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상산은 사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여 가을 단풍이 붉게 물들면 여인네의 치마와 같다 하여 적상이라는 이름이 붙어졌다.
가을뿐만 아니라 철따라 독특한 개성미를 가득 뿌린다.
적상산에는 장도바위, 장군바위 등 자연 명소와 함께 최영 장군이 건의하여 축조했다는 적상산성(사적 제 146호)이 있다.
현재의 성은 조선 인조6년(1628년) 다시 쌓은 것으로서 둘레가 8.143㎞에 이른다.
적상산성 안에는 고찰 안국사 등 유서깊은 문화유적이 운치를 더해 준다.
적상산은 적상면 중앙에 솟은 향로봉과 기봉 두 봉우리를 주봉으로 한다.
북쪽 향로봉과 남쪽 기봉이 마주하고 있는 정상일대는, 흙으로 덮인 토산이라 원시림을 방불케 할 정도로 나무가 울창하다.
하지만 지면에서 800-900m 가량되는 산허리 까지는 층암절벽이 병풍처럼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 바위산이다.
험한 바위산인 탓에 등산로는 서창리 지소 쪽이나 조금 아래 쪽으로 내려가서 안국사로 오르는 적상교가 일반적이나 안국사로 오르는 길은 돌비탈을 지나야 하고 길도 애매해서 지소 쪽에서 산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장도바위
적상산성 서문아래 하늘을 찌를 듯이 서있는 이 바위는 고려 말 최영장군이 적상산을 오르다가 길이 막혀 장도를 내리쳐 길을 내고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다.
적상산 산정호수
적상산 분지(해발 800m)에 위치한 인공호수로 양수 발전소에 필요한 물을 담아두기 위해 만든 댐으로 적상호라 명명되었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가을에 마치 온 산이 빨간 치마를 입은 여인네의 모습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며 덕유산 국립공원구역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고려 공민왕 23년(1374) 최영 장군이 탐라를 토벌한 후 귀경길에 이 곳을 지나다가 산의 형세가 요새로서 적지임을 알고 왕에게 건의하여 축성된 적상산성(사적 제146호)과 안국사 등이 유명하다
등산코스
- 서문(장도바위) - 능선갈림길- 향로봉- 안렴대 - 안국사 - 산정호수
- 산정호수 - 안국사- 안렴대- 향로봉 - 능선갈림길 - 안렴대 1Km - 안국사 - 산정호수
산행기점은 일반적으로 서창리 지소 가 일반적이다.
지소 조금 아래쪽 안국사로 오르는 길은 돌비탈을 지나야 하고 길도 애매하므로 지소에서 시작한다.
무주에서 괴목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북창마을 입구에서 내린다.
덕유산국립공원 안내 입간판이 보이는 길로 들어서면 포장도로이다.
여기서 왼쪽 대로를 따라 오르면 샘터가 있다.
완만한 길을 따라 1시간 정도 오르면 틈새가 갈라진 커다란 장도바위가 보인다. 장도바위를 지나면 산성이다.
산성에서 얼마쯤 가다보면 사방으로 갈림길이 나있는 능선이다.
외쪽으로 가면 향로봉, 오른쪽이 정상인 기봉으로 오르는 길이다.
첫댓글 적상산 가야 하는데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일전에 다녀왔었는데
산림청 100대 명산인가 그랬던 것 같습니다.
잘 다녀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