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落在天水上地盡(월락재천 수상지진)'
한국 최초의 영세자이며 한국 천주교회 창설자 중의 한 사람인 이승훈 베드로(李承薰, 1756-1801년)의 묘 앞에 서면 그가 1801년 신유박해로 참수되기 직전에 읊었던 한시(漢詩)가 마음속에 떠오른다.
"'달은 비록 서산에 지더라도 하늘에 남아 있음'과 같이 남이 비록 나더러 배교했다 말하더라도 내 신앙은 천주 안에 그대로 남아 있고 '물이 비록 못 위로 치솟아도 그 못 속에 온전함 같이' 내 목숨을 앗아 가도 내 신앙은 변함이 없다."
인간적 약점으로 인해 여러 차례 천주를 부인한 이승훈은 이승을 하직하는 자리에서 스스로에 대한 애절한 후회와 자책을 이 한 구절 시구(詩句) 속에 절절히 담았다. 그리고 그는 이 몇 마디 한시를 통해 결코 자신의 신앙은 변함이 없음을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 주었던 것이다.
비록 몇 차례의 배교를 했다 해도 그가 한국 천주교회사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조금도 감소되지 않는다.
이승훈은 평창(平昌) 이씨 가문의 부친 이동욱(李東郁)과 모친 여주(驪州) 이씨 사이에서 1756년 태어났다. 24세의 젊은 나이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을 단념한 그는 당대의 명문가인 마재 정씨 가문 정약용의 누이동생과 결혼하여 그들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게 된다.
당대의 석학 이벽(李壁)과도 교분을 갖게 된 그는 정약용 형제들과 천진암 강학회에 참석하던 중 이벽의 권유로 1783년 말 동지사(冬至使)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된 부친을 따라 북경으로 가게 된다. 그는 북경에 머무르는 동안 북당(北堂)에서 예수회 선교사들에게서 교리를 배워 이듬해 그라몽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의 영세자가 된다.
영세 후 천주교 교리 서적, 십자고상, 상본 등을 갖고 귀국해 이벽, 정약종 · 약전 · 약용 형제, 권일신 등에게 세례를 베풀고 다시 이벽으로 하여금 최창현, 최인길 등에게 세례를 베풀게 하며 1785년에는 서울 명례방 김범우의 집에서 종교 집회를 갖는 등 신자 공동체를 형성시켜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를 창설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그 해 명례방 집회가 형조의 관헌에게 적발되는 이른바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 발생하자 그는 천주교 서적을 불태우고 벽이문(闢異文)을 지어 첫 번째 배교를 한다.
하지만 그는 1786년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가성직제도(假聖職制度)를 주도한다. 그 후 1790년 북경에 밀사로 파견됐던 윤유일이 돌아와 가성직 제도와 조상 제사를 금지한 북경 교구장 구베아 주교의 명을 전하자 조상 제사 문제로 다시 교회를 떠났다.
그 후에도 이승훈은 여러 차례 배교를 했고 마침내 1801년 신유박해로 3월 22일 이가환, 정약용, 홍낙민 등과 함께 체포된 후 4월 8일 다른 6명의 교우들과 함께 참수되었다.
비록 그는 이처럼 여러 번 배교했으나 이 땅에 복음의 첫 번째 씨앗을 뿌린 선구자였고 그로부터 시작된 신앙은 후손들에게 이어져 아들 신규와 손자 재의는 1866년 병인박해 때, 증손 이연구 · 균구는 1871년에 각각 순교했다.
조선 교구 설정 150주년을 기념한 1981년 반주골에 안장되었던 이승훈의 유해가 천진암의 한국 천주교회 창립 선조 묘역으로 이장되어 정약종, 권철신 · 일신 형제, 이벽 옆에 나란히 모셔졌다. 반주골의 이승훈 묘는 2011년 12월 29일 인천시 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2년 1월 15일)]
100여 년의 박해시대를 거친 한국 천주교회에는 적게는 1만 명, 많게는 3만 명의 순교자들이 있지만 이름 정도라도 알려진 순교자는 약 1,000여 명에 불과하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목숨 바쳐 신앙을 증거한 수많은 신앙선조들의 이름조차 알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순교자들의 이름이나 행적을 모른다고 해서 그들의 신앙과 고귀한 순교 정신까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1996년 가을 인천 가톨릭대학교가 주축이 되어 시작한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 조성 사업은 순교자들의 위대한 정신과 삶을 현양하고 널리 전함으로써 하느님과 선조 순교자들에게 영광을 드린다는 취지에서 추진되었다. 인천교구는 섬 전체가 역사 유적지이자 순교 터이기도 한 강화도의 ‘강화 청소년 야영장’ 내 일부 부지에 2002년 8월 14일 최기산 주교의 주례로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을 조성해 한국의 순교자들, 특히 무명 순교자들에게 봉헌하였다.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이 봉헌된 강화 청소년 야영장은 숙박시설 없이 강당과 수영장 등만 있어 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2001년 12월 공사를 시작해 2004년 5월 5일 숙박시설과 식당, 인공암벽 등 제반 시설을 갖춘 후 ‘바다의 별 청소년 수련원’으로 축복식을 갖고 개원하였다.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 조성 당시 성모당과 십자가의 길, 순교자 현양당 등이 들어섰다. 이어서 전국 유명 성지의 상징물이 있는 ‘순교자의 길’이 조성되었고, 무명 순교자상과 무명 순교자 현양탑, 연못을 돌며 묵주기도를 바칠 수 있는 ‘묵주 연못’ 등이 조성되었다. 2005년 11월 3일에는 기존의 강당 건물을 리모델링한 ‘무명관’ 2층에 70여 평 규모의 ‘일만위 순교자 기념성당’을 마련했다. 무명관은 2층 성당과 함께 1층에 삼덕방과 역사박물관 등을 갖추고 있다. 삼덕방은 사제와 수도자들을 위한 소규모의 피정 장소로 사용된다. 또한 기념성당에는 홀로 기도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개인 성체조배실도 마련되었다.
2007년 6월 26일에는 청소년 수련원 우측 계곡 옆으로 ‘주님 위로의 동산’과 ‘순교자의 십자가 길’을 조성하여 축복식을 거행했다. ‘위로의 주님상’이 세워진 주님 위로의 동산은 세상 근심과 걱정에 지친 신자들이 자비로우신 예수 성심께 기도하며 참된 위로와 평화를 얻을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조각가 조숙의 교수가 제작한 ‘위로의 주님상’은 고통으로 신음하는 예수님이 아닌 자상하고 인자로운 미소를 지으며 근심에 쌓인 인간을 품에 안아 주시려 두 팔을 벌린 예수님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또 ‘순교자의 십자가 길’에는 한국 천주교회의 창립부터 성장기까지 교회사의 중요한 15가지 역사적 사건을 형상화한 십자가의 길 15처를 배치해 온갖 박해와 시련 속에서도 모든 것을 바친 순교자들의 신앙을 묵상하며 기도할 수 있게 했다.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 내 성모당 바로 아래에는 병인박해 때 순교한 남종삼 요한 성인의 유해 일부를 모신 ‘성 남종삼 기념관’도 건립되었다. 이 유해는 성인의 후손인 남기윤(베네딕토) 씨가 큰고모인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남형우 수녀에게 인도받아 기증한 것으로 척추 뼈 1점, 치아 4점, 슬개골 1점, 머리카락과 부위가 불명확한 부스러기 뼈 등이다. 인천교구는 2004년 8월 31일 유해 봉안예식을 갖고 임시로 주교관 경당 감실로 옮겨 모셨다. 유해에 대한 방부 처리를 거쳐 일부는 그 해 9월 7일 갑곶 순교성지에 봉안하였고, 나머지는 2007년 10월 26일 축복식을 가진 성 남종삼 기념관에 모셨다. 이 기념관에는 성인의 유해 10여점과 성인의 생애에 대한 소개 자료, 기적 증거 자료 등이 보존 · 전시되어 있다.
한국 일만위 순교자 현양동산은 ‘순교자를 위한 곳’이 아니다. 오히려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 신앙인들을 위한 곳이다. 순교자들의 신앙을 통해 하느님께 더욱 가까이 가는 ‘길’을 찾고 배우는 ‘신앙의 학교’이다. 또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누구나 편하게 찾아와 기도하고 쉬어갈 수 있는 ‘삶의 성지’이다. 모든 근심 걱정을 내려놓고 오르다보면 무명 순교자들의 위로와 격려를 느낄 수 있고, 하느님께 더욱 가까이 다가서는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최종수정 2013년 5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