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용 와이어는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와이어입니다.
특히 치료 초기에 사용하는, 여러가닥을 꼬아 만든 와이어나 형상기억합금재의 와이어는 아주 약한 힘을 지속적으로 냄으로써, 치아이동이 드라마틱하게 일어나도록 만듭니다.
보통 흔히 사용하는 것이 니켈과 티타늄의 합금인 형상기억합금입니다.
이건 삐뚤삐뚤한 치열에 들어가 이리저리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펴지려는 복원력을 발휘합니다.
이런 와이어는 인체의 구강내 온도에서 최적의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우주항공소재로 개발된 것이랍니다.
우주선의 안테나 용도로 만들어졌다는 소릴 어디서 들었어요.
그렇지만 실생활에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경우는 교정용 와이어와...
여성용 속옷의 브라 컵 와이어입니다.
흔히 선전하는 메모리브라가 바로 이런 와이어를 썼다는 말이죠.
형상기억합금을 영어로 shape memory wire라고 하거든요.
암튼 이 원상태로 펴지려는 힘이 교정력으로 발휘되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만은 아니고, 여러 종류의 탄성체들을 같이 사용하죠.
일라스틱 계열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입니다.
또 비교적 강한 와이어인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도 충분한 길이로 고리 모양을 형성해서 사용하면 스프링 액션을 발휘하고 이를 교정력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 많은 고리모양을 넣는 경우가 있지요...?
결국 거의 모든 교정력은 재료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
어떤 물체에 힘(load)를 가하고 이 힘에 의해 변형된 만큼(deflection)이 다시 복원(recovery)하는 정도가 재료가 가진 성질이 되는 것입니다.
또, 응력에 의한 변화가 있어서...
어떤 재료도 변형과 복원이 완전히 동일한 완전탄성체는 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탄성재료를 주기적으로 갈아주게 되는 거죠.
일반적으로 가하는 힘에 대해서 변형이 많은 재료일수록 교정적 치아이동이 쉽게 일어나는데...
이를 위해서는 와이어가 두께가 가늘거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같은 두께라면 여라가닥을 꼬아만든 것일수록 좋다고 볼 수 있지요.
그래서 치료 초기에는 이런 식의 와이어들이 사용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