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의 분류 기준과 정신장애 진단 사용법
1. 정신장애의 분류 기준
가. WHO : 국제 질병 및 사인 분류(ICD)
1) 의료현장에서 사용하는 질병코드 제공.
2) 현재 ICD-10 사용 중이고 ICD-11 beta 개발되어 있으며 아직 수정 작업 중임.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d/revision/en/
3) 한국의 경우 번안한 한국 표준 질병 및 사인 분류(KCD) 사용 (통계청에서 관리)
http://www.koicd.kr/2016/main.do
예) F32.1 moderate depressive episode
F32.11 moderate depressive episode, with somatic symptom
4) 미국의 경우 DSM과 ICD를 병기하기 위해 ICD**-CM(clinical modification)을 사용함.
- ICD-9-CM : 2014년 9월 90일까지 사용 (숫자로만 구성)
DSM-Ⅳ(1994), DSM-Ⅳ-TR(2000), DSM-5(2013) 해당
- ICD-10-CM : 2014년 10월 1일부터 사용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
DSM-5(2013) 해당
참고) ICD-10을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는 KCD 체계의 한국에서는 ICD-10-CM을 사용
할 수 없다. 의료기록에 사용하는 진단의 분류코를 확인하려면KCD에서 찾아야 한다.
ICD-10의 번역 자료가 판매 중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52070&cid=51344&categoryId=51344
나. APA :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1) 미국 정신의학회(APA)에서 개발하여 사용하는 진단기준으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 훈련, 연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단기준으로 사용 중임.
2) ICD-11과 DSM-5 연구진이 거의 같으며 진단명을 ICD-11 체계에 맞추고 있음.
3) 정신장애 관련 의학회, 정신장애 관련 이권단체,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원(NIMH) 등
새로운 연구결과 등이 포함되었음. 여러 이권 단체 등에 의한 개입으로 문제가 많음.
예) OOO Disorder로 명칭을 사용하는 ICD-10의 명명 방식을 채용함.
4) 정신장애에 대한 통계 정보 수집을 위해 ICD**-CM 사용함.
*참고) 미국 심리학회(APA)도 같은 약자 쓰니 혼동하면 말 것.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원의 경우 연구용 진단과 척도 등을 자체적으로 사용함.
2. 심리평가 보고서에서 진단명을 사용하는 방법
가. 진단명의 표기 방법
1) suggest of ~
심리평가보고서에서 사용하는 진단은 의사에게 ‘진단적 인상’을 명료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제안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표현을 자주 사용함.
예) sugges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2) R/O ~
Rule out의 약자로 감별하라는 의미가 있음. 심리평가 보고서에서 사용한 진단이
적절한지 확인하라는 의미에서 병원에서 일하는 경우 많이 사용함.
Rule in의 약자의 R/I는 그 것을 진단으로 고려하라는 뜻으로 사용함.
예) R/O Major Depressive Disorder
* 참고) 심리평가에서 제시하는 진단은 예비적인 상태이므로 의심되는 진단이나
공병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 R/O Intellectual Disability
R/O Major Depressive Disorder
나. 진단명의 세부 특징을 표기하는 방법 (Specifier: 명시하다. 세부 진단을 하다)
1) 진단된 증상의 심각도
~, 심각도
예) R/O Major Depressive Disorder, Mild
R/O Intellectual Disability, Severe
2) 진단된 증상과 함께 나타는 증상
~, with 함께 나타는 증상
예) R/O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Anxious Distress
3) 진단의 하위분류와 임상양상 표기
예) R/O Delusional Disorder, Persecutory type
예) R/O Bipolar Ⅱ Disorder, in partial remission (부분 완화: 관해)
예) R/O Schizophrenia, Fist episode, current in partial remission
4) 진단된 증상의 원인 (질병)
~ , due to (d/t) 원인
~ 원인 ~
예) R/O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due to Traumatic Brain Injury
R/O Major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
참고) DSM-5 각 진단 기준의 명시자(specifier) 부분에 제시된 것들만 사용함.
다. 다르게 분류되는 경우 (Other specified)
DSM-5 각 진단 분류 중에서 뒷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진단 기준에 해당할 경우
예) R/O Other specified Depressive Disorder, Recurrent brief Depression
(DSM-5: 원서 183 쪽 확인)
라. 진단 기준을 부분적으로 충족하는 경우 (unspecified)
예) R/O unspecified Depressive Disorder
(DSM-5: 원서 184 쪽 확인)
* 진단기준을 충족하지는 확인하기 위해 정보가 더 필요할 경우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마.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는 않지만 해당하는 진단 기준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
1) tendency: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않지만 진단 기준이
의도하는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사용. 성격장애를 제외한 대부분에 사용
예) R/O Social Anxiety Disorder, tendency
2) trait: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성격장애에 사용하며 성격장애 수준은 아니지만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
~ Personality Disorder라고 하지 않고 ~ Personality, trait라고 표시
예) R/O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경계선 성격 특성)
바. 진단기준으로 분류하지 않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표시하는 경우
1) problem: 문제가 있다.
예) Parent-Child Relational problem
참고) 약어 모음
Hx = History, Dx = Diagnosis, d/t = due to, R/O= rule out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8.02.19 13:27
첫댓글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