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지식> 정상 종료 후 리부팅 증상의 원인은 메인보드의 상태를 점검하는 대기 전원이 걸려 있는 PCI 슬롯이나 외부 랜카드에 특정 패킷이나 핑, 외부 신호가 유입되어 메인보드가 부팅 신호로 확인하여 부팅을 자동으로 시키는 경우 입니다. 현재 유통되는 랜카드의 경우 대부분 랜 포트로 패킷을 전송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결 방법은 하단의 내용대로 설정을 변경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모델> 내장랜이 포함된 메인보드 공통
1> 초기 포스팅 시 DEL 키를 눌러 CMOS로 진입 후 POWER MANANGEMENT SETUP 으로 진입하면 하단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표시된 메뉴의 항목을 DISABLED 로 수정합니다.
2> 윈도우 진입 후 장치 관리자를 연 후 랜카드의 세부 항목의 고급 탭을 열어보면 WAKE ON~, WAKE UP, 시스템 깨우기, 패킷발생시 시스템 켜기 등의 항목이 있으며 이 항목을 모두 끄기, DISABLED, 사용안함 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드라이버 버젼이나 사용 랜카드에 따라 메뉴가 약간 다를 경우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치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하게 시스템이 부팅이 된다면 윈도우 프로그램의 전원관리 서비스에 문제가 있거나 파워 서플라이, 메인보드 자체의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해당 제조사에 점검의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아래분은 잘 사용을 하다가 PC가 리부팅이 된다고 한것 같은데, 그런 경우에도 이 기능이 적용 될수 있을까요?
예~ 간혹 BIOS 업뎃된 후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비슷한예가 될 수 있을지모르지만, SP2 처음 나왔을때 패치받고, 엄청난 바이러스에 고생한적이 있었거든요.. 과유불급이랄까요..? 기능들보다 좀 튼튼히 만들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ㅁ=a 긁적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