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의 허장성세(虛張聲勢) ◈
40대 한국인 남자가 몽블랑 빙하 트레킹을 가게 됐어요
한국에서 준비해 간 고기능성 등산복과 등산화,고글 등으로
무장하고 나갔더니 동행할 현지 산악인이 놀라며
“혹시, 암벽 등반 가냐?”고 물었지요
산악인은 허름한 패딩 점퍼 차림이었어요
그걸 본 남자는 “한국인은 뒷산에 갈 때도 히말리야 장비(裝備)를
갖춘다더니 내가 그랬다”고 쑥쓰러워했지요
‘크루(crew)’라는 이름으로 유행하는 각종 운동 동호회의
‘장비 욕심’도 등산 애호가 못지않아요
주말 한강 시민공원에 나가보면 사이클 대회가 열리는
벨로드롬 경기장에서나 볼 법한 차림으로 떼 지어 자전거 타는
‘라이딩 크루’를 심심찮게 볼 수 있어요
땀이 차지 않는 상의인 저지, 안장에 오래 앉아도 아프지 않다는
빕숏 하의 차림으로 수백만원짜리 자전거를 타지요
달리기 동호회인 ‘러닝 크루’의 복장도 육상 선수들 뺨치고 있어요
달리기 입문자들이 찾는 인터넷 사이트엔 마라톤 2시간 벽을 깬
킵초게가 신었다는 카본 소재 마라톤화,
심박수 센서와 GPS를 갖춘 스마트 워치,
휴대폰과 신용카드를 넣어서 몸에 묶어주는 러닝 벨트,
기능성 운동복 같은 장비가 나열돼 있지요
골프도 마찬가지라 할수 있어요
외국의 많은 주말 골퍼가 평생 드라이버를 한두 개만 쓰지요
한국인은 3~5년에 한 번씩 바꾸어요
10년간 드라이버와 우드를 15개씩 샀다는 이도 있지요
“장비를 바꿀 게 아니라 연습을 많이 하라”는 전문가 조언은 뒷전이지요
그래서 운동이나 취미보다 장비에만 정성을 쏟는 모습을 풍자하는
소설도 등장했어요
소설가 장류진의 단편 ‘라이딩 크루’에 나오는 두 남자는
여성 회원의 남자 친구가 될 자격을 두고 자전거 대결을 벌이지요
둘은 공정하게 경쟁하자며 쫄쫄이라 부르는 기능성 옷을 모두 벗고
고성능 기어를 갖춘 자전거에서 내려 따릉이를 타지요
작가는 알몸의 두 남자가 따릉이를 타고 한강변을 달리는
기괴한 장면을 통해 운동은 뒷전이고 장비에만 몰입하는
일부의 빗나간 세태를 꼬집고 있어요
러닝 크루가 애용하는 카본 소재 운동화는 탄성이 너무 강해
근육이 약한 일반인의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기사가 나왔지요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황영조씨는
“초보 운전자한테 배기량 6000㏄ 스포츠카를 몰게 하는 것”이라 했어요
‘인증샷’ 문화도 과도한 장비 욕심을 부추기고 있지요
많은 러닝 크루가 사진가와 동행하며 자기들이 달리는 모습과
의상 등을 찍게 해 소셜미디어에 올리고 있어요
취미와 운동의 본래 목적은 사라지고 보여주기만 성행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지요
이런 비유가 맞는지는 모르지만
옛말에 허장성세(虛張聲勢)라는 말이 있어요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비 자랑하려고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 뜻이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조동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