발끝이 부딪쳐 넘어지기도 하는데요.
반면 발을 밖으로 향하게 걷는 모습이 한자 여덟 팔(八)자와 비슷하다는 팔자걸음은 일명 '양반걸음'이라고도 불리죠.
안짱걸음은 허리와 골반을 이어주는 장요근이 수축, 이상근(골반과 허벅지 연결), 엉덩이 근육 등이 받는 힘이 증가하면서 주로 발생합니다.
단, 타고난 뼈 모양 때문에 청소년기에 보이는 안짱걸음은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좋아지기도 하는데요.
이상근과 둔부 근육이 짧아지면서 장요근의 부담이 커지는 바람에 생기는 팔자걸음은 후천적 영향이 크고, 안짱걸음보다 연령대가 높은 편입니다.
특히, 노년기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은 통증을 피하려고 자신도 모르게 팔자걸음을 택하기도 하죠.
잘못된 걸음걸이가 장시간 지속되면 허리나 골반 통증은 물론 척추·무릎 관절에 손상을 유발해 나이가 젊은데도 퇴행성 관절염이나 허리 디스크를 앓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요.
신발 굽의 특정 부분이 유난히 빨리 닳거나 정자세로 서 있는데 한쪽 바짓단이 올라가고, 똑바로 착용한 치마가 어느새 돌아가 있다면 걸음걸이에 이상이 있는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발자국을 프린트한 뒤 체중이 실린 위치 등을 살펴보는 보행 분석 검사를 통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보는 것도 방법인데요.
시중에서 쉽게 구매 가능한 깔창, 패드 등을 통한 교정 시도는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큰 만큼 의사 진단을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김나민 정형외과 전문의는 "이 같은 제품에 잘못된 자세로 적응하면 당장은 좀 편할지 몰라도 결국 몸에 무리가 간다"고 지적했습니다.
나쁜 보행 습관을 고치기 위해선 무엇보다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관건인데요.
안짱걸음은 장요근을 늘리는 동시에 이상근과 둔부근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되, 필요한 경우 도수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팔자걸음이라면 자주 뭉치는 둔부근을 풀어줘서 골반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극히 드물긴 하지만 뼈 기형으로 인한 안짱걸음, 관절염 때문에 생긴 팔자걸음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송영민 송영민자세연구소장은 "평소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스트레칭과 마사지로 족저근막·아킬레스건에 탄력을 주면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지선 기자 김서현 인턴기자
sunny1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