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꿈 꼴 |
모기르는 방법 |
모기르는 일정 |
아주심기에 알맞는 모 |
촉 성 재 배 |
하우스내 온상육묘 |
60 ~ 70일 |
본잎 10~13매 |
나.조숙재배시 씨뿌림상은 반드시 온상을 설치하여 모를 길러야 수량이 증수되고 저온에 의한
피해가 없이 좋은 묘가 된다.
* 온상 모 기르기의 효과
온 상 |
냉 상 |
직 파 | ||||
청과 |
적과 |
청과 |
적과 |
청과 |
적과 | |
수량(㎏/10a) |
1.091 |
195 |
466 |
188 |
44 |
139 |
수량(%) |
2.341 |
103.8 |
100 |
100 |
23.2 |
74.1 |
다.전열선 및 전열판 이용
ㅇ 온상내의 온도조절이 자유롭고 쉽다.
ㅇ 묘의 생육이 균일하며 꽃눈의 분화가 빠르고 모기르는 일수가 짧다.
ㅇ 온상의 온도를 오랫동안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연한이 길다.
4. 상토만들기
가. 좋은 상토의 조건
첫째, 병충해의 피해가 없어야 할 것.
둘째, 물지님힘이 강하고 물빠짐과 통기성이 좋을것.
셋째, 비옥할 것
나. 속성상토 만드는 재료와 방법
ㅇ 만드는 시기: 파종 2주 전.
ㅇ 필요성:6개월간이나 숙성하여야하고 또 뒤집기 등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숙성상토를 대체코자
할 때나, 숙성상토를 만들지 못하였을 때 조제사용.
ㅇ 만드는 법
- 재료 : 흙(무균무충의 논, 밭, 산흙), 완숙 발효된 유기물, 석회 2㎏(산성토 사용할 때)비료
- 질소 100 ∼ 200g, 인산 200 ∼ 400g,가리 100 ∼ 200g/㎥ 당
- 만드는 법 : 평평한 장소를 골라 한쪽에는 흙, 한쪽에는 0.3 ∼ 0.5㎝ 체 로 친 유기물, 비료,
개량제 등 을 준비한 후 시멘트를 섞듯이 2명이서 4∼ 5번 정도 반복해서 골고루
섞는 것이 중요하다.
* 숙성상토, 속성상토 모두 만들지 못했을 때는 아무흙이나 사용하지 말고 시판되고 있는 원예용
상토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모를 기른다.
다. 상토소독
ㅇ 상토소독 방법에는 소토법, 약품소독, 증기소독 등이 있다.
- 소토법 : 70℃에서 10분간 소독한다.
- 약품소독 : 싸이론, 텔론 등의 약제로 파종 30일 전에 소독.
5. 씨 뿌리기
가.재배방법별 파종시기
재배방법별 |
씨 뿌리는 시기 |
아주심는 시기 |
수확 시기 |
촉 성 재 배 |
10월 중순 |
12중 - 12하 |
2상 - 6중 |
나.씨 뿌리는 양 (㎗/10a)
ㅇ 씨 뿌리는 양은 아주 심을 때 필요한 모수의 150%기준하여 씨를 뿌림 (1㎗의 자수 6,000립)
촉성재배 |
반촉성재배 |
조 숙 재 배 |
터널재배 | |
일반재배 |
밀식재배 | |||
2 |
2 |
1 |
3 |
1 |
다.싹 틔우기
ㅇ 30 ∼ 32℃의 따뜻한 물에 1일간 담근후 건져 28 ∼ 30℃에서 1∼2일간 싹을 1 ∼ 2mm 틔움
라.씨뿌리는 방법
ㅇ 씨 뿌리는 시간 : 가급적 오전 중 실시.
ㅇ 흙 덮는 방법 : 모래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음.
ㅇ 씨 뿌림 간격을 고르게 줄뿌림 : 골사이 8㎝ × 종자사이 0.7㎝.
ㅇ 폿트에 씨를 직접 뿌릴 때는 반드시 싹을 틔워 뿌려야 함.
ㅇ 파종상에 흩어 뿌릴 때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골고루 뿌리도록함.
6. 파종상 관리
ㅇ 파종후에는 충분한 온도(25℃∼30℃로 4∼5일) 및 습도를 유지하여 싹이 빨리 나오도록 한다.
ㅇ 싹이 튼 후에는 온상창을 조금씩 열어 서서히 환기를 실시하고 10일경부터 는 2∼3 일 간격으로
20℃정도의 온수를 오전(10 ∼ 12시경)에 모판흙까지 스며들도록 물을 준다.
7. 가식
가.모판흙에 기를때
시 기 |
모의크기 |
심는거리 |
모판 흙 |
모판소요면적 |
비 고 | |
일반재배 |
밀식재배 | |||||
파종후 |
본잎 |
㎝ |
㎝ |
|
|
10ae당 |
나.폿트 육묘할 때는 폿트크기의 지름이 12∼15㎝되는 폿트에 옮겨 심는다.
육묘방법과 수량과의 관계 (1주당) (崔. 1985)
구 분 |
육묘기 |
생육특성 |
전기수량 |
전체수량 | |||||
초장 |
엽수 |
생체중 |
주초장 |
간장 |
과수 |
과중 |
과수 |
과중 | |
|
㎝ |
|
㎝ |
㎝ |
|
|
g |
|
g |
※모가 웃자라는 것을 막기위해서는 알맞은 모기름 간격을 유지해주고 물주는 횟수를 줄이며
질소비료를 너무 많이 주지 말고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해준다
.
8. 육묘상 관리
가.온도 : 모가 자람에 따라 온도를 낮게 관리한다. → 변온 및 야냉육묘 관리로 튼튼한 모기르기
모기르는 단계별 온도관리 기준
모의크기 |
싹트는 시기 |
본잎2~3매 |
본잎5~6매 |
본잎10~30매 | |
일수 |
7~9일 |
25~30일 |
25~30일 |
25~30일 | |
온도 |
낮 |
28~30℃ |
25℃ |
23~25℃ |
22~25℃ |
밤 |
25℃ |
20℃ |
18~20℃ |
16~25℃ |
나.광환경관리
ㅇ 햇빛쪼임이 가능한 한 많도록 골재율을 낮추고, 광선투과율이 좋은 피복자재를 이용하며, 단동일
경우 동서동으로 짓는다.
ㅇ 일조량이 부족하면 착과절위의 상승, 꽃수감소,꽃의 소질악화 등의 결과를 가져 오므로 채광, 통풍이
잘되게 해 주어야 한다.
다.물주기 : 웃자람을 막기 위해 반드시 오전에 물주기를 하고 모판흙이 마를 때 모판흙 밑까지 충분히
스며들도록 준다.
라.환기 :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으면 웃자라므로 30℃이상되지 않게 환기를 해 준다.
마.영양관리 : 뿌리털 발생을 돕는 인산성분이 부족되지 않게하고 육묘후기에 묘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요소와 제1인산소다 0.3∼0.5%액이나 제4종액비를 2∼3회 엽면시비하거나 관수한다.
바.모 굳히기
ㅇ 아주심기 7∼10일 전부터 온상문을 열어 상내온도를 정식포장의 온도와 비슷하게 낮추어 관리하되
생육최저한계 온도이하로 떨어져서는 안된다.
ㅇ 물주는 양을 줄여서 잎이 소형이 되도록 유도하고 건조에 견디는 힘을 길 러준다
ㅇ 폿트 육묘시 정식 10일 전부터 폿트 간격을 7 ∼ 10㎝정도 띄어주어 햇빛 을 잘 받도록 해준다.
ㅇ 극단적인 모 굳히기는 식상은 적으나 조기수량을 감소시키므로 정식장소에 따라 적당히 한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