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祀(예기, 주자가례, 사례편람 참고)
◎제사상 차림의 원칙: 고기, 생선 등 天産은 홀수, 과일 등 地産은 짝수.
병풍을 북쪽, 우측을 동쪽으로 간주
1열: 밥, 국, 수저
2열: 어동육서, 두동미서(배는 신위 방향), 3탕(고기, 생선, 두부 찌개)
3열: 좌포우혜, 생동숙서
4열: 홍동백서
대추는 자손 번성, 밤은 조상 기림, 감은 베품
◎제사의 절차(執典)
1. 降神(강신)과 參神(참신): 제주가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받아 퇴주 그릇(茅沙; 모사)에 3번 나누어 붓는다. 모두 함께 절한다.
2. 初獻(초헌)과 讀祝(독축): 제주가 술잔을 올리고, 모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 祝官(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축문이 끝나면 모두 절한다.
3. 亞獻(아헌): 맏며느리나 근친자가 술잔을 올린다.
4. 終獻(종헌): 연장자가 술잔을 올린다.
5. 揷匙(삽시), 闔門(합문)과 啓門(계문): 숟가락을 밥에 꽂고 젓가락은 반찬에 올려놓는다. 조상이 식사하는 동안 문을 닫고 밖에서 기다림(3분 정도). 문을 열 때는 헛기침을 3번 한다.
6. 獻茶(헌다):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린다. 밥을 3 숟가락 떠서 물에 넣은 뒤 숟가락을 물에 담근다. 그리고 모두 절한다.
7. 撤匙(철시)와 辭神(사신): 수저를 거두고 술을 3회 첨잔한다. 모두 절하며 조상신을 보낸다.
명절 차례는 아침 9시, 기제사는 저녁 9시. (전통적으로 밤 12시 이후에 지내는 것은 이 시간이 귀신이 안전하다고 생각했기 때문).
神位奉安(신위봉안): 祭廳(제청)에 지방이나 사진을 모신다.
※참고: 갈치, 멸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과 고춧가루 음식은 금기시됨. 복숭아는 저승으로 데려간 나무라는 전설로 금기시됨.
◎지방 쓰기: 顯考學生府君神位(학생인 아버지가 나타나셨다는 뜻)
顯妣孺人冶城宋氏神位(유인인 야성송씨인 어머니가 나타나셨다는 뜻)
현대식: 아버님 신위, 어머님 야성송씨 신위
◎茶禮: 정월초하루, 한식, 단오, 추석에 사당에 차를 올리는 례에서 유래함(1939년에 설, 추석만 권장함). 시절 음식을 차렸다. 독축 없이 한 번만 술을 올리고 절함.
◎忌祭: 조상이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내는 제사(밤 12 ~ 1시 사이에 지내므로 실제로는 사망한 날에 지내는 셈이다).
◎墓祭 및 時祭: 음력 10월에 묘소에서 행하는 제사. 기제사를 지내지 않는 조상.
◎時祭: 2, 5, 8, 11월에 사당이나 대청에서 지내는 제사(없어짐).
◎제사의 윤회봉사: 기제사와 차례(설, 추석)를 형제끼리 돌아가면서 지내면 형제간에 서로 방문할 수 있어 좋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