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극필반 기만즉경(物極必反 器滿則傾)
우성영
물극필반 기만즉경(物極必反 器滿則傾)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하고, 그릇도 가득 차면 넘친다. 사물(事物)의 형세는 발전이 최고조에 다다르면 반드시 뒤집히게 마련이라는 말로 사물이나 세상형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흥성과 쇠망을 반복하게 마련이라는 뜻이다.
<당서(唐書)와 (구당서(舊唐書)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무조(武曌)라는 사람은 문수(汶水)출생으로 태종의 후궁 중의 하나였다. 그녀는 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황후 자리에도 오르고 여황제가 되기도 한 인물이다. 그녀가 바로 그 유명한 측천무후(則天武后)다. 흔히 그녀가 여황제가 되기까지 온갖 악독한 일을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저질렀기 때문에 그녀에 대해 대부분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악행에 관한 내용들만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그녀가 뛰어난 정치가였음을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태종의 후궁이었던 그녀는 태종이 죽자 후사가 없는 다른 후궁들과 함께 감업사(感業寺)에 들어가 비구니(比丘尼)가 되었다. 그 후 태종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고종이 후궁을 총애하고 황후를 돌보지 않았다. 황후는 무조(武曌 :측천무후)의 미모를 이용해서 고종과 후궁 사이를 벌어지게 만들었다. 평생 비구니로 꽃다운 청춘을 썩히게 되리라 여겼던 무조는 새롭게 기회를 얻어 고종과 황후에게 온갖 정성을 다했다. 고종도 더 이상 다른 후궁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무조를 후궁으로 삼았다.
고종의 총애를 독점한 무조는 마침내 자기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주었던 황후까지 몰아내고 자신이 황후가 되었다. 그녀는 병약한 고종을 대신해서 차츰 정치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고종이 죽고 중종이 즉위하자 섭정을 하였다. 그러나 섭정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았던 무조는 마침내 중종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그녀는 나라 이름도 주(周)로 바꾸고 스스로 신성황제(神聖皇帝) 또는 측천황제(則天皇帝)라고 칭하였다. 이 사건으로 황실은 무씨(武氏) 천하가 되었다. 측천무후는 처음에는 중종의 나이가 어려서 국정을 처리하지 못한다면서 섭정(攝政)을 했지만 중종이 이미 정치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을 때도 여전히 섭정의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때 대신 소안환(蘇安桓)이 그녀에게 상소를 올려 간언하였다.
천자(天子) 중종의 보령이 이미 성년에 이르러 사리를 분별할 줄 알고 재주와 덕망 역시 훌륭하신데 아직 보좌를 탐하는 것은 모자의 정분을 잊은 처사라 하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하늘의 뜻과 백성들의 마음은 모두 중종을 향하고 있습니다. 무후께서는 아직까지는 편안하게 섭정하고 있지만 모든 사물이나 상황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하고(物極必反 :물극필반)’ ‘그릇도 가득 차면 넘친다(器滿則傾 :기만즉경)’ 는 사실을 아실 것입니다.
제가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이렇게 간언을 올리는 것은 모두 이 나라의 종묘사직(宗廟社稷)을 위해서입니다. 이 상소에서 유래한 물극필반(物極必反)이라는 성어는 사람들이 일을 할 때 너무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이 담겨 있다.
출처 : 경기헤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