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김영환] 주간 전략 프리뷰
■ 이 또한 지나가리라
▶️ KOSPI 주간예상: 2,390~2,510P
- 상승 요인: 코스피 가격 메리트, 한국 정부 정책 변화 기대
- 하락 요인: 미국 금리인하 속도 둔화 우려, 트럼프 정부 대외정책 리스크
■ 주간 프리뷰 및 투자전략
- 주요국 통화정책회의: 12월 FOMC는 점도표 조정(2025년 인하 횟수 4회 → 2회), 2025년 인플레이션 전망치 상향(헤드라인 PCE 2.1% → 2.5%, 근원 PCE 2.2% → 2.5%) 등 매파적 스탠스를 드러냄. 주식시장 입장에서는 당분간 고금리, 고환율이 지속됨에 따라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12월 BOJ 통화정책회의는 기준금리를 동결. 동결이 만장일치가 아니었다는 점, BOJ 인사들의 최근 발언 등을 감안하면 2025년 1월에는 금리인상이 단행될 가능성. 연초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충격이 나타날 가능성은 여전히 대비할 필요
- 미국 임시예산안 & 부채한도 협상: 미국 양당은 2024/12/21~2025/3/14 기간 임시예산안을 합의. 하지만 트럼프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불확실성 높아짐. 금일(12월 20일)까지 임시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발생
- 미국 GDP: 미국 3분기 GDP 확정치가 3.1%(전기 대비 연율)로 발표. 잠정치(2.8%)보다 0.3%p 상향.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노동시장이 빠르게 냉각될 위험도 낮아졌음을 의미. 한편으로는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가 더뎌질 수 있음도 시사
- 마이크론 실적: 마이크론 다음 분기(2024년 12월~2025년 2월) 가이던스(매출 79억달러)는 컨센서스(매출 89.9억달러)보다 낮게 제시. HBM 등을 제외하면 고객 수요가 예상보다 약하다고 언급. 당분간 HBM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과 레거시 반도체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 간에 주가 차별화가 나타날 가능성
- 투자전략: 고금리·고환율 부담, 미국 정치·정책 불확실성, 반도체 업황 불안 등 여러 악재가 밀집된 구간. 다만, 코스피 가격 메리트는 분명히 높아진 상황임. 추가 하락 시 분할 매수 대응이 필요한 구간이라고 판단
- 관심 업종: 음식료, 화장품, 유통, 의류, 은행, 증권
본문보기: https://m.nhqv.com/c/bc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