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묵상
ㆍ상촌(象村) 신흠(申欽) (1566~1628) 선생은 인생 삼락을 이렇게 꼽았다.
1. 문 닫고 마음에 드는 책을 읽는 것,
2. 문 열고 마음에 드는 손님을
맞는 것,
3. 문을 나서 마음에 드는 경치를
찾아가는 것,
ㆍ다산(茶山) 정약용(鄭若鏞)은
'유수종사기(游水鐘寺記)'에서
세 가지 즐거움을~
1. 어렸을 때 뛰놀던 곳에 어른이 되어 오는 것,
2. 가난하고 궁색할 때 지내던 곳을
출세해서 오는 것,
3. 나 혼자 외롭게 찾던 곳을 마음맞는 좋은 벗들과
어울려 오는 것
(진사가 된 21세 때의 글)
ㆍ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일 독(一 讀)
이 호색(二 好色)
삼 음주(三 飮酒)를
세 가지 즐거움이라 했으니
책 읽고 글쓰며
항상 배우는 선비정신,
사랑하는 이와의
변함없는 애정,
벗과 함께 어울리는
풍류를 말한 것이리라.
ㆍ논어 맨 앞에 나오는 삼락은 어떠한가?
1. 배우고 때로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
2.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3.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ㆍ오늘날 우리의 三樂은?
1. 健康: 마음대로 움직이고
아픈데가 없다.
2. 家和: 집안이 평안하고 가족이 건강하다.
3. 보람: 할 일이 있고 봉사하며 보람을!
* 불치하문(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물어도
부끄럽지 않다.
즉 모르는 것이 있으면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게도 기꺼이 물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