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sweet |
Sweet Caroline, good times never seemed so good...
여자는 왜 달콤한 것일까? 영어 sweet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sweet의 고어는 swete (pleasing to the senses, mind or feelings, having a pleasant disposition)이며, 원시 게르만어 swotja (sweet, pleasant) 에서 기원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swera는 성교하다 (to have sexual intercourse)의 뜻이고, ota 는 덮히다 (to warm oneself by fire)의 뜻이며, jabika는 물에 젖다 (to dip in water)의 뜻이다. 르완다어 ota는 한국어 옷(clothes)의 어원이고, jabika는 제비(swallow)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swotja 는 르완다어 로서, 성교하여 덮혀져서 물에 젖다, 즉 과격한 성교로 몸이 더워 땀에 흠뻑젖었다는 의미인 것이다. 영어 sweet는 원시 게르만어 swotja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성교후 땀에 젖은 상태, 즉 탈진하여 달콤한 기분이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poem |
Love poem makes her cry... 시는 여자를 위한 것인가... 영어 poem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poem은 중세 불어 poeme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라틴어 poema (composition in verse, poetry) 및 그리스어 poema (fiction, poetical work)에서 기원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fora는 짐작하다, 추측하다 (to guess, assume)의 뜻이고, ema 는 세우다 (to stand up straight)의 뜻이다. 르완다어 fora는 영어 four(4)의 어원이고, ema는 한국어 어마어마 하다, 어머나의 <어마>의 어원이며, 알파벳 M(em)이 건축물의 모양인 것의 근거이다. 라틴어 및 그리스어 poema (fiction, poetical work)는 르완다어 로서, 추측하여(fora) 세우다(ema)는 의미인 것이다. (르완다어 동사 fora, ema 등의 어미 (-ra, -a)는 현재시제 어미이다)
영어 poem은 라틴어 및 그리스어 poema 에서 유래하였고,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추측하여 (guess) 만든 (stand-up)것을 의미한다. |
구분 | remember |
Don't forget to remember me ... 남자는 연인을 잊지 못하지만 여자는 잊는다고... 영어 remember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remember는 고대 붉어 remembrer (remember, recall, bring to mind)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 rememorari (recall to mind, remember)에서 기원하였데, 그 어원은 re (again) + memorari (mindful, remembering)라고 한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rera는 키우다, 기르다 (to raise a child, rear)의 뜻이고, mera 는 느끼다, 상태이다 (to feel, be in a state of)의 뜻이며, rarika는 초대하다, 정보를 주다 (to invite, inform )의 뜻이다. 르완다어 rera는 영어 rear(기르다)의 어원이고, 또한 접두사 re-(again)의 어원이며, 르완다어 mera는 명사형 접미사 mo (in that, there)와 더불어 로서 한국어 마음(mind)의 어원이다. 라틴어 rememorari (recall to mind, remember)는 르완다어 로서, 느낌(mera+mo)을 일으키는(rarika) 것을 키우다(rera)는 의미인 것이다. (르완다어 동사 rera, mera 등의 어미 (-ra)는 현재시제 어미이다)
영어 remember는 라틴어 rememorari 에서 유래하였고,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느낌(feel)을 일으키는(invite) 것을 반복하는(rear)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door |
As she walks through the door with her head held high...
과연, 영어 door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door 의 고어는 dor, duru (door, gate, wicket)이며, 원시 게르만어 duru (a doorway, a door, a gate) 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turuka는 유래하다, 오다 (to come from, originate from)의 뜻이고, turubika는 통과하다, 관통하다 (to perforate, pierce, penetrate)의 뜻이다. 르완다어 turuka는 터키 (Turkey; 돌궐족)의 어원으로서, 유럽인종이 한반도와 서해평원 (빙하기의 마고 제국)에서 유래하였다는 강력한 어원적 증거이기도 하다. 원시 게르만어 duru (a doorway)는 르완다어 turuka 및 turubika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관통하여 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어 door는 원시 게르만어 duru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기원은 르완다어 turuka 및 turubika로서, 통과하여 오가는 곳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walk |
As she walks through the door with her head held high...
과연, 영어 walk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walk (travel on foot)의 고어는 wealcan (to toss, roll, move round)이며, 원시 게르만어 welkan (to knead, press) 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wegera는 접근하다, 가까이 당기다 (to approach, draw near)의 뜻이고, kana는 두드리다 (to tan, make things from leather)의 뜻이다. 르완다어 (w)egera는 한국어 조사 <~에게>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welkan (to knead, press)는 르완다어 로서, (어디로) 접근하기 위하여 (발을) 동동 두드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어 walk (travel on foot)는 원시 게르만어 welkan (to knead, press)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로서, 어디론가 발을 두드려 걷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구분 | cross |
I will cross the stream I have a dream... 역경을 건너 꿈을 이루자...
과연, 영어 cross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cross의 고어는 cros (instrument of Christ's crucifixion, symbol of Christian)로서, 라틴어 crux (stake, cross on which criminals were impaled or hanged) 에서 기원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kuru는 끌어 내다, 치우다 (to subtract, take away, dislocate)의 뜻이고, kusanya는 같이 모으다 (to gather things together)의 뜻이다. 르완다어 kuru는 한국어 <끌다(drag)>의 어원이다. 라틴어 crux (stake, cross)는 르완다어 로서, (죄수를) 끌어 내어 말뚝 (기둥)에 같이 모아 묶는다는 의미이니, 죄수를 처형하는 교수대를 뜻하는 것이다.
영어 cross는 라틴어 crux (stake, cross)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로서, 죄인을 교수형에 처하는 교수대를 의미하였다. |
구분 | fail |
You can take the future even if you fail... 실패를 하여도 미래가 있다? 과연, 영어 fail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fail은 고대 불어 falir (be lacking, miss, not succeed, run out, come to an end, err, be dying)에서 유래하였으며, 라틴어 fallere (to trip, cause to fall) 에서 기원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pfa 는 죽다 (to die)의 뜻이고, reremba는 떠 다니다 (to float, hover)의 뜻이다. 르완다어 pfa는 한자어 파괴(破壞)의 파(破)의 어원이다. 라틴어 fallere (to trip, cause to fall)은 르완다어 로서, 죽어서 떠다니다는 의미인 것이다. 영어 fail은 라틴어 fallere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죽어서 떠 다닌다는 의미인 것이다. 은 죽어서 떠돌아다녀도 신을 믿는다면 부활할 수 있다는...영생의 메시지이다... |
구분 | do |
Believe me I love you I do I do I do I do... 너를 사랑한다...두고 두고 두고 두고...영원히
과연, 영어 do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do의 고어는 don (make, act, perform, put, place)이며, 고대 게르만어 tuon (to put, place, do, make)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tura 는 두다, 던져 놓다 (to put down a load, give gift, throw down)의 뜻이고, ona는 곡식을 거두다 (to damage crops)의 뜻이다. 르완다어 tura (ra는 동사 현재시제) 는 한국어 <두다(to put)>의 어원이고, ona는 영어 의 어원이다. 고대 게르만어 tuon (to put, place, do, make)은 르완다어 로서, 곡식을 거두어 던져 놓다 즉, 추수하다는 의미인 것이다. 영어 do는 고대 게르만어 고대 게르만어 tuon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추수하였다는 뜻이므로, 완료와 확인을 의미하는 것이다. 는 <사랑한다, 완전히, 확실하게 분명히...>의 뜻이며, do가 중세 영어 이후로 조동사나 대동사가 된 것은 이러한 완료와 확인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인 것이다. |
구분 | may |
You may do as you like...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는 may...
과연, 영어 may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may의 고어는 mæg (am able)이며, 원시 게르만어 magan (have power, may)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mara 는 중지하다 (to spend, stay)의 뜻이고, gana는 진행하다 (to go forward, advance, proceed)의 뜻이다. 르완다어 mara 는 한국어 <말다(not to do)>의 어원이고, gana는 한국어 <가다(go)>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magan (have power, may)은 르완다어 로서, 하거나 (go) 말거나 (don't go)의 의미이다. 영어 may는 원시 게르만어 magan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무엇을 하거나(to do) 말거나(not to do) 하는 것 즉, 선택의 재량권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
구분 | can |
Can you hear me... 능력을 의미하는 can...
과연, 영어 can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can의 고어는 cunnan (know, have power to, be able)이며, 원시 게르만어 kunnan (to be mentally able, to have learned)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kuna 는 연장하다 (to elongate)의 뜻이고, nanuka 는 나누다, 줄이다 (to lose weight, become thin )의 뜻이다. 르완다어 kuna 는 한국어 <큰(big)>의 어원이고, nanuka는 한국어 <나누다>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kunnan (to be mentally able, to have learned)는 르완다어 로서, (지식을 습득하여) 능력이 커져서 (kuna) 부담이 줄어든다 (nanuka)는 의미이다. 영어 can은 원시 게르만어 kunnan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이며, 나의 (지적인) 능력이 확장되어 커져서 (이제는) 그것을 (부담이 적어져서 부담없이) 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
구분 | shall |
Shall we dance... 빚 진 미래를 의미하는 shall...
과연, 영어 shall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shall의 고어는 sceal (to owe, ought to, must)이며, 원시 게르만어 skalen (to be under obligation, guilty, debt)에서 유래하였으며, 동족어는 네덜란드어 sullen, 독일어 sollen 등이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sakara는 지붕을 치다 (to roof, build roof)의 뜻이고, enda는 손에 얻다 (to take something in hands)의 뜻이다. 르완다어 sakara는 한국어 <석가래>의 어원이고, enda는 한자어 은혜(恩惠)의 <은(恩)>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skalen (to be under obligation, guilty, debt)은르완다어 로서, 지붕을 치고 먹을 것을 갖게 한다는 의미이다. 영어 shall은 원시 게르만어 skalen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 의식주의 생계를 신세진 것, 즉 은혜를 입은 것으로서 은혜를 갚아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
구분 | will |
And I will always love you... 미래와 의지를 나타내는 will...
Will은 무척 중요한 말이다. 과연, 영어 will의 어원은 무엇일까?
영어 will의 고어는 willan, wyllan (to wish, desire, be willing; be used to; be about to)이며, 원시 게르만어 willjan (to will, wish, desire)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면 정확한 어원을 찾기 위하여 유라시아어의 조상어인 르완다어를 살펴보자. 르완다어 wira는 일하다, 밤이 되다 (to change from day to night, be evening)의 뜻이고, janjagura는 장작을 패다, 부서지다 (to crush, break into pieces)의 뜻이다. 르완다어 (w)ira는 한국어 <일(work)>의 어원이고, janjagura는 한국어 <장작(firewood)>의 어원이다.
원시 게르만어 willjan (to will, wish, desire)은르완다어 로서, 낮에 부지런히 일해서 장작을 만든다 즉, 밤을 준비한다는 의미이다. 영어 will은 원시 게르만어 willjan 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은 르완다어 에서 기원한 것으로 낮에 일하여 밤을 준비한다는 뜻이며, 하루의 일과나 일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는 이 하루종일 하겠다는 의미이므로, 나는 하루종일 다른 일은 하지 않고 너만을 사랑해주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