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제국의 말로, '쌍화점의 시대'의 종말-1
'성(性)적 에너지' 충만한 홍대앞을 가보니…
서울 홍대 앞 거리에 가끔 간다. 갈 때마다 놀란다. 젊은 예술인들이 활동하던 그곳은, 이제 그저 그런 유흥가가 돼 버렸다. 흥청대는 사람들은 갈수록 늘어나는데, 개성은 점점 희미해진다. 예술적 열정을 밀어낸 자리에 들어선 것은 성(性)적 에너지다. 이대로 가면, 룸살롱과 나이트클럽이 즐비한 강남 유흥가처럼 되는 것 아닐까.
이런 생각을 하며 떠올린 게 고려가요 '쌍화점'이다. 몽골의 부마국이었던 당시 고려의 자유분방한 성(性)풍속을 보여주는 노래다. 노래 속 무대인 쌍화점은 외국인이 경영하던 상화병(술을 넣어 발효시킨 만두 떡, 일종의 호떡) 가게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데, 요즘 식으로라면 '분식집', 아니면 '호떡집'쯤 되겠다. 다른 주장도 있다. 박덕유 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쌍화점이 만두 파는 분식집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아랍에서 수입한 사치스런 유리나 보석 세공품을 파는 가게라는 게다. 요즘으로 치면 '수입 명품점'쯤 되겠다.
어느 주장이 맞는지를 가리는 것은 전문가의 몫이다. 하지만 보통사람의 눈으로 보기엔, 성적 일탈의 무대로는, 분식집이나 호떡집보다는 수입 명품점이 더 그럴싸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샤테크'와 '스폰' 문화, 그리고 '쌍화점'의 시대
강남이나 신촌, 또는 홍대 앞 유흥가에서 '쌍화점'을 떠올린 것은 그래서였다. 경제가 어렵다지만 수입 명품에 열광하는 세태는 여전하다. 인터넷에선 이른바 '샤테크'라는 말이 유행한다. 한국의 유난스런 명품 소비 행태를 잘 아는 외국 업체들이 해마다 제품 가격을 올리다 보니, 아예 명품 브랜드인 샤넬 제품을 미리 사뒀다가 나중에 팔면 돈이 된다는 뜻에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아사희'라는 필명을 쓰는 요가 강사는 지난 9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이른바 '스폰' 문화에 대해 적나라한 고백을 했다. 강남의 옷가게나 찻집에 있으면 돈 많은 남성들이 다가와 돈과 성(性)을 맞바꾸는 거래를 제안한다는 이야기다. 물론 극소수의 이야기겠지만, '수입 명품 가방'의 유혹에 못 이겨 이런 거래에 응하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박덕유 교수의 해석이 맞다면) 수입 명품점에서 벌어지는 성적 일탈을 다룬 노래인 '쌍화점'은 고려 충렬왕 때 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가 몽골의 지배를 받던 시기의 첫 번째 왕이다. '쌍화점'의 시대는, 요즘으로 치면 '세계화'의 시대였다. 지금의 세계가 '달러'를 중심으로 움직이듯, 당시 세계는 '교초'라는 지폐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몽골제국의 지폐 '교초'가 동쪽의 고려부터 서쪽의 시리아까지 두루 쓰이면서, 이들 지역은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였다. 고려 귀족 부인들의 눈을 홀리는 명품을 팔고 다니는 아랍 출신 '회회아비'는 익숙한 풍경이었을 게다.
교초 가치 폭락과 고려의 멸망…미국 재정 위기의 결과는?
몽골제국은 아랍과의 교역에서 막대한 환차익을 얻었다. 지폐의 가치를 보증하기 위해 보유한 귀금속은 아랍으로 흘러들어갔다. 아랍 지역은 은의 가치를 중국보다 더 높이 평가해줬기 때문이다.
고려의 귀족들은 몽골지폐 교초를 잔뜩 보유했다. 몽골제국의 2차 일본원정 당시 몽골제국이 일본으로 파병될 고려 병사들에게 지급한 급료가 교초 3000정이다. 은(銀)으로 환산하면 7만5000냥이다. 그리고 전함 건조 비용으로 이와 비슷한 금액을 지불했다. 고려가 동원한 말에 대한 비용으로는 교초 800정(은 2만 냥)을 지불했다. 오랜 대몽항전으로 망가진 고려 경제에 외화가 쏟아졌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에 한국이 참전하고 받은 달러와 비슷한 효과다. 고려 조정은 막대한 외화 보유고를 쌓았고, 귀족들은 아랍산 명품을 들고 유혹하는 회회아비들에게 교초를 뿌렸다.
그러나 화려한 '쌍화점'의 시대는 오래가지 않았다. 몽골의 지배를 받던 시기, 고려왕들의 이름은 모두 '충(忠)'자로 시작한다. 이름에서 '충(忠)'자를 떼어낸 첫 번째 임금이 공민왕인데, 이 무렵부터 몽골식 '세계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 은과 태환되는 지폐였던 교초는 사실상 불환지폐가 됐다. 미국의 달러와 비슷한 궤적이다. 1971년까지는 누구든 35달러를 내면 금 1온스를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의 달러는 가치가 고정돼 있지 않다.
공민왕 시기, 몽골제국의 재정은 파탄 직전이었다. 빚으로 지탱하는 정부는 반란자들에게 만만해 보인다. 봉급이 불안한 군인과 관료가 정부에 충성할 리 없으니 말이다. 숨어있던 갈등이 폭발했고, 몽골제국의 영역은 그들의 고향으로 쪼그라들었다. 고려 역시 후유증을 겪었다. 몽골과 유착한 권문세족이 보유한 교초가 휴지조각이 되면서, 그들은 힘을 잃었다. 왕실 재정 역시 같은 운명이었다. 남쪽의 왜구를 막는데 드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던 고려 왕실은 북방의 이성계 세력에 의존했다. 결국 이성계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스스로 왕이 됐다.
이런 역사를 떠올리면, 세계제국의 재정위기가 불안해지는 게 당연하다.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는 위기를 맞았다. 미국과 동맹 관계인 한국으로서는 긴장할 수밖에 없다.
미국 재정 위기가 주는 교훈 : '부자 감세'의 위험
그러나 이번 사태를 다루는 보수 언론의 태도는 사실 선동에 가깝다. 이들 언론은 이른바 '복지 포퓰리즘'을 경계하는 기사를 쏟아낸다. 하지만 국채 신용이 강등되고 재정위기를 맞은 미국은 복지국가와 거리가 멀다. 애초 복지국가가 아니었던 나라가 겪는 재정위기를 복지 지출과 엮어서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다.
미국이 겪는 재정위기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전쟁이다. 지난 6월 29일자 <로이터> 통신은 미 브라운대학의 왓슨국제관계연구소가 발표한 '전쟁 비용(Costs of War)' 보고서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이 2001년 9.11 테러 이후 10년간의 전쟁에서 쓴 비용은 최대 4조4000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올 2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의회에 제출한 2012년 회계연도 미국 정부 총 예산안 3조7290억 달러를 훨씬 웃도는 금액이다. 두 번째는 부시 대통령의 감세 정책이다. 이로 인한 세입 감소가 대략 1조2000억 달러다. 세 번째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발생한 지출이다. 구제금융 법안과 경기 부양에 미국 정부가 쏟아 부은 달러는 조 단위로 계산한다.
이런 점을 살핀다면, 이번 사태의 교훈으로 이명박 정부가 부시 대통령을 흉내 낸 '부자 감세' 정책이 지닌 위험을 짚는 게 옳다. 또 부실 금융기관에 국민 세금을 쏟아 붓는 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짚어야 한다. 예컨대 무모한 개발 사업에 돈을 빌려주느라 부실해진 저축은행을 함부로 지원하는 건 위험하다. 또 저축은행 피해자들에게 현행 법률이 정한 것 이상으로 보상하려는 시도는 '무책임한 포퓰리즘'으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보수언론, 그리고 이명박 대통령은 엉뚱하게 복지 확대를 비난한다.
/성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