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다".라는 주제로
세번에 걸쳐 올려 드립니다.
사람은 태어날 때 성품이 90% 완성된다.
가정환경 때문에 바뀌기도 하지만 대부분 아주 극악한 환경이지 않으면 바뀌지 않는다.
보육원 출신이라고 다 깜빵 가는 것 아니다.
유복한 집안에서 자랐다고 사이코패스, 소시오 패스가 없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내성적인 아이는 죽을 때까지 내성적이고 외향적인 아이는 죽을 때까지 외향적이다.
내성적인 사람이 외향적인 것처럼 행동을 할 수는 있으나 본인의 진정한 성향은 바뀌지 않는다.
그래서 개그맨 중 의외로 내성적인 성격이 많다.
대부분은 태어날 때 성품을 죽을 때까지 가져간다.
그래서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
아이들이 공부 할 때도 마찬가지다.
성격은 태도를 결정한다.
공부를 잘 한다는 것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1) 부모의 유전자
2) 경제적 능력
3) 정보
4) 아이의 성격
이 네가지로 결정된다.
1) 부모의 유전자
'판검사 집안에서는 판검사 나오고 버스 기사 집안에서는 버스기사만 나온다'는 얘기를 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이 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그렇다. 이유는 유전자 때문이다.
2) 경제적 능력
3) 정보
그리고 아래에 2가지 경제적 능력, 정보도 집안의 경제력이 받쳐줄수록 더 좋은 대학을 갈 가능성이 높다.
4) 아이의 성격
마지막으로 성격이다.
머리가 좋아도 열심히 하지 않으면 좋은 대학을 가지 못한다.
그러나 머리는 평범해도 열심히 하면 좋은 대학을 간다.
왜냐하면 공부는 단거리가 아니라 장거리 마라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강남에 가면 머리 좋은데 성실하기까지 해서 정말 열심히 공부하는 애들이 너무 많다.
여기서의 결론은 성실한 성격이 아니라면 입시에 실패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성격은 고칠 수 없다.
머리 좋은데 불성실하면 대부분 게임에 빠지거나 벼락치기에만 익숙하거나 이성교제를 하거나해서 결국 입시는 망한다.
어렸을 적 좋은 머리로 성공해 본 경험(조금만 공부하고 성적이 잘 나오는 경험)은 입시의 파이널에서 결국 자신을 구렁텅이로 빠뜨리고 만다.
결론은 성실하지 않은 아이를 공부시키려 하면 망한다는 얘기다.
그리고 성실하지 않은 아이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성실하지 않아도 사회성이 좋으면 사업으로는 성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