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3분기 이자이익 10조원 거뒀지만…증권·카드는 실적 부진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이 올해 3분기 10조원을 웃도는 이자이익을 거뒀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가계·기업대출이 늘면서 이자수익이 증가한 결과다. 올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이자이익도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다. 금융당국이 상생금융 집행 압박에 나선 가운데 정치권에선 은행의 초과이익에 세금을 물리는 횡재세 도입 주장까지 나왔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3분기 5대 은행의 이자이익 총액은 10조445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10조2048억원)보다 2.4% 증가한 것으로 전 분기(10조3948억원)에 비해서도 0.5% 늘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채권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금리를 끌어올렸고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진 기업들이 은행대출을 늘리면서 5대 은행의 3분기 말 원화대출금이 작년 말보다 2%가량 증가했다. 3분기까지 이자이익 총액도 30조9367억원으로 작년 3분기(28조8052억원)보다 7.4% 늘었다.
원화대출금이 336조원으로 가장 많은 국민은행이 3분기까지 7조3319억원의 이자이익을 올렸다. 이어 신한(6조2564억원), 하나(5조9648억원), 농협(5조7666억원), 우리은행(5조6170억원) 순이었다. 국내 여·수신 시장 점유율이70%에 달하는 5대 은행이 고금리 효과로 사상 최대 이자이익을 내면서 은행권에 대한 비판 여론도 한층 거세질 것으로전망된다.
증권·카드 부진…5대 금융, 순이익 15% 줄었다
KB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금융지주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넘게 줄어들었다. 5대금융에 속한 다섯 개 은행이 10조원을 웃도는 이자이익을 거뒀지만 연체율 상승으로 충당금 적립액이 늘었고 증권 보험카드 등 비은행 계열사 실적도 뒷걸음질 쳤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옥죄기와 조달비용 상승 영향으로 금융지주의 4분기실적도 3분기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KB금융 리딩뱅크 탈환할 듯
27일 신한 하나 농협금융이 실적을 발표하면서 5대 금융의 3분기 합계 순이익은 4조7613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3분기(5조6053억원)보다 15.1% 감소했다. 지난 2분기(5조420억원)와 비교해서도 5.6% 줄었다.
신한금융의 3분기 순이익은 1조1921억원으로 작년 3분기에 비해 26.6% 감소했다. 신한은행 희망퇴직 비용(743억원)과 신한투자증권 투자상품 관련 충당부채 적립(1200억원)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게 영향을 미쳤다. 대출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전입액(4678억원)을 작년 3분기보다 2173억원(86.7%) 늘린 점도 순이익 감소 이유로 꼽힌다. 3분기이자이익(2조7633억원)과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9133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68.1% 늘어나 탄탄한 이익 창출 능력을 보여줬다.
농협금융의 3분기 순이익은 3391억원으로 작년 3분기에 비해 55.3% 감소했다. 비이자이익이 같은 기간 5285억원에서 1431억원으로 3854억원(72.9%) 줄어든 결과다. 하나금융의 3분기 순이익도 작년 동기보다 14.9% 줄어든 9570억원에 그쳤지만 3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2조9779억원) 순익을 달성했다.
5대 금융 중 유일하게 KB금융의 3분기 순이익이 작년 동기보다 늘어난 1조3737억원을 기록했다. 국민은행의 저원가성예금이 풍부해 시장 금리 상승에 따른 조달비용 증가 영향을 덜 받은 효과로 분석된다. KB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3704억원으로 신한금융(3조8183억원)을 제치고 올해 ‘리딩뱅크’(1등 금융지주) 자리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비은행 계열사 부진증권 카드 등 비은행 계열사 실적은 부진을 이어갔다. 5대 금융 증권 계열사 네 곳의 올 3분기까지합계 순이익은 1조378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5.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카드 계열사 다섯 곳의 순이익도 작년보다4% 줄어든 1조479억원으로 집계됐다. 단 보험 계열사 여덟 곳은 올해 도입된 새 회계기준(IFRS17) 효과로 작년보다순이익이 3% 증가한 1조5869억원을 기록했다.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5대 금융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화했다. 금융지주 순이익에서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하나금융이 작년 3분기 78.7%에서 올 3분기 92.9%로 상승했다. 우리(89.2%→94.0%) 농협(74.0%→78.5%) 신한금융(60.6%→68.4%)도 은행 의존도가 높아졌다.
금융사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자산 대비 이자이익 비율)은 5대 금융 모두 나빠졌다. KB금융의 3분기NIM은 전분기보다 0.01%포인트 내렸고 신한(2.0%→1.99%) 하나(1.84%→1.79%) 우리(1.85%→1.81%) 농협(1.98%→1.96%)도 수익성이 악화했다.
금융권에선 4분기에도 NIM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발 ‘긴축 장기화’ 여파로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16년 만에 연 5%를 돌파하는 등 조달비용이 치솟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해 대출자산 증가세도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보형/정의진/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
출처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2721661
5대 은행이 3분기에 10조원을 웃도는 이자이익을 거둔 것은 고금리 상황과 대출 증가로 인한 이자수익 증가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5대 은행의 누적 이자이익은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은행의 초과이익에 대한 세금 부과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채권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금리가 올라갔고, 기업들이 은행 대출을 증가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5대 은행의 이자이익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증권, 보험, 카드 등 비은행 계열사는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체율 상승으로 충당금 적립액이 늘었습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5대 금융지주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5%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규제와 조달비용 상승으로 인해 4분기에도 실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이러한 상황에서 정치와 경제 권력 간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정책과 은행, 금융권이 잘 화합하여 기준점을 찾는다면, 이처럼 은행과 금융의 실적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이러한 경제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할 만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첫댓글 좋은 발제글이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