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이 코너에 올려온 수많은 우리글자 관련 칼럼글들을 통해서 누누히 강조해온 것처럼, 우리글자는 1만여年前 우리
한민족의 조상님들이셨던 '동이족(東夷族)'에 세상에 태어난 세계 최고로 위대하고 훌륭한 뜻글자(=표의문자/表意文
字)이기 때문에, 지금 일상생활속이나 대화속에서 통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2000여자의 글자들을 만들고 있는 300여字
의 핵심/기본글자들의 의미는 정확히 이해를 하고 있어야, 그 각각의 글자들속에 담겨진 특별한 의미들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1만년이상이라는 엄청난 시간이 지금까지 흘러오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특히 서당의 훈장샘(^^)들의 속성암기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그 뜻들이 전혀 다른쪽으로 와전(訛傳)되어져서, 지금에까지 이르게 되었다는 게 참 안타까운
마음이 금(禁)할 길이 없지만, 지금 이순간부터라도 정확히 그 뜻을 이해하시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이 칼럼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그 뜻이 완전 바뀌어져서 사용되고 있는 우리글자들 종류는 크게 두부류로 나뉘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부수로만 쓰이
는 '전문부수글자들'이고, 나머지 하나는 '일반 상용한자들'입니다. 그런데, 특히 그 뜻이 바뀌어서 쓰이고 있는 '일반
상용글자들'은, 나중에 원래뜻을 가진 글자들의 새로운 복원의 일환으로 탄생된 "후기자/누증자"가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고 계시면, 앞으로 우리글자들을 익혀 나가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거라 확신합니다~!!^^.
워낙 그 수가 많기때문에 오늘 이 시간에는 자주 쓰이고 있는 글자들 위주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수글들중
에서 이름이나 명칭이 없거나, '~변'으로 쓰이고 있는 것들은 거의 전부 잘못된 뜻이라고 생각하시면 정답~~!!..(例 :
宀 -> '갓머리변'이 아니라, " 집 면 "~~!!)..부수든 우리글자든, 그 모두에는 특별한 이름/명칭이 있다는 것을 꼭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 그 뜻이 잘못 쓰여지고 있는 '전문부수글자들' >
1. 집 면(宀) : 꼭 옛날 양반어른들이 머리에 쓴 갓모양과 비숫하다고 해서, '갓머리'라고 서당훈장샘들이 가르쳐줘서
아직까지 거의 모든 한자전공 선생님/강사님들과 책에서 그렇게 가르치고 있는데, 완전 잘못 되었으니
까, 지금부터 " 집 면 "이라고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집 면이 들어가 있는 모든글자들에는 "집"의 의미
가 내포되어 有~~!!. -> 家(집지붕아래 대청마루밑에 살았던 제주도흙돼지의 모습을 표현~!^^), 安(집
안에서 다소곳이 쉬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이 편안해 보여서, 편안할 안~!)..
2. 밑사람 인(儿) : '어진사람인발(변)'은 잘못된 표현. -> 兄(형제들중에서 보편적으로 머리가 더 굵고 큰 사람이 형~
~!!^^)..兒(태어난지 얼마 안 되어서 아직 숨골(정수리)가 열려 있는 갓난아이의 모습을 표현~!)..
3. 덮을 멱(冖) : '갓머리변'에서 윗꼭지점이 빠져서 '민갓머리변'이라고 잘못 알려져 有~!. -> 무덤 총(塚), 어두울
명(冥)..
4. 입벌릴 감(凵) : '위튼/위터진 입 구'는 잘못.. -> 흉할 흉(凶), 함 함(函)..
5. 상자 방(匚) : '터진 입 구'는 잘못.. -> 장인 장(匠), 함 궤(櫃)..
cf) 감출 혜(匸) : 아주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有~!..상자 방은 세로줄이 아래로 조금 삐
쳐 나와 있고, 감출 혜는 그림에 잘 나타나듯이 윗가로줄이 삐쳐져 나와 有~~!!.
6. 에울 위(囗) : '큰입 구(변)'은 잘못.. -> 國, 가둘 수(囚 : 사람이 땅밑 감옥속에 갇힌 모습을 표현), 곤할 곤(困)..
7. 쉬엄쉬엄 갈 착(辵 / 辶) : '책받침(변)'은 잘못..'착'인데, 아마 '책'으로 오인~!..천천히 걸어가는 모습을 표현 ->
道, 過..
8. 길게 걸을 인(廴) : '민책받침변'은 잘못..'민~'이라고 되어 있는 표현은 모두 잘못된 표현~~!!. -> 建, 돌 회(廻)..
9. 칠 복(攴/攵) : '등글월문'은 잘못..文과 모양이 비슷해서 붙여진 표현~!..'등(等)~'라고 되어 있는 것도들 모두 잘못..
오른손에 몽둥이나 꼬챙이 같은 것을 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 -> 고칠 개(改), 거둘 수(收)..
10. 살바른 뼈 알(歹) : '죽을사변'은 잘못..사람의 살갗을 다 발가낸 뒤에 남은 앙상한 뼈의 모양을 표현~!..이것이
들어가 있는 글자들 뜻 모두는 大재앙에 해당~~!!. -> 死, 大재앙 앙(殃=央=秧=英=映=瑛..)
< 수많은 후기자/누증자들 >
* 央(大재앙 앙) ------> 원래, 옛날 죄수들 목을 채워두었던 '키'를 표현. 주변의 칼날에 죽지 않기 위해서는 구멍의
'가운데' 위치를 유지해야만 한다해서, '가운데'의 뜻으로 변화 ------>(살발린뼈 알 歹을 추가
해서..) 殃(재앙 앙)
-. 그래서, 아이 이름/상호를 지으실 때 가급적, 央이 들어간 " 영 "字는 꼬~~옥 피해주셨으면
면 합니다..(英, 映, 瑛, 暎, 鍈, 渶, 煐..등)..ex) 대구 中央路역 지하철 방화 대참사 사건,
육영수(陸英修 : 英 자는 두말할 것도 없지만, 修 자도 사람 이름으로는 별로 좋지 않음~!.)
* 然(태울/그스릴/개불고기 연) -----> 우리 민족의 여름철 고유풍습중 하나인, 복날 개잡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문자~!.." 고기 육(肉)의 변형자 + 개(犬) + 불꽃 화(灬) "..세월이
흘러, 얼토당토한 " 그렇다~! "라는 의미로 둔갑하면서, 태우다라는
뜻의 글자가 필요해서 ---> 燃이 새로 生~~!!..
-. 이 또한 大재앙 央처럼, 1만년이상 동안 그 大재앙/저주의 기운을 숨긴 채 살아오고 있어서,
이 글자를 이름이나 상호에 사용하시게 되면, 큰 화(禍)를 입으실 수 있으니까, 꼬~~옥 사
용을 자제해 주시길 간절히 간절히 바라는 바입니다~~!!..ex) 1971. 12.25 크리스마스날
오전에 터진 " 대연각(大然閣)호텔 화재 대참사 사건 "...'대연'의 한자가 원래, 大宴 or 大淵
되었어야 했는데, 커다란 불(화재)를 뜻하는 대연(大然)으로 쓰는 바람에...
* 自(스스로 자) ------->원래, 어른의 코모양을 표현한 글자인데, 자신을 가르킬때 코를 가르키는 습관들이 있어서
나중에 '스스로, 자신'이라는 뜻으로 변화 -------->鼻(코 '비')가 새로 생김...(비염:鼻炎)
cf) 臭(냄새 취): 개(犬)가 동물중에서 최고로 냄새를 잘 맡아서 " 코(自) "를 그려 넣어서
'개코'의 뜻으로 ' 냄새 취 '가 되었음^^..
* 亦(또 역) ------>원래, 사람의 겨드랑이를 표현했는데, 나중에 '또, 다시'라는 뜻 ------> 腋(겨드랑이 '액').
..(액취:腋臭)
* 乃(이에 내) ------>원래, 여성의 젖모양을 표현, 나중에 '이에, 곧'이라는 뜻 ------> 奶(젖 '내')
cf)아이벨 잉(孕) : 여성의 가슴(배)안에 아이를 품고 있는 모습을 표현.
(잉태 : 孕胎)
* 來(올 래) ------>원래, 보리이삭이 패 있는 모양을 표현, 풍작을 위해 이른봄에 반드시 밟아주고 ' 와야 '되기 때
문에, 나중에 '오다'의 뜻으로 변화 ------>(뒤쳐져올 치夂을 붙여서..) 麥(보리 맥)字가 탄생.
* 華(빛날 화) ------> 원래, 꽃이 활짝 핀 모양을 표현, 나중에 '빛나다'로... ------> 花(꽃 화)
* 丘(언덕 구) ------> 언덕모양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했는데, 나중에 공자이름으로 쓰여져서...
고을 읍/우부방 ‘ 阝’을 덧붙여 ------> 邱.(대구:大邱)
* 合(더할 합) ------> 원래, 두껑과 함께 있는 밥그릇모양을 표현, 나중에 '더하다, 합치다'의 뜻으로...
------>(그릇 명皿을 더해서..) 盒(밥그릇 합:찬합饌盒)
입의 뜻이 아니라, 밥그릇모양이라는 꼭 기억~!^^..
* 其(그 기) ------> 원래, 옛날에 오줌 쌌을때 소금받으러 보냈던 "키"의 모양
" 키 "를 만들었때 주로 쓰였던 대나무(竹)를 덧붙여 ---->箕(키 기)
* 也(종지형 어조사 야) ------> 원래, 옛날에 세수할때 썼던 길쭉한 주전자같은 그릇모양 표현, 나중에 문장끝에서
어조사로만 사용..------>(상자 방匚을 더해서..) 匜(그릇 이) ===> 세숫대야라는 글자 생김.
* 北(북녘 북) ------> 원래, 두사람이 등지고 있는 모습을 표현, 나중에 옛날부터 사람들이 따뜻한 남향으로 태양을
바라보고 살아왔기 때문에, 그래서 해를 등지고 있는 쪽은 북쪽이라서, 방위의 북쪽을 나타냄.
(달月이 아니라)고기 육의 변형자를 붙여서 ------> 背(등 배)
* 莫(말 막) ----->풀숲(잡풀우거질 망 茻)속에 해가 사라져서 없어지면, 하던 일도 말아야 한다는 뜻에서,
'없다/말다'의 뜻이 됨 -------> (해日를 하나 더 추가해서) 暮(저물 모)..
cf)싹날 철(屮), 풀 초(艸/艹), 꽃 훼(芔/卉: 화훼花卉), 잡풀우거질 망(茻) : 여기 잡풀
우거질 망 字를 살펴보면, 위에는 풀초(艹)이고, 아래는 큰 大가 아니라, 같은 풀의
그림인데, 나중에 해서체(정자체)로 바뀌면서 비슷한 모양의 큰 大가 붙은 것임.
* 亡(망할 망) ------> 원래, 장님(소경)이 지팡이 짚고 가는 모습을 표현, 나중에 ' 없다, 죽다 '의 뜻
눈目을 덧붙여서 ----->盲(소경 맹)
* 無(없을 무) ------> 원래, 옛날에 기우제나 천신제같은 행사때 사람들이 깃털장식을 들고 춤추는 모습을 표현...
춤출때는 남녀구분이 없다는 데에서, '없다'의 의미로...------> (어그러질 천 舛을 추가..)
舞(춤출 무) : 춤출때는 발들이 뒤섞여서 많아서...(무용:舞踊)
* 盡(다할 진) ------> 원래, 오른손에 부(火)젓가락을 잡고 화로불속을 휘저으며 불을 끄는 모습을 표현..------>燼(재 신)
(가운데의 점네개는 다리(鳥)의미가 아니라, 불꽃의 표시~!)
* 文(글 문) ------> 원래, 어른남자의 가슴에 문신을 한 모양...원래 '글'이 나무 같은 곳에 칼로 새기거나 그려서 만들어
져서, '글'의 뜻으로 쓰임.. ------> 紋(무늬 문)...(문양:紋樣)
그래서, 글 = 문 = 초기의 상형/지사 한자( 그릴/글 문文)
* 匕(비수 비) ------> 원래, 숫가락 모양 ------> 匙(숫가락 시)...(제사끝에 수저를 물릴때, 낙시:落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