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utzlaff 1803-1851) 선교사는 유대계 독일인으로서 루터교 목사였다. 그는 극동아시아와의 통상 및 시장 개척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영국 동인도회사의 군함 로드암허스트(Sir. S. Lord Amherst) 호에 중국어 통역관 겸 의사로 함께 승선하여 1832년 한국 땅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놓았다. 암허스트호는 중국 산둥반도를 거쳐 오끼나와로 향하던 중 1832년 7월 18일 장산곶을 지나 남하하다가 짙은 안개로 백령도 중화포구에 정선하였다.
일부 기록에 의하면 귀츨라프가 주민들에게 성경과 전도지 등을 나누어주며 필담과 바디랭귀지로 전도를 하였다고 전하는데 실제로는 그곳에서 별다른 활동을 하지 못하였고 성과를 얻을 수도 없었다. 단지 한 노인에게 책 몇 권과 단추를 전해 주고 그 섬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귀츨라프의 백령도 방문은 그가 조선 선교를 위해 온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조선 땅을 처음으로 밟은 외국인 개신교 선교사로 인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가 승선한 배는 1832년 7월 26일에 충남 보령시 오천면에 있는 고대도(古代島)에 정박하였는데, 이곳에서 그는 조선 국왕에게 정식으로 통상을 청원하는 서한과 한문 성경을 비롯한 26종의 책자와 망원경 등을 순조임금에게 선물로 진상하도록 관리들에게 전달하고, 회답을 기다리며 고대도에 머문 20일 동안 성경을 배포하고 전도하였고 약품을 나눠주기도 하였으며, 감자와 포도 재배법 등을 가르쳐 주었으며,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여 주민들에게 기도문을 가르쳐 주었다고 한다. 또한 귀츨라프 일행은 8월 7일 야간에 조선의 관리들 몰래 태안의 주사창리(舟師倉理) 앞바다까지 접근하여 책자 4권을 주고 배로 돌아왔는데 이 사실을 조선 관리들이 알고는 이후 주민 접촉을 금하고 조선인들에게도 귀츨라프 일행에게 무엇이든지 받는 자는 엄히 다스린다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더 이상의 전도활동 및 대민 접촉은 불가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츨라프의 조선 방문은 토마스 선교사의 순교(1866)보다 34년, 직접적인 대 조선 선교사 언더우드와 아펜젤러의 입국(1884)보다 52년이 앞선 것이었으며 최초의 카톨릭 선교사인 프랑스인 신부 모방(Pierre Maubant)의 내한(1836)보다 4년이나 앞 선 것이라는 역사적 사실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