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
(바람 - 풍 )
풍속-풍, 경치-풍, 모양-풍, 위엄-풍
9획 風(제부수/바람-풍)
● 무릇(凡) 벌레(虫)를 옮기는 바림이니 바람-풍
◆ 뜻풀이 :
1. 바람. 2. 가르침 .3. 풍속(風俗), 습속(習俗). 4. 경치(景致), 경관(景觀). 5. 모습. 6. 기질(氣質). 7. 병 이름, 감기(感氣), 중풍(中風). 8.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9.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10. 노래, 악곡(樂曲), 여러 나라 민요(民謠). 11. 뜻, 낌새 12. 풍도(風度: 풍채와 태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13. 소식(消息), 풍문(風聞). 14. 멋대로, 꺼리낌 없이. 15. (바람을)쐬다. 16. (바람이)불다. 17. 풍간하다(諷諫--: 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말하다). 18. 감화시키다(感化---), 교육하다(敎育--). 19. 외우다, 암송하다(暗誦--). 20. 유전하다(流轉--: 이리저리 떠돌다), 떠돌다. 21. (암수가)서로 꾀다.
①허황(虛荒)하여 믿음성이 없 말이나 행동(行動)을 이르는 말. 허풍
②바람을 막으려고 둘러 치는 천
③정신(精神) 작용(作用)ㆍ근육(筋肉) 신축(伸縮)ㆍ감각(感覺) 등(等)에 고장이 생긴 병(病). 전풍(顚風)ㆍ중풍(中風)ㆍ비풍(痺風) 따위
④원인(原因)을 알기 어려운 살갗의 질환(疾患). 두풍(頭風). 피풍(皮風). 아장풍(鵝掌風) 따위
◆ 회의문자
①무릇(凡) 태풍이 지나간 다음에 병충(蟲)이 많이 번식한다는 뜻을 합(合)하여
'바람'을 뜻함
②바람(凡)이 휩쓸고 지나갈 때 그 속에 큰 벌레(虫)가 숨어 지나가는 것과 같다는 데서 凡의 밑에 붙여 ‘바람’을 뜻한 자.
◆ 이형동의자(이체자) : 风 바람 풍 (간자) 凨 바람 풍 (고자) 凬 바람 풍 (고자) 凮 바람 풍 (고자) 檒 바람 풍 (고자) 飌 바람 풍 (고자) 风 바람 풍 (통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단풍-풍(楓)
옛날 중국에 사는 사람들은 ‘바람’을 어떻게 표시했을까?
대기(大氣)의 흐름이 느껴지긴 했으나 그것을 글자로 표시하기란 꽤 난감했다. 그런데 새들이 날개를 저을 때 바람이 일고, 또 그런 바람을 타고 나는 것을 목격했다.
참새처럼 작은 새보다 봉황새처럼 큰 새가 비상할 때 바람의 존재를 더욱 실감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초창기에는 ‘봉새-봉’(鳳)를 빌려 ‘바람’을 표시했다.
세월이 흐르자 봉새와 바람을 구별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에 소리를 표시하는 범(凡)과 뜻을 표시하는 충(蟲)으로 ‘바람-풍’(風)을 만들었다.
충(蟲)과 바람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장자』에 ‘대자연이 내쉬는 숨’을 바람이라 했다. 대자연에 살고 있는 수많은 생물의 날숨을 바람이라 여겼기에 ‘새-조’(鳥)를 빼고 그 자리에 ‘많은 동물’을 뜻하는 충(蟲)을 넣어 ‘바람-풍’(風)을 만든 것이다.
충(蟲)은 원래 ‘벌레’를 뜻하지만 동물의 총칭(總稱)이기도 하다.
옛날에는 호랑이를 대충(大蟲), 즉 큰 동물이라 불렀다.
◇풍속(風速) : 바람의 속도
◇풍속(風俗) :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
◇풍향(風向) : 바람의 방향
◇풍문(風聞) : 바람결에 들리는 소문
◇폭풍(폭풍) : 세게 부는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