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지사 공관은 현재 주인없이 충남도에서 배치된 관리 인력만 근무하고 있다. | 최근 시민단체에서 폐지를 주장하고 있는 충남도지사 관사는 어떤 모습일까. <디트뉴스24>는 이런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5일 관사를 찾아 모습을 살펴 봤다.
우선 관사로 일컬어지는 충남도 관사는 총 10개 건물로 돼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충남지사 공관이며 이밖에 행정부지사, 기획관, 경제통상실장, 기획관리실장, 도청이전본부장, 국제관계 자문대사 등 대전에 기거할 곳이 없는 도청내 주요 간부들이 사용하는 관사가 포함돼 있다.
이 중 충남지사 공관은 현재 주인이 없다. 지난 연말 이완구 전 지사가 지사직에서 물러난 이후부터 줄곧 빈집으로 남겨져 있다. 안희정 당선자가 오는 7월 1일 취임이후에는 새로운 주인이 된다. 공관은 중구 대흥동 326-67번지에 있으며 대지면적은 3388㎡, 건물면적은 382㎡다.
|
 |
|
충남지사 공관은 건축적인 면과 함께 역사성까지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내부 사진 촬영은 충남도에서 불가방침에 따라 이뤄지지 못했다. | 이 공관은 일제시대인 1932년 4월 27일부터 같은 해 9월 15일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시공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건물 내부 바닥과 창문, 화장실 등의 일부 자재가 교체됐으나 기본 골격은 원형을 유지하면서 당시 대전지역 주택 연구의 자료가 되고 있기도 하다.
공관이 세인들의 이목을 모은 것은 지난 1950년 전쟁 당시 6월 27일부터 7월 1일까지 이승만 대통령이 기거하며 유엔군의 참전을 요구하고 주한 미군의 지위에 관한 일명 ‘대전 협정’이 조인된 곳이라는 데 있다. 충남지사 공관은 건축적인 측면과 역사성이 인정돼 현재 대전시 문화재 자료로 등록돼 관리중이다.
관사촌은 충남지사 공관과 함께 9동의 건물이 더 있다. 이 중 현재 주인이 있는 곳은 행정부지사와 국제관계 자문대사, 정책기획관, 경제통상실장, 도청이전본부장, 기획관리실장 등 6곳이다. 정무부지사용 관사 등 3곳은 비어있다.
|
 |
|
충남지사 공관에는 건물 이외에 정원과 산책로 등이 멋스럽게 꾸며져 있다. |
관사 중 행정부지사와 기획관이 묵고 있는 곳 등 4곳은 도 본청 건물과 함께 국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돼 있다. 충남도는 이들 관사 관리를 위해 연간 1500만원 가량의 관리비가 소요되며 매일 한명씩 경비 인력이 근무중이라고 밝혔다.
충남도는 최근 시민단체의 관사 폐지 요구에 대해 “2012년이면 충남도청이 홍성과 예산으로 이전하기 때문에 그 시기에 맞춰 도 본청과 함께 총괄적으로 (매각 등)계획이 수립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
 |
|
관사촌에는 충남지사 공관 이외에 행정부지사나 기획실장 등 대전에 기거할 곳이 없는 도청내 주요 간부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