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련(流連)은 노는 재미에 빠져서 집에 돌아가지 않는 것이고, 황망(荒亡)은 사냥이나 술을 마시는 데 빠진다는 뜻으로, 놀러 다니기를 즐기고 주색(酒色)에 빠짐을 이르는 말이다.
流 : 흐를 류(氵/7)
連 : 이을 련(辶/7)
荒 : 거칠 황(艹/6)
亡 : 망할 망(亠/1)
(유의어)
유련망반(流連忘返)
유련황락(流連荒樂)
출전 :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下篇
아무리 부지런한 사람도 중간에 적절한 휴식이 없다면 일의 능률을 올릴 수가 없다. 자동차왕 포드(Henry Ford)는 ‘일만 알고 휴식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와 같다’고 했다.
휴식을 이렇게 예찬했다고 해서 물론 전부는 아니다. 노동 후의 휴식이 필요하지 노동 전의 그것까지 장려하지 않는다. 휴식은 좋은 일이지만 게으름이 항상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쉽게 비유한 말이 있다. 천하에서 가장 쉽게 자라는 식물이라도 하루만 햇볕을 쬐고 열흘 차게 하면 살아날 수 없다. 조금 일하고 오래 쉬거나 중단이 잦으면 성공과 거리가 멀다는 말이다. 一曝十寒(일폭십한)이라 한다.
노는 재미에 빠져 집에 돌아가지 않는 것이 유련(流連)이다. 사냥이나 주색의 즐거움에 빠지는 것이 황망(荒亡)이다. 두 말을 합쳐 이곳저곳을 놀러 다니며 주색과 유희에 빠져 본분을 잃는다는 뜻이다. 유련망반(流連忘返), 유련황락(流連荒樂)이라 해도 같다.
개인이 그렇게 해도 패가망신하는데 백성들의 윗사람인 왕이나 제후는 더욱 그래서는 안 된다고 한 맹자(孟子)의 인용에서 유래했다.
맹자의 두 번째 장인 양혜왕(梁惠王) 하편에 왕과 어진 정치에 관한 문답에서 나오는 이야기다. 위(魏)나라 왕인 혜왕(惠王)은 즉위한 뒤 대량(大梁)으로 천도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을 만났을 때 현명한 사람의 즐거움에 대해 논했다.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게 되면 천자가 유람하는 것도 자신들을 돕는 것이라며 환영했다.
그러면서 안자(晏子)가 경공(景公)에게 한 말을 예로 든다. "뱃놀이를 하며 물살을 따라 가다 돌아오기를 잊는 것이 流(류), 물살을 거슬러 간 뒤 오지 않으면 連(련), 사냥에 빠져 싫증내지 않으면 荒(황), 술에 빠져 멈출 줄 모르면 亡(망)이라 합니다."
從流下而忘反謂之流,
從流上而忘反謂之連,
從獸無厭謂之荒,
樂酒無厭謂之亡.
안자가 이런 말을 한 것은 이전의 왕이 이렇게 하지 않았으니 잘 다스려졌다고 했다. 맹자도 제후들이 앞장서 방탕한 놀음을 경계해야 한다며 이 내용을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반대로 노는 것이 무엇인지 모를 정도로 일을 많이 해 왔는데 이제 주 노동시간을 52시간으로 정해 생활을 즐기도록 했다.
일과 노동의 균형은 좋은데 직종별 세분하지 않은 급격한 적용으로 혼란이 많다고 한다. 무엇이든 균형이 중요하다.
⏹ 유련황망(流連荒亡)
유련(流連)은 유흥(遊興)의 즐거움에 잠겨 집에 돌아갈 줄을 모른다는 뜻이고, 황망(荒亡)은 수렵이나 술 마시는 즐거움에 빠진다는 뜻으로, 놀러 다니기를 즐기고 주색(酒色)에 빠짐 또는 방탕한 놀음에 빠져 본분을 잊어버림을 일컫는 말이다.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에 보면, "유련황망은 제후(諸侯)의 경계해야 할 바이다. 흐름을 따라 배 타고 내려가면서 돌아올 줄 모르는 것을 유(流)라 하고, 흐름을 따라 배 타고 올라가다가 돌아올 줄 모르는 것을 연(連)이라 한다. 짐승을 따르며 귀찮아함이 없음을 황(荒)이라 하며 술을 좋아하여 싫증남을 모르는 것을 망(亡)이라 한다. 선왕(先王)은 유련하는 즐거움과 황망한 행동이 없었느니라" 라고 되어 있다.
이 성어는 맹자(孟子) 양혜왕하(梁惠王下) 편(篇) 4(樂以天下) 장(章)에 제(齊) 나라 선왕(宣王)과 맹자(孟子)의 대담에서 유래한다.
제(齊)나라 선왕(宣王)이 설궁(雪宮; 제나라 궁)에서 맹자(孟子)를 뵙고, 왕이 말씀하였다. “어진 사람도 또한 이러한 즐거움이 있습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여 말씀하셨다.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즐거움을 얻지 못하면 그 윗사람을 그르다할 것입니다. (이러한 즐거움을) 얻지 못하여 그 윗사람을 그르다 하는 사람도 그르며, 백성들의 윗사람이 되어 백성들과 함께 즐기지 않는 사람도 또한 잘못입니다.
백성이 즐거워하는 것을 즐거워하면 백성들 또한 그 윗사람의 즐거워함을 같이 즐거워하고, 백성의 근심을 걱정해 주면 백성들도 또한 그 윗사람의 근심을 걱정합니다.
천하(天下)가 다 같이 즐거워하는 것을 함께 즐거워하고, 천하가 다 같이 근심하는 것을 함께 걱정합니다. 그렇게 하고서도 王노릇 하지 못하는 사람은 있지 않습니다.
예전에 제나라 경공(齊景公)이 안자(晏子)에게 묻기를, ‘내가 전부(轉附)와 조무(朝儛: 모두 산 이름) 을 구경하고 바다를 따라 남으로 낭야(琅邪)에 이르고자 하는데, 내가 무슨 일을 하여야 선왕(先王)들의 유람과 비길 수 있을까?’
하자,
안자(晏子)가 대답하기를, 좋은 질문입니다. 천자(天子)가 제후(諸侯)의 땅에 가는 것을 순수(巡狩)라고 하는데, 순수(巡狩)라는 것은 지키고 있는 곳을 돌아보는 것입니다. 제후(諸侯)가 천자(天子)에게 조회하는 것을 술직(述職)이라고 하는데, 술직(述職)이라는 것은 맡은 바 직무를 보고하는 것입니다.
일 아닌 것이 없어서 봄이면 경작하는 것을 살펴 부족한 것을 보충해주고, 가을이면 거두는 것을 살펴서 모자라는 것을 돕습니다.
하(夏)나라의 속담에 이르기를 ‘우리 왕께서 봄 농사 시찰을 않으시면 우리가 어찌 쉬며, 우리 왕께서 추수 시찰을 않으시면 우리가 어찌 도움을 받으리오. 한번 봄 농사 시찰하고, 한번 추수 시찰하는 것이 제후(諸侯)의 법도(法度)가 되었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은 그렇지 않아서 호위군사들이 따르므로 양식이 소비되어 주린 자가 먹지도 못하고, 피로한 자가 쉬지도 못하며 눈을 서로 흘기고 비방하여, 백성들이 마침내 원망하고 미워하는데도, 왕의 명(命)을 거슬리어 백성들을 학대하고, 음식을 흐르는 물처럼 낭비하고, 뱃놀이 사냥 음주에 빠져 자기 일을 버려두고 돌보지 않아 제후(諸侯)에게 폐가 되고 있습니다.
(뱃놀이에 빠져) 흐름을 따라 좇아 내려가 돌아올 줄 모르는 것을 유(流)라 하고, 흐름을 좇아 올라가 돌아올 줄 모르는 것을 연(連)이라 하며, (사냥에 나가) 짐승을 좇는데 싫증내지 않음을 황(荒)이라 하고, 술을 즐겨서 싫증내지 않음을 망(亡)이라고 합니다.
선왕(先王)께서는 유연(流連)의 즐거움과 황망(荒亡)한 행실이 없으셨으니, 오직 임금께서 행하시기 달렸습니다.’
경공(景公)이 기뻐하여 널리 나라에 선포하여 경계하고, 교외에 나아가 머물며 비로소 국고(國庫)를 열어 양곡을 내어 백성들의 곤궁함을 돕고 태사(大師)를 불러, ‘나를 위하여 임금과 신하가 서로 즐길 수 있는 음악을 지으라.’
하니, 치소(徵招)와 각소(角招)가 이것입니다.
그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임금의 욕심을 막음이 무슨 허물이랴’고 하니, 임금의 욕심을 막는 사람은 임금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참고) 맹자(孟子): 책
맹자(孟子)는 사서오경(四書五經)에 속하는 유교(儒敎) 경전이다.
책 맹자(孟子)는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가(儒家)였던 맹자(孟子)가 각국의 제후들에게 유세를 하거나, 자신의 제자들과 대화를 나눈 것, 혹은 고자(告子)등 다른 사상가들과 논쟁한 것을 기록한 어록이다.
사기(史記)에 따르면 책 맹자(孟子)는 맹자(孟子) 은퇴 후 제자인 만장(滿章) 등의 제자와 함께 지은 것이라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는 맹자 말년이나 맹자 사후에 제자들이 맹자(孟子)가 남긴 말을 기록하여 엮은 책이라 생각된다.
총 7편 14장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기(史記) 맹자, 순경열전(孟子, 荀卿列傳)에는 7편,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11편이라 기록되어 있다.
그 4편의 경우에는 언제 실전되었는지 미상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저술된 논어(論語)와는 달리 이미 주(周) 왕실이 완전히 쇠퇴하여 그 권위를 망실하고 전국 7웅이 횡행하여 패권을 다투던 시기에 저술된 책이기 때문에 논어(論語)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유세를 하기 위해 군주와의 대화나 상대 학파의 사상가와의 논쟁에서 논어(論語)에 비해 많은 비유와 변론법을 사용하고 있다.
맹자(孟子)의 전체 내용은 살인을 좋아하는 군주가 능히 천하를 통일할 것이며, 군주가 포악하고 무도하여 천명이 떠나면 필부에 불과하다 하여 왕도정치와 혁명론을 역설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오랫동안 높이 인정받지 못하다가 남송(南宋)의 주자(朱子)가 맹자(孟子)를 사서(四書)의 하나로 인정하고 주석한 후에 십삼경(十三經)의 하나로 인정받았다.
맹자(孟子)는 다음의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혜왕(梁惠王)
맹자(孟子)가 제후국들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뜻을 피력하는 부분으로 상편은 7장, 하편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양혜왕(梁惠王; 위나라 혜왕)에게 왕도정치를 실시하라고 조언하고 있는데, 왕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려야 그 즐거움이 오래갈 수 있으며, 왕이라도 잘못하면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손추(公孫丑)
맹자(孟子)는 그의 제자인 공손추(公孫丑)와 왕도정치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패도정치를 축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가(儒家)의 의리(義理)를 밝히고 자신의 포부를 나타내었다.
상편은 9장, 하편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구저기(反求諸己), 호연지기(浩然之氣), 인화(人和)라는 말이 여기에서 유래했다.
⚪등문공(滕文公; 등나라 문공)
왕의 국가통치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상편은 5장, 하편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이 중국 전대륙을 통치하는 천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먼저 백성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인간에게는 인륜이 가장 중요하니 이를 저버리면 아무리 훌륭한 행실을 해도 무의미하다고 말한다.
⚪이루(離婁)
상편 28장, 하편 33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신의 본성을 추구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맹자(孟子)는 자신을 바르게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만장(萬章)
상하 각편 모두 9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만장(萬章)은 덕(德)이 천도에 합치하면 도(道)를 얻을 것이고, 어질면 천하사람을 얻을 것이라며 인도(仁道)를 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민의가 천의라는 사상과 관직에 나갈 때에도 때에 맞게 해야한다는 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고자(告子)
맹자(孟子)와 고자(告子)가 인성(人性)에 대해 대화를 한다. 인의(仁義)는 내적인 것이나 구하면 얻을 수 있고 구하지 않으면 잃어버린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상편은 20장, 하편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차히 살지말고 의로운 삶을 살라고 이야기 한다. 왕도가 쇠퇴하는 것은 제후나 대부가 도(道)를 숭상하지 않기 때문이고, 왕이 백성에게 예(禮)를 가르치지 않고 이용만 하는 것은 백성을 해치는 것이라고 말한다.
⚪진심(盡心)
백성이 나라에서 가장 귀하고, 학문에는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편 46장, 하편 3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속적인 욕망에 앞서 도덕적으로 깨끗한 삶이 군자로서 더 추구해야할 것이며, 성인의 도(道)를 배우는 데에 순서가 있으며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