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Times 기사 **"Russian men v Ukrainian robots: watch the future of war begin"**는 우크라이나가 최전선에서 로봇 기술을 활용해 러시아 군대와 대응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이 기사는 2025년 2월 10일 발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Hommes russes contre robots ukrainiens : voyez les prémices de la guerre du futur"
Date de publication : 10 février 2025
Lieu : Ligne de front dans la région de Kharkiv, nord-est de l'Ukraine.
prémices [pʀemis] 1. 여성 복수형 명사 [역사] (그리스·로마에서 신에게 바친 과일·곡식의) 맏물, 첫물, 신출,(동물의) 무녀리 2. 여성 복수형 명사 [옛·문어] 시작, 발단,(문예의) 처녀작 (=début) 3. 여성 복수형 명사 [문어] 처녀성 (=virginité)
1. Scènes de combat robotisé
Opération décrite : Une "section robotique" de la 13e Brigade des gardes-frontières 'Khartiia' déploie plus de cinq robots terrestres équipés de mitrailleuses. Ces engins, contrôlés à distance, avancent sur un terrain gelé vers les positions russes, alternant tirs et replis stratégiques.
Avantages tactiques :
Les robots se déplacent plus vite que des soldats et évitent les tirs d'artillerie.
Les commandants coordonnent les opérations depuis l'arrière via des drones de surveillance, réduisant les risques humains.
1. 로봇 전투 장면
작전 개요: '하르티아(Hartiia)' 제13국경수비여단의 **"로봇 분대"**가 기관총을 장착한 지상 로봇 5대 이상을 투입했습니다. 이 원격 조종 장비들은 얼어붙은 지형을 가로질러 러시아 진지로 접근하며 전략적인 사격과 후퇴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전술적 장점:
로봇은 인간 병사보다 빠르게 이동하며 포격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지휘관은 감시 드론을 통해 후방에서 작전을 통제해 인적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brigade [bʀigad] 1. 여성형 명사 [군사] 여단(旅團) 2. 여성형 명사 (군대·경찰 따위의) 분대, 소대, 반(班) 3. 여성형 명사 (공무원·근로자 따위의) 반(班), 조(組),(식당의) 종업원 팀
engin [ɑ̃ʒɛ̃] 1. 남성형 명사 기구, 도구, 기계 2. 남성형 명사 [구어] (이름을 모르는) 물건, 거시기 (=machin) 3. 남성형 명사 폭탄, 화포, 화기,미사일, 로켓 (=engin de guerre, engins spéciaux)
repli [ʀəpli] 후퇴 1. 남성형 명사 (천·옷의) 접어올린 가장자리, 단,주름 2. 남성형 명사 (토지의) 기복, 습곡 3. 남성형 명사 (흔히 복수) (파충류 따위의) 꿈틀거림, 사행(蛇行)운동,(도로·하천 따위의) 사행(蛇行)
déplacer [deplase] 1. 타동사 (사물을) 옮겨 놓다, 이동시키다,이전하다,(시간을) 옮기다 2. 타동사 (사람을) 이동시키다,오게 하다,(관객 따위를) 모이게 하다 3. 대명동사 (사물이) 이동하다 4. 대명동사 (사람이) 움직이다,이동하다
artillerie [aʀtijʀi] 1. 여성형 명사 포병대 2. 여성형 명사 포, 대포 3. 여성형 명사 (집합적) 포병
coordonner [kɔɔʀdɔne] 1. 타동사 조직하다,통괄하다 2. 타동사 (을) (에) 맞추다, 조화시키다 3. 타동사 [문법] 등위사로 연결하다
2. Stratégie ukrainienne : remplacer l'humain par la technologie
Contexte : Face à une pénurie de soldats et à des pertes élevées, l'Ukraine accélère le développement de robots et de drones. Plus de 800 startups de défense ont émergé depuis 2023, produisant des systèmes robotisés à grande échelle.
Technologies clés :
Robot THeMIS (développé par l'estonien Milrem Robotics) : Transporte des blessés, des munitions et démine les zones dangereuses.
Essaims de drones IA (entreprise ukrainienne Swarmer) : Des drones autonomes collaborent pour identifier et attaquer des cibles.
Systèmes d'armes automatisés : La société Hephaestus, fondée par d'anciens militaires, conçoit des mitrailleuses télécommandées.
2. 우크라이나의 전략: 인력을 기술로 대체
배경: 병력 부족과 높은 사상률에 직면한 우크라이나는 로봇과 드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 이후 800개 이상의 방위산업 스타트업이 등장하며 대규모 로봇 시스템을 생산 중입니다.
주요 기술:
THeMIS 로봇 (에스토니아 Milrem Robotics 개발): 부상자 후송, 탄약 운반, 위험 지역 소토작업 수행.
AI 드론 군집 (우크라이나 Swarmer社): 자율 협동 드론들이 표적 탐지 및 공격.
자동화 무기 시스템: 전직 군인이 설립한 Hephaestus社의 원격 조종 기관총.
pénurie [penyʀi] 1. 여성형 명사 (식량·물자 따위의) 부족, 결핍 (↔abondance) 2. 여성형 명사 [옛] 궁핍, 가난
munition [mynisjɔ̃] 1. 여성형 명사 (복수) 탄약, 탄환 2. 여성형 명사 [옛] (요새·군대의) 공급품
déminer [demine] 1. 타동사 지뢰를 제거하다 2. 타동사 [해양] 소해(掃海)하다
essaim [esɛ̃] 1. 남성형 명사 (분봉(分蜂)하는) 꿀벌떼,(곤충의) 무리, 떼 2. 남성형 명사 (이동하는) 무리, 집단
automatiser [ɔ[o]tɔmatize] 타동사 자동화하다,기계적으로 만들다
mitrailleuse [mitʀɑjøːz] 여성형 명사 기관총
concevoir [kɔ̃svwaːʀ] 1. 타동사 수태[임신]하다 2. 타동사 (일정한 방식으로 사태를) 생각하다, 해석하다 3. 대명동사 (생각이) 떠오르다 4. 대명동사 이해되다, 수긍되다
3. Défis et implications pour l'avenir
Enlisement du conflit : Selon l'ex-commandant en chef Valeri Zaloujny, les robots et drones massivement déployés par les deux camps rendent les percées impossibles. Une issue ne serait envisageable qu'après 2027.
Limites industrielles :
Bien que l'industrie ukrainienne de défense pèse 20 milliards de dollars, le manque de contrats à long terme limite sa production à 50 % de sa capacité.
Certaines entreprises menacent de relocaliser à l'étranger.
Débats éthiques : Les "robots tueurs" autonomes soulèvent des questions sur les dommages collatéraux et l'absence de cadre juridique international. Les États-Unis et l'OTAN insistent sur un "contrôle humain significatif".
3. 미래의 도전과 함의
전쟁의 교착 상태: 전 총사령관 발레리 잘루즈니에 따르면, 양측의 로봇과 드론 대량 투탕으로 전선 돌파가 거의 불가능해졌으며, 해결책(문제, 전쟁 종결)은 2027년 이후에나 가능해 보입니다.
산업적 한계:
우크라이나 방위산업은 200억 달러 규모지만, 장기 계약 부재로 생산 능력의 50%만 활용 중입니다.
일부 기업은 해외 이전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윤리적 논쟁: 자율형 **"킬러 로봇"**은 민간인 피해와 국제법 부재 문제를 제기합니다. 미국과 NATO는 "의미 있는 인간 통제" 원칙을 강조합니다.
enlisement ( enlizement ) [ɑ̃lizmɑ̃] 1. 남성형 명사 (모래·진창 속에) 빠짐 2. 남성형 명사 (나쁜 상태에) 빠짐 3. 남성형 명사 [비유] 부진, 침체, 정체
dommage [dɔmaːʒ] 1. 남성형 명사 손해, 손실, 손상 (=perte,), (↔bénéfice) 2. 남성형 명사 유감스러운[애석한] 일 (=fâcheux) 3. 남성형 명사 [법·행정] 전화(戰禍), 전재(戰災),(국가가 지급하는) 전재 배상금
collatéral [kɔ(l)lateʀal] ( 복수: collatéraux ) 1. 형용사 나란히 있는,측면의 2. 형용사 [의학] artère collatérale 부행동맥 3. 남성형 명사 (복수) 방계혈족 4. 남성형 명사 [건축] (교회의) 측랑 (=nef collatéral)
dommages collatéraux 민간 피해
4. Message central
L'article décrit une guerre hybride où la technologie compense le manque de ressources humaines. Si l'Ukraine innove pour résister à la supériorité numérique russe, elle fait aussi face à de nouveaux dilemmes stratégiques et moraux. Ce conflit préfigure les guerres futures, où robots et IA joueront un rôle décisif.
4. 핵심 메시지
이 기사는 하이브리드 전쟁을 조명하는데 기술로 인적자원의 부족을 메꾸려 합니다. 만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물량 우위에 저항하기 위해 혁신한다면,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전략적·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합니다. 이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전쟁의 판도를 좌우할 미래 전쟁의 서막으로 평가받습니다.
préfigurer [pʀefigyʀe] 타동사 미리 나타내어 보이다, 예시[예고]하다 (=annoncer)
---------------------------
1. 로봇 전투 장면의 현장 리포트
작전 지역: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 지역의 전방 참호 지대.
로봇 부대: 기관총을 장착한 소형 지상 로봇(UGV) 5대 이상이 13th 'Khartiia' 국경수비대의 "로봇 소대"에 의해 원격 조종됩니다. 이 로봇들은 얼어붙은 지형을 이동하며 러시아 진지로 접근하고 교대로 사격을 가합니다.
전술적 장점: 인간 병사보다 빠르게 기동하며 포격과 폭발 위험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드론으로 실시간 전황을 모니터링하는 지휘관은 안전한 후방에서 작전을 지휘합니다.
2. 우크라이나의 로봇 전쟁 전략
배경: 우크라이나 보병은 인력 부족과 높은 사상률에 직면한 가운데, 로봇 기술을 통해 병사들의 위험을 줄이고자 합니다. 2023년 이후 우크라이나는 800개 이상의 방위산업 스타트업이 등장하며 드론, 지상 로봇, 전자전 시스템 등을 대량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
THeMIS UGV: 에스토니아의 Milrem Robotics가 개발한 이 로봇은 의무 후송, 보급품 운반, 지뢰 제거 등에 활용됩니다.
AI 기반 드론 군집: Swarmer社의 드론들은 인공지능으로 협동하여 표적을 탐지하고 공격합니다.
자동화 기관총 시스템: 전직 군인이 설립한 Hephaestus社의 원격 조작 무기 체계는 안전한 거리에서 적을 제압합니다.
3. 전쟁의 미래 모습과 도전 과제
교착 상태 우려: 전 우크라이나 군사령관 발레리 잘루즈니는 양측이 드론과 로봇을 대량 투입함에 따라 전선 이동이 거의 불가능해졌으며, 2027년 이후에야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생산 및 재정 문제: 우크라이나 방위산업은 2024년 기준 2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으나, 수익 제한과 장기 계약 부재로 생산량의 절반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해외 이전을 고려 중입니다.
윤리적 논란: 완전 자율 무기(킬러 로봇)의 등장은 민간인 피해와 책임 소재 문제를 야기합니다. 미국과 NATO는 "적절한 수준의 인간 통제"를 강조하지만, 국제법적 틀은 아직 미비합니다.
4. 기사가 전하는 핵심 메시지
이 기사는 **"로봇 전쟁"**이 이미 현실이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우크라이나는 첨단 기술을 통해 러시아의 물량 우위를 극복하려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전략적·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동유럽의 분쟁을 넘어 미래 전쟁의 표본으로 평가받을 만한 사례입니다.
------------------
아래는 기사를 다룬 한국 유튜브 내용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BpXUzsQamo
Un petit robot ukrainien se déplace parmi les ruines d'un village Équipé d'une mitrailleuse lourde sur sa tourelle, plusieurs robots se déplacent en formation espacée. Après avoir atteint les positions de l'infanterie russe, ils ouvrent le feu à tour de rôle. Le 9 (heure locale) Selon un rapport du quotidien britannique The Times : Une bataille « robots contre humains », semblable à celles des films ou de la science-fiction, est menée par l'unité robotique « Compagnie Harthia » de l'armée ukrainienne contre l'infanterie russe sur le front est. Les robots ont démontré une habileté à éviter des explosions mortelles pour des soldats humains. À plusieurs kilomètres à l'arrière, des soldats de la 13e brigade de défense nationale « Harthia » pilotent ces robots terrestres via des manettes, avec l'aid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IA). Toutefois, c'est un soldat qui appuie à distance sur la gâchette. Un commandant surveille le combat via des drones aériens. Un officier ukrainien déclare : « Nous utilisons des robots lorsque les risques de blessures ou de mort sont élevés. Dans de telles situations, il est préférable d'envoyer des robots plutôt que des soldats. Les déployer pour des missions critiques est la meilleure stratégie. » Selon la brigade Harthia : C'est la première fois que l'Ukraine déploie une unité robotique de taille conséquente contre les forces russes. La date exacte de la bataille n'a pas été révélée dans l'article. Responsable de cette unité robotique : Un lieutenant surnommé « Le Mathématicien », ancien étudiant en doctorat ayant interrompu ses études pour s'enrôler. Il supervise désormais les systèmes robotiques terrestres et aériens. The Times : « Cette vision montre l'avenir de la guerre. L'Ukraine s'efforce de la matérialiser aujourd'hui. Les commandants espèrent que les robots sauveront des vies, prendront l'avantage sur les Russes et résoudront la pénurie chronique de soldats. » Actuellement : Après une attaque de robots, une avancée de l'infanterie est indispensable. The Times décrit un épisode clé : « Un robot mitrailleur a maintenu les Russes à couvert pendant qu'un autre robot approchait d'une tranchée, y déposant deux mines antichar avant de battre en retraite avant l'explosion. » Des soldats ukrainiens ont ensuite avancé, subissant des pertes en approchant des tranchées russes. Deux robots immobilisés ont été récupérés manuellement. Problèmes logistiques : La production de masse des robots reste limitée en raison de coûts élevés et du risque de capture par les Russes. Résultat : La brigade Harthia a annoncé la capture réussie de la tranchée russe, avec environ 30 soldats russes tués. The Times ajoute : « L'infanterie ukrainienne, qui subit le plus de pertes, réclame davantage de robots. Les Russes finiront par imiter cette idée, transformant la guerre en affrontements robot contre robot. » Fabricant des robots : L'entreprise « Legit », basée à Kyiv, possède une petite usine. Legit intègre les retours d'expérience des opérations spéciales dans le développement de robots nouvelle génération. Pour éviter les interférences, le pilotage utilise internet satellitaire plutôt que des fréquences radio. | 마을 폐허 사이를 움직이는 조그만 우크라 로봇 포탑에는 중기관총이 달려 있는데 간격을 두고 움직이는 여러 대의 로봇 러시아군 보병 위치에 다다른 후 교대로 사격 개시 tourelle [tuʀεl] 1. 여성형 명사 [건축] 작은 탑,망루 2. 여성형 명사 [군사] 포좌(砲座),포탑(砲塔) 3. 여성형 명사 (카메라의) 회전식 렌즈 교환기 infanterie [ɛ̃fɑ̃tʀi] 여성형 명사 (집합적) 보병(대) 9일 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 보도 영화나 과학소설에 나오는 ‘로봇 대 인간’의 전투를 우크라이나군의 로봇부대 ‘하르티아 중대’가 우크라이나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군 보병을 상대로 벌이고 있어 compagnie [kɔ̃paɲi] 1. 여성형 명사 [군사] 중대,[옛] 부대 2. 여성형 명사 곁에 있음, 동행, 동석 3. 여성형 명사 한패, 동아리, 일동,사회계층 로봇들은 인간 병사라면 피하지 못할 폭발도 재주 좋게 피하는 기술을 보여줬는데 그로부터 수 km 후방에서는 우크라이나 제13 ‘하르티야 국가방위여단 소속 육지 로봇 중대 군인들이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으면서 조이스틱으로 로봇들을 조종하고 있어 manette [manεt] 여성형 명사 (기계의) 핸들, 손잡이 공격 방아쇠는 원격조종을 맡는 군인이 당기는데, 부대 지휘관은 공중에 떠 있는 드론을 통해 이런 로봇 대 인간의 전투를 지켜봐 gâchette [gɑʃεt] 1. 여성형 명사 (자물쇠청의) 걸림쇠 2. 여성형 명사 [군사] (총의) 공이치기 용수철 3. 여성형 명사 [구어] 방아쇠 (=détente) 우크라이나 장교 “우리는 병사들의 부상이나 사망 위험이 클 경우 로봇을 사용합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병사를 대신하여 로봇을 투입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병사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임무에 그를 배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하르티야 여단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가 중대 규모 로봇부대를 동원해 러시아군을 공격한 것은 이날이 처음 다만 전투 날짜는 기사에 공개되지 않아 "une unité robotique de taille conséquente"는 "상당한 규모의 로봇 부대" 이 로봇 중대의 운용을 책임지는 사람은 ‘수학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소위로 박사과정 학생이었으나 휴학 후 입대해 육지 및 공중 무인 시스템을 담당하고 있어 더 타임스 “전쟁의 미래를 보여주는 비전이며, 우크라이나는 이를 오늘날 현실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휘관들이 전투에 로봇을 투입해 군인의 생명을 지키고 러시아군을 상대로 우위를 점하면서 고질적 병력 부족을 해결하기를 기대한다” s'efforcer [sefɔʀse] 1. 대명동사 노력하다, 애쓰다 2. 대명동사 [문어] (보어 없이) 자제하다,노력하다, 노심초사하다 현재로서는 하르티야 중대가 전투로봇으로 공격한 후에는 반드시 보병 부대의 진격이 뒤따라야 해 더 타임스 “기관총 로봇 한 대가 사격을 계속해 러시아군이 고개를 계속 숙이고 있도록 하는 와중에 다른 로봇 한 대가 참호에 접근해 대전차 지뢰 2개를 참호 내에 떨어뜨린 후 폭발이 일어나기 전 후퇴했다” 그 후 여단 소속 보병들이 진격했으며, 러시아 측 참호에 접근하면서 사상자가 발생 우크라이나군 보병들은 이날 투입된 전투로봇 중 이동 불능이 된 2대는 수작업으로 회수 antichar [ɑ̃tiʃaːʀ] 1. 형용사 [군사] 대전차용(對戰車用)의 2. 남성형 명사 대전차용 병기(兵器) subir [sybiːʀ] 1. 타동사 (운명·시련 따위를) 겪다,감내하다 2. 타동사 (시험·수술 따위를) 치르다 3. 타동사 어쩔 수 없이 따르다,[구어] (어떤 사람을) 참아내다 전투로봇의 양산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가격이 높은 데다가, 이 무기가 혹시라도 러시아군의 손에 넘어가면 매우 곤란하기 때문 이날 전투 끝에 하르티야 여단은 러시아군 참호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혀 이 과정에서 러시아군 전사자가 약 30명 나왔다고 우크라이나 군은 주장 더 타임스 “우크라이나 보병은 전체 군대 중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내고 있으며, 전장에서 더 많은 로봇을 투입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러시아군도 결국 이러한 아이디어를 모방할 것이며, 전투는 점점 더 로봇 대 로봇의 형태로 진행될 것이다.” affrontement [afʀɔ̃tmɑ̃] 1. 남성형 명사 서로 맞서기,대결, 대립 2. 남성형 명사 수평으로 맞추기, 나란히 맞대기 3. 남성형 명사 [의학] 접합 한편 이런 전투로봇들을 만드는 업체는 키이우에 조그만 공장을 가진 로봇 기업 ‘레기트’ 레기트는 특수작전팀이 로봇을 조종해 전투에서 얻은 경험을 차세대 전투로봇 개발에 반영하고 있는데 전투로봇의 원격조종에는 간섭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전파 주파수를 이용하지 않고 위성 인터넷을 이용 pilotage 2 [pilɔtaːʒ] 1. 남성형 명사 물길 안내, 도선(導船), (=lamanage) 2. 남성형 명사 (비행기) 조종(술) 3. 남성형 명사 (1956) (국가·기업 따위의) 경영, 운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