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결성장씨(結城張氏) 원문보기 글쓴이: 장팔현
관 직 비 교(고려 : 대한민국) | ||||||||
고려시대 |
대한민국 | |||||||
품계 |
입법/사법/행정/외직/무관 |
입법 |
사법 |
행정부 |
지자체 |
군인 |
경찰 |
급수 |
|
王 |
국회의장 |
대법원장 |
대통령 |
|
|
|
|
종1품 |
․중서령(도첨의→첨의정승) ․판문하성사 ․시중(侍中:후일의 첨의중찬[僉議中贊]) ․상서령 ․판상서상사 ․감수국사 ․판삼사 |
|
|
국무총리 |
|
|
|
|
정2품 |
․좌우복야(左右僕射) ․중서시랑(중서성소속) ․춘추관(2품 이상의 타관이 겸임) ․찬성사 ․판내시부사 ․평장사(문하부 소속의 문하시랑․중서시랑․내사시랑) ․태자빈객 ․상서 ․상주국(上柱國:문종 때) ․태학(대제학) |
부의장 |
|
부총리 |
|
|
|
|
종2품 |
․문하평리 ․판중추부사 ․지추밀원사 ․정당문학 ․참지정사 ․동지(同知) ․주국(柱國:문종 때) |
상임위원장 |
대법원 판 사 |
장․차관 |
특별시장 |
|
|
|
정3품(당상관) |
․부사(추밀원) ․지신사(知申事→지주사) ․제거(提擧:보문각, 국자감의 벼슬) ․상시 ․대사성 ․상장군(상호군) ․승선(승지→대언) ․밀직부사(密直府事) ․감(監) ․경(卿) |
|
법원장 검사장 |
차관보 |
광역시장
|
대장 |
치안총감 |
1급 |
종3품 (당하관) |
․제주(祭酒) ․비서감 ․좌우사간(左右司諫) ․지공거(知貢擧) ․대장군(무관) |
|
4호이상 판 검사 |
관리관
이사관 |
시장 |
중장 |
|
2급 |
정4품 |
․지공거(知貢擧:종3품 일 때도 있음) ․봉상대부(奉常大夫) ․장군(將軍) ․정의대부(正議大夫) |
|
6호이상 판 검사 |
부이사관 |
|
소장 준장 |
치안정감 |
3급
|
종4품 |
․직학사(直學士) ․봉상(奉常=봉상대부) ․태부소경(太府少卿) ․국자사업(國子司業) ․간의(간의대부) ․급사중(給事中) |
|
|
|
|
|
| |
정5품 |
․낭중(郎中)․중랑장(中郞將)․조의대부(朝議大夫,상[上]) |
|
9호이상 판 검사 |
서기관 |
군수 부군수 국장 |
대령 |
치안감 |
|
종5품 |
․시어사(侍御史) ․비서승(秘書丞) ․기거주(起居注) |
|
|
사무관 |
과장(면장) |
중령 |
경무관 |
5급 |
정6품 |
․주부(主簿) ․원외랑(員外郞) ․낭장(무관) ․습유(拾遺) ․보궐(補闕) ․상의봉어(尙衣奉御) ․조의랑(朝議郞,상([上]) |
|
| |||||
종6품 |
․내급사(內給事) ․비서교랑(秘書校郞) ․낭장(郎將)․비서랑(秘書郞) ․내알자감(內謁者監) |
|
|
|
|
|
|
|
정7품 |
․지후(祗侯) ․내시백(內侍伯) ․별장(무관) |
|
|
주사 |
주사(계장) |
소령 |
충경 경정 |
6급 |
종7품 |
․삼사도사(三司都事) ․문하녹사(門下錄事) |
|
|
주사보 |
주사보
|
대위 |
|
7급 |
정8품 |
․녹사(錄事) ․선절교위(宣折校尉) ․시금(侍禁) ․선절부위(宣折副尉) ․약장승(藥藏丞) ․직사관(直史館) ․좌시금(左侍禁) ․산원(무관) |
|
| |||||
종8품 |
․내알자(內謁者) ․주부(主簿) ․승무랑(承務郎) ․좌반전직(左班殿直) |
|
|
중위 |
경감
| |||
정9품 |
․교서랑(敎書郞) ․등사랑(登仕郎) ․교위(무관) ․오위(伍尉) ․검약(檢藥) ․삼반봉직(三班奉職) |
|
|
서 기 |
서 기 |
소위 |
경위 |
8급 |
종9품 |
․학유(學諭) ․조교(助敎:) ․직학(直學) ․내반종사(內班從事) ․의정(醫正) ․통사(通事) ․대정(무관) |
|
|
서기보 |
서기보 |
준위 |
경사 |
9급 |
* 고려시대 무관직은 조선시대에 비해 직급이 낮았는데, 무신난 이후의 영향이 아닌가 한다.
고려시대의 관직은 조선시대 보다 대체적으로 1품 낮았다.
본 비교표는 저자가 장하의 관직 승진과정을 참고하여 만들었음을 밝힌다.
** 영동정은 종9품, 그것도 산직(명예직)으로 품계에도 넣기 힘든 직급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