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요양보호사는 수호천사다 원문보기 글쓴이: 수호천사
![]() |
나이를 먹게 되면 기억력을 필두로 인지기능이 서서히 감퇴하게 된다. 그래서 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다고 느낄 때면 누구나 ‘이러다 내가 치매가 오는 것은 아닌가?’ 하고 가슴이 철렁하게 된다. 누구나 나타나는 기억력 장애는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이거나, 또는 치매의 초기 증상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 둘의 차이를 쉽게 말하자면 인지기능 저하의 ‘정도’ 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지기능 저하가 일반적으로 두드러지는 문제행동이 없고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혼자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정도라면 정상 노화이다. 반면, 치매의 경우는 사회생활은 물론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 장애가 나타나거나 혼자 처리할 수 없게 되고 다양한 문제행동이 드러나게 된다. 정상과 치매 사이의 중간단계는 ‘경도인지장애’라고 해서 치매의 전구 단계에 해당하는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경도인지장애에 속하는 그룹은 해마다 10~15%가 치매로 진행하는데 이는 정상 그룹의 1% 내외에 비하면 10배나 높은 것이다. 치매 위험군을 선별해 치매 예방을 위한 방법을 실천하면 치매의 발병을 줄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일련의 퇴행성 치매들은 치료가 어렵지만, 전체 치매의 20~30%는 치료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이런 치료 가능한 치매들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가 일찍 시작될수록 치료될 확률이 높아진다. | |
![]() ![]() | |
치매 조기진단을 위한 검사들 | |
치매의 진단을 위해서는 기억력, 언어능력, 집중력, 수행능력, 집행기능 등 다중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신경심리검사(neuropsychologic test)가 필수적이다. 이 검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인지기능 장애가 있을 시에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중심으로 설문지 형태로 작성된 인지기능 선별검사를 조기 진단을 위해 이용한다. 인지장애 선별검사(Korean Cognitive Dysfunction Questionnaire)[별첨]는 본인이나 가족이 직접 작성할 수도 있지만, 전화를 통해서도 작성이 가능하므로 조기 선별검사에 있어 그 효용성이 크다. 선별검사에서 양성이 나온다면 임상의를 만나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뇌의 방사선영상촬영도 조기 진단 및 치매의 감별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특히 자기공명영상(MRI)에서 뇌의 위축이나 허혈성 뇌병변이 보인다면, 진단이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뇌손상이 두드러지지 않는 발병 초기에는 자기공명영상이 정상일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이나 양성자방출단층촬영(PET)등 기능적영상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된다.
기타 치매를 일으킬 수 있는 내과적 질환에 대한 일반혈액 검사와 치매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진 ApoE유전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 등이 포함되며, 필요한 경우 뇌척수액검사나 뇌파검사 같은 신경학검사를 할 수 있다. | |
이럴 때 조기진단 필요! | |
일반적으로 기억력에 장애를 느끼는 65세 이상의 노령 인구라면 일정한 시기에 인지기능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다. 동일 연령대의 평균적인 수준보다 인지기능이 많이 떨어지면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은 학력이나 생활 환경, 직업 등에 의해 차이가 많으므로, 단순히 기억력이 저하된 것 보다는 일상생활 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꼭 필요하다. 특히 본인보다 가족에 의해 이러한 문제들이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경우에 양성 진단률이 더 높다.
또한 동맥경화로 대표되는 혈관성 위험인자들은 치매의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으로 대표되는 혈관성 위험인자들은 뇌에 반복적인 허혈성 뇌병변을 일으켜서 뇌손상을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혈관성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들은 인지기능이나 기억력 변화에 좀더 예민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치매에 대한 염려가 노후의 가장 큰 걱정으로 자리잡은 만큼 어떻게 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치매의 예방은 크게 두 가지 방향이 있다. 한 가지는 노화에 의한 뇌신경의 퇴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뇌신경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지속적인 신체활동이나 항산화 기능이 있는 영양소 섭취 등 철저한 자기 관리를 통해 신체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혈관성 위험인자를 꼼꼼히 관리해서 노화에 의한 뇌신경의 파괴와 별도로 진행되는 허혈성 손상을 막는 것이다. 허혈성 손상을 입은 뇌신경은 퇴행이나 신경세포 사멸이 더 쉽게 진행된다. |
치매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 | |
| |||||||||||||||||||||||||||||||||||||||||||||||||||||||||||||||||||||||||||||||||||||||||||||||
|
첫댓글
7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