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한명의 작가 선택-작가조사 report 작성
미국의 60년대를 대표하는 새로운 다큐멘터리의 기수
1934년 워싱턴주에 에버딘에서 평범한 유태인 평범한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LA에 있는 아트센터 스쿨(Art Center School)에서 에드워드 카민스키(Edward Kaminski)로부터 사진을 배웠으며,
카민스키는 현대미술의 경향 특히 레오다다이즘에 영향을 받은 작가이다
특징
프리들랜더의 사진을 흔히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찍는다. 공공 기념물, 성조기, 정치적인 포스터는 사회적이 느껴지지만, 사진이 잡다한 일상생활에 초점을 맞춘 주관성 존재, 개인적인 시점의 사진이 오히려 더 많다
사진들이 대부분 거울, 유리창, 쇼윈도 등 다소 차가운 느낌이 드는 도시의 상징적 모습들이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시각에서 보여준 것들이었다. 상징성은 사회에서 받아들이고 그가 작품에서 단순한 상황의 기술, 또 이런 상황에 대한 해석을 내리는 행위는 반드시 작가 의도대로만 읽혀지는 것은 아니다. 즉, 사회적인 코드의 접속에 의해서 “의미”는 새롭게 해석이 된다
ㅊㅊ: https://blog.naver.com/speed599/223644999341 .
2.작가의 작품을 토대로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이 머무는 곳의 '사회적 풍경을 향하여' 를
사람이나 사물에 차가운 느낌을 나타내자, 또한 작가의 모노에 맞춰 후보정을 진행했다
첫댓글 너의 의도를 보자마자 딱 알겠다... 진짜 잘했다..
땡큐땡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