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대 : 고려
객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고을마다 설치했던 관용 거처가 객사다. 특히 명나라와 오가는 길 가에는 객사가 설치되어 사신들이 묵을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건물 보수 등으로 인해 인근 고을 사람들의 불편이 심했다.강릉의 객사문(客舍門, 국보 제51호)과 전주 객사(보물 제583호), 안변 객사의 가학루(駕鶴樓, 1493), 고령 객사의 가야관(伽倻館, 1493), 경주 객사의 동경관(東京館) 좌우 익실(16세기말) 등은 조선 전기 객사의 유물이다. 성천 객사 동명관(東明館)의 강선루(降仙樓), 통영 객사, 여수 객사 등은 조선 후기의 것이다. 이들 객사는 조선시대 목조 건축양식을 잘 보여준다.
고부구읍성 이 름: 고부산성
과선 고려시대에 북방 여진족 방어를 위해 만들었던 함선. 고려 중기 현종(顯宗) 2년(1011년)부터 숙종(關宗) 2년(1097년)까지 87년 동안 함경도 지방을 비롯하여 경상도 동해 연안에 여진족(女眞族)들의 침입이 잦아지자, 고려는 도부서(都府署) 또는 선병도부서(船兵都府署)를 여러 곳에 두어 이들의 침입에 대처하였다. 이 도부서의 임무는 대체로 수군을 이끌고 해상에서 침입하는 여진족을 방어했던 수군방어본부(水軍防禦本部)였던 것으로 보인다. |
김경손
시 대 : 고려
생몰년 : ?~1251년(고종 38)
본 관 : 경주
관련전투 : 귀주성(龜州城)전투
관련성곽 : 구주성(龜州城)
고려 후기 귀주에서 몽고군을 물리친 장군.
평장사 태서(台瑞)의 아들이며 계림부원군 혼(渾)의 아버지다. 1231년(고종 18) 몽고군이 평안도 정주를 침입하였을 때, 정주 분견장군이 되어 힘껏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9월 몽고군이 박천강 상류의 군사요충지인 귀주(지금의 평북 구성)를 침략하자, 귀주로 집결하여 서북면병마사 박서(朴犀)와 합세하였다. 김경손은 몽고군이 귀주성을 완전 포위하고 서·남·북문의 3개 방향으로 공격해 오자, 정주성전투에서 활약한 바 있는 결사대 12명과 함께 출격하였다. 그는 팔에 화살을 맞는 부상에도 불구하고 부하들과 결사적인 공격을 4~5차례나 전개하여 마침내 몽고군을 격퇴하고 성으로 귀환하였다.
1233년 대장군, 지어사대사가 되었고, 1237년 전라도지휘사가 되어 초적(草賊) 이연년(李延年) 형제를 나주에서 무찔러 평정하였다. 1249년 최항(崔沆)의 시기를 받아 백령도로 귀양갔으며, 1251년 최항이 계모 대씨(大氏)와 오승적(吳承績)을 죽일 때, 김경손을 오승적의 인척이 된다 하여 배소에서 바다에 던져 죽였다.
두경승
고려시대의 무신이다.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
만경두씨(萬頃杜氏)의 중시조. 학식은 없어도 무용이 출중하여 의종 때 공학군(控鶴軍)으로 뽑혔다가 대정(隊正)으로 후덕전(厚德殿)의 견룡(牽龍)이 되었다. 명종 초에 이의방(李義方)의 발탁으로 내순검지유(內巡檢指諭)를 거쳐 낭장(郞將)이 되었다. 1173년 김보당(金甫當)의 난을 평정한 후 남로선유사(南路宣諭使)로 반란지구의 민심수습에 진력하여 장군으로 승진, 서북면병마부사(西北面兵馬副使)가 되었다. 이듬해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반란을 일으키자 동로가발(東路加發) 병마부사로 주변 도읍을 진압한 뒤 후군총관(後軍摠管)이 되어 계속 추격, 1176년 서경을 공략하고 조위총을 죽였다.
목은집
고려 말의 학자 이색(李穡)의 유고문집. 55권 25책. 시집과 문집으로 나누어지는데, 시집은 사(辭) 1권, 시(詩) 34권이고 문집은 기(記) 서(序) 발(跋) 표(表) 비(碑) 명(銘) 전(傳) 등 20권이다.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시인의 시문집이라는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고려 말 조선 초의 지식인 사회와 정치사회를 알아보는 사료로도 귀중하다.
신숭겸
시 대 : 고려
생몰년 : ?~927년(태조 10)
시 호 : 장절(壯節)
본 관 : 평산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헌한 무장.
초명은 능산(能山)이다. 본래 전라도 곡성 출신으로 뒤에 춘천에 옮겨와서 살게 되었고, 이 때문에 그의 묘도 여기에 쓰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신숭겸은 몸집이 장대하고 무용이 뛰어나 궁예(弓裔) 말년에 홍유(洪儒)·배현경(裵玄慶)·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 때 큰 공을 세웠으며, 이로 말미암아 개국일등공신에 봉해졌다.
유수
고려와 조선시대에 수도 이외의 옛 도읍지나 국왕의 행궁이 있던 곳 및 수도경비에 필요한 곳에 두었던 특수행정직. 유수제도는 중국 당·송의 옛 제도로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황제 부재시에 유수를 두어 수도를 지키게 하는 경우이고, 또 하나는 옛 도읍지에 유수부를 두어 행정을 담당하게 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당·송의 제도 가운데 후자의 제도를 도입하여 옛 왕경인 삼경(三京)에다 유수부를 설치하고 유수관을 두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위의 제도를 벗어나 수도방위를 위한 행정적·군사적 중요지역에 유수부를 두어 유수를 파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성종 14년(995)에 수도인 개경(開京)을 개경부라 하고 당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적현(赤縣)과 기현(畿縣)을 두면서 옛 신라의 도읍지였던 경주를 동경(東京), 고구려의 옛 도읍지인 평양을 서경(西京)이라 하고 각각 유수부를 설치하고 유수에 대한 삼경제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문종대에 이르러 옛 백제의 도읍지인 서울(당시 양극)인 남경을 설치하고 유수부를 두어 개경을 제외한 동경·서경·남경을 삼경이라 하여 유수를 두었다. 이들 유수는 3품 이상관으로 유수사(留守事, 서경)·유수사(留守使)·유수관(留守官) 등으로 불렀으며 모두 외관직이었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수를 처음 둔 곳은 조선 태조의 어향(御鄕)인 전주와 고려의 옛 도읍지인 개성이었는데, 초기에는 유수를 유후라고 하였으며 관아를 유후사라 하였다. 전주의 경우는 그 상세한 것은 알수 없으나 개성유후사는 보다 조직적·체계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는 태조가 개국한 기명지(基命地)일 뿐만 아니라 고려의 옛 도읍지인 동시에 중국 사행(使行)의 유숙지로 크게 활용됨으로써 더욱 중시되었다. 이와같은 개성유후는 정2품직으로 한성부와 마찬가지로 경관을 임명하였다. 개성유후사는 세종 20년(1438) 10월에 개성부로 개칭되고 유후도 유수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으며, 2인의 유수를 두되 1인은 경기관찰사가 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행정은 전임(專任) 유수가 담당하고 군사업무도 주관하였다. 이같은 유수제는 조선 후기부터 더욱 확대되었다. 즉,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로 피신하였다가 환도 뒤 이곳에 유수를 두었으며, 1636년 병자호란 이후에는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수어청(守禦廳) 체제를 강화하면서 유수를 두었다.
그리고 정조 17년(1793) 정조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장용영(壯勇營)을 창설하고 도성(都城) 중심의 내영(內營)과 화성(華城 : 水原) 중심의 회영을 설치하면서 이곳에도 유수를 두게 되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선 초기에는 국왕의 행궁터 등에 유수를 파견하였으나 조선 후기에 가서는 유수부가 수도의 외곽을 방어하는 배도(陪都)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수원유수는 총리영(總理營)의 사(使)를 겸하였으며, 광주유수(廣州留守)는 몇 차례의 변동이 있은 뒤에 남한산성의 수어청사(守禦廳使)를 겸하였으며, 개성유수는 관리영사(管理營使)를 겸하고 강화유수는 진무영사(鎭撫營使)를 맡아 수도의 외곽방어에 책임을 졌던 것이다.
강영
시 대 : 고려 생 몰 년 : 미상 본 관 : 신천 관련전투 : 홍산대첩(鴻山大捷) 고려 후기 홍산대첩을 승리로 이끈 장수. 1359년(공민왕 8)과 1361년 두 차례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친 공으로 공신에 서훈되었다. 1376년(우왕 2) 7월 왜구가 부여에 침입하여 공주를 함락하고 다시 연산(지금의 충남 논산)의 개태사(開泰寺)를 침범하자,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되어 최영(崔塋)·최공철(崔公哲)·박수년(朴壽年) 등과 함께 출정하였다. 홍산(지금의 충남 부여지역)에 이르러 좁고 험한 곳에 웅거하던 왜구를 물리치고 크게 승리하니, 이것이 고려 말 왜구토벌에서 가장 빛나는 전적 중 하나인 홍산대첩이다. 1377년 왜구가 강화를 침략했을 때 나세(羅世)·조사민(趙思民)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였으며, 이어서 왜구가 영광·장사(長沙)·해주·평주(平州) 등을 침입했을 때도 원수로서 적을 물리쳤다. |
느낀점.
앞에 중복된 단어 혹은사건을 제외하고 찾기가 매우힘들었다.만약에 이글을 다시하거나 수정할수있게된다면 한개의글에한개의 단어만있었으면좋을것같다.지금은 찾기도힘들고 뭘썻는지 보기도힘든데 그렇게하면훨신쉽게찾을것같다.
책없이 사전을찾다보니 책에서 안나오는 정보를 많이얻을수 있었다. 물론 인물들외에도 많은 정보를 보았으나 그것이 고려시대 것인지 정확하게 기제되어있지않아 가져오지못했을뿐 이 외에도 훨신 많은 글을보았다. 책에서 쓰지못한 새로운 지식을 볼수있어서 좋았고, 꼭 숙제가 가끔가다 둘러보면 좋을것같다.
+++++++++++++++++++++++++++++++++++++++++++++++++++++++++++++++++++++++++++++++++++++++++++++++++++++
아직 숙제를 하지못한분들을 위한 이몸의 써비스 첫번째 겹치는게많다구요? 이몸이 찾아 놨습니다.ㅋㅁㅋ
이건 제가 숙제 할때 기준이구요 시간나는대로 수정하겠습니다.
김재혁 :최충원 서희 강감찬 묘청 태조 홍건적 노곡공주 호족 고려청자 - 청자상감국화문탁잔 삼별초 항전
전장훈 :왕건 처인성전투 감국사기 연등회 팔관회 팔만대장경 위화도회군 윤관 이자겸의 난 초조 대장경
양준혁 :묘청의난 감방경 최영 진포대첩 귀주대첩 최무선 일연 정몽주 이의민 3
동상준 :묘청 이규보 태조왕 윤관 시무28조 벽란도 성종의억불정책 연등회 팔관회 삼국사기
김건주 :박서 향리 송나라의상인 고려전기여진과의관계와윤관의여진정벌 공민왕의반원자주화정책과신돈의개혁
태조의호족세력포섭 박위 양규 강동6주 나성
권정우 :몽골의6차침입 몽골의침입 이색 보조국사지눌 대각국사의천 교장 개경전투 조위총의난 족두리 놋다리밟기
박창석 :문벌귀족 공민왕 상감기법 부석사 화엄종 현화사7층석탑 팔만대장경 성리학 배흘림기둥 경천사지10층석탑
김영준 :다루가치 노비안검법 건원중보 상정고금예문 망이망소이의난불씨잡변 돈오점수 승선 요세
박준석 :칭기즈칸 무신정변 풍수지리설 중방 교정도감 탄연 목간 박서 신진사대부 전민변정도감
송명준 :주심포양식 제왕운기 해동고승전 무량수전 봉적사극락전 천산대렵도 이규보 솔거노비 정중부 보고국사지눌
황정민 :이승휴 공민왕릉 해인사 봉정사극락전 성리학자 제왕운기 부석사무량수전 대몽항쟁 무신정변 수덕사
한상욱 :노국대장공주 관촉사석조미를보살입상 김통정 문익점 병자호란 김준 임연 임유무 잡과 충렬왕
전주원 :목패 남도석성 선죽교사건 성리학자 제왕운기 천산대렵도 미륵하생경변상도 강동6주 만월대 신진사대부
김하랑 : 청자사자형뚜껑향로 청자기린형뚜껑향로 향약구급방 남반 누전선 양류관음 3성6부제 공민왕의반원자주화정책
화엄종과법상종의대립 봉산성전투
한우현 :서리 녹봉 전시과 대광현 나전칠기 훈요10조 왜구의침입 인쇄술의발달 명과의외교 고리대금업
고해람 :공민사횡사사건 청자투각칠보문뚜껑향로 백관공복 조물성전투 홍건적의난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시조 홍산대첩 일본원정
김운성 :용주성 고려의복식 고려유물작두작도 고려양각기린형향로 청자퇴화문병 고려무기-활촉 도이장가 구당서고려전 조운창 청동화로
최용준 :관혼상제 고려인의수박회 대흥산성 정지장군의환삼 묘제 백관공복 격구 활촉 작두작도 종묘제례악
최수민 :노비추쇄도감 우왕의연표 녹상 하층출신상장군 고려개관 철주성전투 거란의사대요구 동건령전투 서박겨루기내기가금지된사연
댜몽강화와무신정권의종말
나종서 :몽고식변발 거란의침입과강화 강민첨 무신집권자 고려의대외무력 대송무역 안북성전투 쓰시마섬정벌 삼별초사령관 고려말정치상황
은지원 :유교 도화원 과전 원효 신의군 묘청의난 팔관회연혁 월정사 최승로 만기사여래좌상
오세영 :경종 경천사지10층석탑 목종현정 덕종 정종 문종 순종 선종 숙종
차재욱 :강동성전투 응방 9성축조 몽골의4차침입 삼혹호이규보 돈오 고려시대불교 수박희 수박대련에서무신에게진무신 공민왕의반원자주개혁
김민우 :이자겸의난 교정도감 이의민 전민변정도감 만권당 성균관 대장경 직지심체요절 불화
김선재 :수월관음도 강민첨 화폐 도교및신선사상 김대용 이지순 죽주산성 김용
정재익 : 태조 국왕 충렬왕과충선왕부자의왕위갈등 공민왕과노국공주의초상화근거왕의공복 무신정변발생원인과경과 처인성전투
왜구 삼별초항쟁 삼국사기 제왕운기
유정민 :음서제도 과전법 은진미륵 개태사 화통도감 의창 상평탕 아미타래영도 혜민국
최재혁 :김통정 변상도
임해인 :강조 객사 고부구읍성 과선 김경손 두경승 목은집 신숭겸 유수 강영
임소혁 :강증 개경십사 갑주 겸암원 경천사 십층석탑 공민왕시역사건 가옥 각장 가령 강릉삭방도
박상환 :태조왕건 훈요10조 광종 최승로 충렬왕 공민왕
이승규 :고려초,중,후기황제의조복-의상입는순서 고려시대 고려시대의뱃길교통 청자어용형주자 고려시대북방민족과송과의교루-대외관계
불화양식의변천 고려개관-건국과정치사의전개 고려전기대여진관계와윤관의여진정벌
이광수 :몽골의2차침입 몽골의3차침입 송문주배중손 쳥정건을쓴안향 심의를입은이제현 이종무 의천의속장경조판 대국국사의천
공민왕의반원자주화정책과신돈의개혁
김동범 :왕자지 쌍기 정지상 윤온아 척준경 오연총 김종수 고려사절요 계유정난
문석주 :무신정권 강동6주 이자겸의난 삼별초의항쟁 위화도회군 귀주대첩 갱정전시과 김윤후 안향 이제현 문익점 지눌 최충헌
황승재 :성균관 최승로 강감찬 묘청 공민왕 지눌 안향 훈요10조 최충헌 충렬왕 고려중기의문신,자는동현,본관은파평
오병훈 :만월대 지눌 삼국유사 수덕사대웅전 봉정사극락전 남도석성 김윤후 연등회와팔관회
하민준 :노비안검법 국자감 의창 과전 전민변정도감 만권당
+++++++++++++++++++++++++++++++++++++++++++++++++++++++++++++++++++++++++++++++++++++++++++++++++
이걸로 끝나면섭하죠 ㅋㅋ
제가 쉽게찾는 방법을 알려드리죠.
먼저 이링크 따라서 2개 다 눌러주세요
http://100.naver.com/list_dir.nhn?dir_id=10020206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main.asp?nil_profile=title&nil_src=culturedic
두링크를 번갈아 가면서 보시구 쓰시기전에 제가 써놓은 명단 보시면 편할거에요..
|
첫댓글 오 매우 잘했음
오 매우감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