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man in a long duster had dismounted from the wreck and now stood in the middle of the road, looking from the car to the tire and from the tire to the observers in a pleasant, puzzled way.
wreck : ruin에서 가져온 듯한 서재에 있던 부엉이 안경(Owl Eyes)의 사람은 난파선(wreck)에 있었다.
observers : 부엉이 안경의 사람이 보는 사람이고 목격자인데, 목격자가 목격자들을 본다. 여기 목격자들은 파멸을 본 사람들이다.
“See!” he explained. “It went in the ditch.”
The fact was infinitely astonishing to him–and I recognized first the unusual quality of wonder and then the man–it was the late patron of Gatsby’s library.
patron : ruin(파멸)에서 가져온 듯한 서재를 지키는 보호자, 후원자
“How’d it happen?”
He shrugged his shoulders.
“I know nothing whatever about mechanics,” he said decisively.
“But how did it happen? Did you run into the wall?”
“Don’t ask me,” said Owl Eyes, washing his hands of the whole matter. “I know very little about driving–next to nothing. It happened, and that’s all I know.”
Owl Eyes : 앞에서는 ‘A stout, middle-aged man with enormous owl-eyed spectacles’(49:25-26)라고 소개했는데 여기서는 Owl Eyes라고 명명하고 있다. ruin과 같은 서재를 보호하고 있는 이 사람은 난파선(wreck)이 된 자동차를 보호하고 지키고 있는 존재로 등장한다. ruin이나 wreck이 완전히 파멸에 이르지 않는 것은 이 Owl Eyes가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재의 골짜기에 박사의 눈이 지키고 있는 것처럼. 이 지켜보는 존재가 있다는 것은 타락하고 세속에 물든 이 세계에 그래도 구원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차를 몬 사람과 주변에 있는 사람들 모두 술에 취한 채로 운전을 한 것으로 보인다. 술취한 자가 모는 차의 바퀴가 빠졌고, 그 차 안에는 부엉이 눈을 가진 사람이 타고 있다. 피츠제럴드는 당시 미국 사회가 몰락 직전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몰락이 가까워질 즈음에 부엉이의 눈이 지켜보고 있다. 늦었지만 그마저도 없었다면 완전한 절망이었을 것이다. 피츠제럴드는 작가적 감수성으로 잠수정 안의 토끼와 같이 시대를 민감하게 느끼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져야 날기 시작한다."
이 문장의 의미:
철학의 후행적 성격
철학은 역사적 현실이 이미 이루어진 뒤에야 그것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철학은 현실이 형성된 이후에야 그 구조와 본질을 조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철학이 현실을 앞서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현실을 반성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역사와 철학의 관계
"황혼"은 하루가 끝나갈 때, 이미 지나간 시간에 대한 반성의 순간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철학은 역사적 과정을 선도하거나 예견하기보다는, 역사적 현실이 완성된 뒤에야 비로소 그 의미를 깨닫고 체계화합니다.
미네르바와 지혜
미네르바(로마 신화에서 지혜와 전략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에 해당)의 상징인 부엉이는 지혜와 통찰을 상징합니다. 부엉이가 어둠 속에서 날기 시작하듯이, 철학은 현실의 혼란과 복잡함 속에서 진정한 지혜를 발휘합니다.
“Well, if you’re a poor driver you oughtn’t to try driving at night.”
“But I wasn’t even trying,” he explained indignantly, “I wasn’t even trying.”
An awed hush fell upon the bystanders.
“Do you want to commit suicide?”
“You’re lucky it was just a wheel! A bad driver and not even trying!”
“You don’t understand,” explained the criminal. “I wasn’t driving. There’s another man in the car.”
The shock that followed this declaration found voice in a sustained “Ah-h-h!” as the door of the coupé swung slowly open. The crowd–it was now a crowd– stepped back involuntarily and when the door had opened wide there was a ghostly pause. Then, very gradually, part by part, a pale dangling individual stepped out of the wreck, pawing tentatively at the ground with a large uncertain dancing shoe.
Blinded by the glare of the headlights and confused by the incessant groaning of the horns the apparition stood swaying for a moment before he perceived the man in the duster.
“Wha’s matter?” he inquired calmly. “Did we run
outa gas?”
“Look!”
Half a dozen fingers pointed at the amputated wheel–he stared at it for a moment and then looked upward as though he suspected that it had dropped from the sky.
“It came off,” some one explained.
He nodded.
“At first I din’ notice we’d stopped.”
A pause. Then, taking a long breath and straightening his shoulders he remarked in a determined voice:
“Wonder’ff tell me where there’s a gas’line station?”
- wonder'ff : I wonder if ~ 라는 문장인데 술이 취해서 제대로 말을 못하고 있는 것을 뜻함
At least a dozen men, some of them little better off than he was, explained to him that wheel and car were no longer joined by any physical bond.
“Back out,” he suggested after a moment. “Put her in reverse.”
“But the wheel’s off!”
He hesitated.
“No harm in trying,” he said.
The caterwauling horns had reached a crescendo and I turned away and cut across the lawn toward home. I glanced back once. A wafer of a moon was shining over Gatsby’s house, making the night fine as before and surviving the laughter and the sound of his still glowing garden. A sudden emptiness seemed to flow now from the windows and the great doors, endowing with complete isolation the figure of the host who stood on the porch, his hand up in a formal gesture of farewell.
wafer of the moon : 직역하면 "달의 웨이퍼"라는 뜻인데, 이 표현은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wafer"는 얇고 평평한 물체를 의미하며, 주로 초콜릿이나 반도체 웨이퍼처럼 얇은 판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시적이거나 비유적인 맥락에서 "달의 얇은 조각" 또는 "달의 얇은 모습"처럼 해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문학적 표현에서는 초승달이나 반달처럼 얇고 가느다란 달의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개츠비의 모습에서 공허(emptiness)와 고독(isolation)을 보고 있다.
Reading over what I have written so far I see I have given the impression that the events of three nights several weeks apart were all that absorbed me. On the contrary they were merely casual events in a crowded summer and, until much later, they absorbed me infinitely less than my personal affairs.
Most of the time I worked. In the early morning the sun threw my shadow westward as I hurried down the white chasms of lower New York to the Probity Trust. I knew the other clerks and young bond-salesmen by their first names and lunched with them in dark crowded restaurants on little pig sausages and mashed potatoes and coffee. I even had a short affair with a girl who lived in Jersey City and worked in the accounting department, but her brother began throwing mean looks in my direction so when she went on her vacation in July I let it blow quietly away.
- white chasms : 아주 깊은 틈이나 구멍 혹은 협곡을 뜻하는 chasm이 하얗다. 빌딩과 빌딩 사이의 긴 공간이 희다는 것이다. 원래는 chasm이 검은색이지만 빌딩이 검은색이고 깊은 틈이 흰색이 된 것은 역설적이다.
- her brother began throwing mean looks in my direction : 닉이 사귀던 여자의 오빠가 동성애자일 가능성? mean looks는 남자가 성애의 대상으로 남자를 바라보는 시선?
I took dinner usually at the Yale Club—for some reason it was the gloomiest event of my day—and then I went upstairs to the library and studied investments and securities for a conscientious hour. There were generally a few rioters around but they never came into the library so it was a good place to work. After that, if the night was mellow I strolled down Madison Avenue past the old Murray Hill Hotel and over Thirty-third Street to the Pennsylvania Station.
Yale Club : Vanderbilt Avenue 50에 있었다. 예일대 졸업생들과 직원들만 이용할 수 있었던 이 클럽은 1920년대에는 Grand Central Station 가까이에 있었다. 1915년에 완공되었으며, 맨해튼의 44번가와 반더빌트 애비뉴(Vanderbilt Avenue) 근처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건물은 **제임스 갬블 로저스(James Gamble Rogers)**라는 건축가가 설계했습니다. 그는 예일대학교 캠퍼스의 여러 건물을 설계한 바 있습니다.
클럽하우스는 뉴욕시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22층 건물 안에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객실, 레스토랑, 바, 도서관, 피트니스 센터, 그리고 행사 공간 등이 포함됩니다.
I began to like New York, the racy, adventurous feel of it at night and the satisfaction that the constant flicker of men and women and machines gives to the restless eye. I liked to walk up Fifth Avenue and pick out romantic women from the crowd and imagine that in a few minutes I was going to enter into their lives, and no one would ever know or disapprove. Sometimes, in my mind, I followed them to their apartments on the corners of hidden streets, and they turned and smiled back at me before they faded through a door into warm darkness. At the enchanted metropolitan twilight I felt a haunting loneliness sometimes, and felt it in others–poor young clerks who loitered in front of windows waiting until it was time for a solitary restaurant dinner–young clerks in the dusk, wasting the most poignant moments of night and life.
Fifth Avenue: 1920년대 뉴욕의 5번가(5th Avenue)는 당시의 경제적 번영과 문화적 변화가 반영된 화려하고 활기찬 거리였습니다. 아래는 당시 5번가의 분위기를 묘사한 요소들입니다:
### 1. **건축 양식**
- 고층 빌딩과 아르데코 스타일의 건축물이 등장하던 시기였습니다.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아직 건설 중이었지만, 5번가에는 이미 화려한 상업 건물이 줄지어 있었습니다.
### 2. **패션과 사람들**
- 5번가는 뉴욕의 상류층이 쇼핑과 사교 활동을 즐기던 장소였습니다.
- 남성들은 정장을, 여성들은 1920년대 유행했던 플래퍼 드레스와 클로슈 모자를 착용하며 도시의 세련된 분위기를 이끌었습니다.
### 3. **쇼핑과 상업 중심지**
- 유명 백화점인 로드 앤 테일러(Lord & Taylor), 삭스 피프스 애비뉴(Saks Fifth Avenue) 같은 고급 매장이 5번가를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쇼윈도는 화려하게 꾸며졌고, 사람들이 윈도우 쇼핑을 즐겼습니다.
### 4. **교통**
- 자동차가 점점 대중화되며 말과 마차 대신 차량들이 5번가를 오갔습니다.
- 동시에 거리에는 여전히 트롤리와 도보로 이동하는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 5. **사회적 변화**
- 1920년대는 "재즈 시대(Jazz Age)"로도 불리며, 금주법(1920-1933) 시대였습니다.
- 고급스러운 레스토랑과 클럽이 존재했으며, 일부는 금주법의 영향으로 은밀히 운영되는 스피크이지(speakeasy)로 변하기도 했습니다.
### 6. **공공행사와 퍼레이드**
- 5번가는 퍼레이드와 공공행사가 자주 열리던 장소로, 사람들은 축제를 즐기고 활기를 더했습니다.
당시의 5번가는 현대적인 삶의 상징으로, 풍요와 사교, 세련된 패션이 모두 어우러진 장소였습니다.
loneliness : crowded(60:31; 61:7), strolled down Maison Avenue(61:19), no one would ever know or disapprove(61:27-28), apartments(61:29), metropolitan(61:31-62:1), loneliness(62:1), loitered(62:1)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현대성과 도시 경험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보들레르의 시와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주제를 통해 근대 도시의 모순과 시인의 역할을 탐구했습니다. 여기에서 벤야민의 분석을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 1. **군중 속의 고독: 현대성의 아이러니**
보들레르는 파리의 급격한 근대화를 목격한 시인으로, 그의 작품에서 군중은 중요한 주제입니다. 벤야민은 보들레르의 시를 통해 현대 도시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고립**과 **소외**를 설명합니다. 보들레르에게 군중은 단순히 물리적인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 아니라, 익명성과 단절감을 상징합니다.
- **군중 속의 고독**은 개인이 군중 속에서 익명의 상태로 존재하며, 동시에 고립을 느끼는 경험을 뜻합니다.
- 보들레르는 이 상황에서 **시인의 역할**을 특별히 강조합니다. 그는 군중 속에서 "관찰자"로서 행동하며, 이를 통해 도시의 파편적인 경험을 포착하려 합니다.
### 2. **산책자(플라뇌르, Flâneur)와 현대 도시**
벤야민은 보들레르의 시를 분석하며 **산책자(flâneur)**라는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산책자는 도시의 거리를 배회하며, 군중 속에서 관찰과 탐구를 통해 도시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인물입니다.
- **산책자와 군중**: 산책자는 군중 속에 섞이지만, 완전히 속하지 않습니다. 그는 도시의 익명성 속에서 자유를 느끼는 동시에 거리를 두고 비판적으로 관찰합니다.
- 보들레르의 시에서 산책자는 근대 도시의 아이러니와 모순을 포착하며, 예술적 영감을 얻는 존재입니다.
### 3. **충격과 소외: 현대성의 본질**
벤야민은 보들레르의 시에서 **충격(erlebnis)**과 **소외**를 근대성의 핵심적인 경험으로 분석했습니다.
- 도시의 삶은 끊임없이 자극적이고 파편화되어 있어 개인에게 충격을 줍니다. 이 충격은 한편으로는 창의적 영감을 줄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체성을 위협하고 소외를 심화시킵니다.
- 보들레르의 시는 이러한 도시의 충격적인 경험을 언어로 형상화하려는 시도로 이해됩니다.
### 4. **기억과 현대성**
벤야민은 보들레르의 시에서 "기억"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보들레르는 근대적 삶의 파편성과 일시성을 극복하려는 시도로 과거와의 연결을 추구합니다.
- **이미지와 알레고리**: 보들레르의 시는 알레고리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현대의 삶을 비판적으로 반영합니다.
- 벤야민은 이러한 시도를 **현대성의 비판적 역사화**로 보았습니다.
### 결론
벤야민은 보들레르의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 도시의 본질과 개인의 존재 조건을 탐구했습니다. 그는 보들레르를 단순히 낭만주의적 시인으로 보지 않고, 근대성의 모순과 도시적 경험을 비판적으로 포착한 인물로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벤야민은 현대 사회의 소외, 익명성, 충격 등의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
Again at eight o’clock, when the dark lanes of the Forties were five deep with throbbing taxi cabs, bound for the theatre district, I felt a sinking in my heart. Forms leaned together in the taxis as they waited, and voices sang, and there was laughter from unheard jokes, and lighted cigarettes outlined unintelligible gestures inside. Imagining that I, too, was hurrying toward gayety and sharing their intimate excitement, I wished them well.
were five deep : 초판에는 were lined five deep로 되어 있었다.
- lighted cigarettes outlined unintelligible gestures inside : 초판에는 lighted cigarettes made unintelligible circles inside로 되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