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떡거릴 천(喘)자는 헐떡거리는 건 호흡이 가빠서 입으로 숨을 쉬며 숨쉬기를 힘들어 하는 모습이니까, 입 구(口)자에다가, ‘천’으로 읽도록 시초 단(耑)자를 했습니다. 둥근대그릇 천(圌)자도 단(耑)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천불상기래(喘不上氣來) 천촉(喘促) 천호(喘呼) 천해(喘咳) 천급(喘急) 천식(喘息) 여천(餘喘)
멋대로 천(擅)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믿음 단(亶)자를 했습니다. 믿을 단(亶)자는 창고 름(㐭)자 아래에 아침 단(旦)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창고 름(㐭)자는 창고를 뜻하지 아니하고, 단을 만들어 비는 장소로 사용하는 곳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성황당 같은 곳입니다. 머뭇거릴 천(儃)자는 믿음 단(亶)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천작(擅作) 천침(擅侵) 천편(擅便) 천입(擅入) 천분(擅分) 천할(擅割) 천명(擅名) 천수(擅囚)
뚫을 천(穿)자는 뚫으면 구멍이 생기니까, 구멍 혈(穴)자 아래에 어금니로 물어서 뚫는다는 뜻으로 어금니 아(牙)자를 했습니다. 어금니 아(牙)자는 송곳니 아(牙)자로도 읽습니다. 어금니 아(牙)자는 어금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금니는 이 뿌리가 둘입니다. 하나는 반듯하고 또 하나는 비스듬합니다. 실제 어금니의 뿌리 생김새와 똑같습니다. 천상(穿上) 천불출거(穿不出去) 천부득(穿不得) 천입사행(穿入蛇行) 천공(穿孔) 천착(穿鑿)
밝힐 천(闡)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수레 거(車)자나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수레 거(車)자나 홑 단(單)자는 서로 비슷한 상형(象形) 글자들입니다. 모두 수레 종류를 그린 글자입니다. 웃는 모양 천(囅), 해진 모양 천(幝), 밥 지을 천(燀), 띠 늘어질 천(繟), 망녕된 말 천(譂), 통 바퀴 수레 천(輲)자를 했습니다. 천화(闡化) 천유(闡幽) 천제(闡提) 천양(闡揚) 천문곡(闡文曲) 천명(闡明) 천구(闡究) 천미(闡美)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