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1435-1493)의 본관은 강릉이고, 자는 열경, 호는 매월당이다. 태어난 지 8개월 만에 글자를 읽고 3세 때 글을 지었으며 5세에 '중용', '대학'을 배워서 신동이라는 소문이 났다. 집현전 학사 최치운이 보고 정말 기특한 재주라 칭찬하고 이름을 시습이라 하였다. 이 소문을 들은 세종은 김시습을 승정원으로 부르고 지신사 박이창으로 하여금 시험을 보게 하였다. 박이창이 먼저 써 내려갔다. "동자의 학문은 흰 학이 푸른 창공을 춤추는도다" 김시습이 대구를 맞추었다. "성주의 덕은 누런 용이 푸른 공중에서 끔틀거립니다" 박이창이 김시습을 무릎 위에 앉히고 여러 번 시험하였는데, 그때마다 좋은 시를 척척 지어 내었다. 세종은 직접 김시습을 보고 싶어하였으나 소문이 나는 것을 꺼려하여 소문 없이 잘 길러서 학업이 성취된 뒤에 크게 쓸 예정이었다. 세종이 김시습에게 비단 50필을 주면서 네 힘껏 가져가라고 하였다. 그러자, 시습이 그 끝자락을 잡아매 그 한끝을 손에 잡고 끌고 나갔다. 이때부터 김시습의 이름은 천하에 진동하여 이름 대신 '오세 신동'으로 소문이 났다. 13세에 김반에게 '논어', '맹자', '시경', '서경'을 배우고 윤상에게 '주역'과 '예기'와 '사기'를 배웠다. 세종과 문종이 잇달아 승하하고 어린 단종이 등극한 지 얼마 안 되어 세조에게 양위하였다. 이때 시습의 나이 21세였다. 그는 삼각산에서 글공부를 하다가 단종의 양위 소식을 듣고 대성통곡하고, 읽던 책을 불태운 뒤에 도망쳐 나와 절에 들어가 중이 되었다. 불명은 설잠, 청한자, 벽산청은, 동봉, 췌세옹이라 하였다. 그는 작은 키에 호기가 넘치고 예의 따위는 전혀 차리지 않았다. 성격이 꼿꼿하여 남의 허물을 용서하지 않았다. 시대의 잘못을 한탄하고 드디어 몸을 숨겨 전국을 방랑하니, 그의 발길이 닿지 않은 산천이 거의 없었다. 그에게 배우기를 원하는 자가 있으면 나무든 돌멩이든 잡히는 대로 던지고 때로는 활도 쏘아서 거절하였다. 산에 오르면 나뭇잎에 시를 쓰고 혼자 읊조리다가 금방 울면서 그 나뭇잎을 따 버렸다. 비오는 밤이면 흰 종이 100여 장을 꺼내어 물가에 앉아 혼자 읊조리면서 시를 쓰고 쓴 다음엔 그 종이를 물에 던지곤 하였는데 종이가 다 없어져야 그만두곤 하였다. 때로는 나무를 깎아 농부의 모습을 만들어 책상 위에 올려놓고 온종일 지켜보며 목놓아 울다가 태워 버리곤 하였다. 벼슬한 고관을 만나면 존경받는 사람이 아니면 반드시 그 앞에서 "이 백성이 무슨 죄냐?" 하며 통곡하였다. 달 밝은 밤이면 청초한 목소리로 '이소경'을 읽었는데 그때마다 눈물이 흘러 옷깃을 적시곤 하였다. 술을 좋아하여 자주 취했으며 취한 뒤에는 "우리 영릉(세종의 능호)을 다시는 못 뵙는구나"라고 한탄하며 슬피 울었다. 이때는 김수온, 서거정이 국사(온나라에서 특히 높이는 우수한 선비)로 일컬어지던 시기였다. 하루는 서거정이 조정에 가는 길에 김시습을 만났다. 김시습은 끈으로 허리를 질끈 동여맨 남루한 옷차림이었다. "강중(서거정의 자)은 편안하신가?" 시습이 큰 소리로 무례하게 대하였지만, 서거정은 웃으면서 대해 주었다고 한다. 언젠가 서거정이 강태공이 낚시질하는 그림을 주고 시를 부탁하니 김시습은 이렇게 썼다.
비바람 쓸쓸히 낚시터에 불어올 땐 위천의 물고기랑 욕심이라곤 모르더니 어찌하여 늘그막에 응양장이 되어서 공연히 백이 숙제로 하여금 굶어 죽게 하느냐
이 시가 쓰인 그림을 되돌려 받은 서거정은 아무런 말이 없었다 한다. 세조가 내전에 법회를 열고 김시습을 초청하였는데, 그는 몰래 새벽에 도망쳤다. 사람을 보내어 뒤따르게 하자, 그는 더러운 오물 속에 들어가 얼굴을 반만 내밀고 물끄러미 앉아 있었다. 김시습은 47세에 갑자기 머리를 기르고 결혼을 하였다. 사람들이 그에게 벼슬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고 예전처럼 방랑 생활을 하였다. 어쩌다 소송의 일로 관가에 들어가면 분명한 잘못인데도 괴변을 늘어놓아 반드시 이겼으며, 재판이 끝나면 큰 소리로 웃으며 이긴 문서를 찢어 버리곤 하였다. 한번은 시장에서 아이들과 어울려 놀고 있는데 영의정 정창손이 지나가는 것을 보고 큰 소리로 외쳤다. "저놈이 벼슬을 그만두어야 하는데" 보는 사람들이 모두 꺼려하여 시습과 절교하고 상대하지 않았다. 종실 수천부정 이정은과 남효온, 안응세, 홍유손 등은 끝까지 변치 않았다. 아내가 죽자 다시 산으로 들어가 중이 되어 강릉과 양양 사이를 오갔다. 이때 유자한이 양양군수로 있었다. 그는 김시습을 극진하게 대접하고 가정을 찾으라고 권유하였다. 이에 김시습이 사양하는 편지를 썼다.
낙백하여 세속을 살기보다는 마음대로 소요하면서 생을 보내는 것이 낫다.
59세에 죽었는데 화장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는 생시에 자기의 자화상 두 폭을 남기고 찬을 썼다.
네 모양은 너무도 막연하고 네 말은 너무도 미련하다 언덕 밑 구렁텅이로 너를 밀어 넣는 것이 마땅하다
숙종조에 집의에 증직되고 정조 8년(1784)에 이조 판서에 증직되었다. 시호는 청간이다. 홍산 무량사에서 죽었는데 절 옆에 3년 동안 묻어 놓았다가 장례할 때 보니 생시의 얼굴과 같았으므로 무량사 승려들이 부처님으로 여겼다. 화장을 하고 탑을 세웠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