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장四十一章
아주 먼 옛날의 선비는 도道에 대해 들으면 (도道) 그것을 부지런히 일삼았다. (그 아래) 먼 옛날의 선비는 도道에 대해 들으면 (도道를 일삼는 바에) 자리하는 바와 더불어 하기도 하고, (도道를 일삼는 바를) 잃어버리는 바와 더불어 하기도 했다. (그) 아래 (이른바) 지금의 선비는 도道에 대해 들으면, (도道를 일삼는 바) 그것에 대해 크게 웃는다. (이른바 지금의 선비는) 부족하다. 이른바, 도道를 일삼는 바가. 따라서 (나는 아래의) 문장을 펼치는데, (따라서 지금의 선비는) 그것을 (자리하고 일삼는 바로)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한다. “(지금의 선비는) 도道에 대해 밝아져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어렴풋해지는 바를 더불어 해야 한다. 도道에게 나아가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에서) 물러나는 바와 더불어 해야 한다. 도道에 대해 가지런해져야 하고, (따라서 무위無爲와 한) 무리가 되는 바와 더불어 해야 한다.” (무위無爲의) 소에게 자리하고, (무위無爲의) 소를 일삼으며, (무위無爲의) 말에게 자리하고, (무위無爲의) 말을 일삼는 일이 (한) 무리가 되는 일이다. (그런데) 나의 도道는 (무위無爲가) 큰 바이다. (따라서 다른 이의 도道와 한 무리인) 듯하지만, 닮지 않은 데가 있다. 이른바, (다른 이의 도道는 나의 도道와 한) 무리가 되는 바이다. (다른 이의 도道) 그것이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무엇인가)? (나의 도道와 같은 ‘도道’라는 글자이다) 그러나 이른바 (다른 이의 도道는 무위無爲한) 말에게 자리하는 바도 아니고, (무위無爲한) 소를 일삼는 바도 아니다. 그러나 이른바 (다른 이의 도道는 유위有爲의) 말에게 자리하는 바이고, (유위有爲한) 소를 일삼는 바이다. (따라서 다른 이의 도道는) 이른바 (나의 도道와 한) 무리가 되는 바가 아니다. 그것은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도道이)다. “(지금의 선비는 무위無爲한) 덕스러움(德; 道·性·自然)을 위로 높여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가 텅 빈) 계곡(의 모습)과 더불어 해야 한다. (유위有爲에 대해) 하얗게 되는 바를 키워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욕된 바로 여기는 바와 더불어 해야 한다. (무위無爲한) 덕스러움(德; 道·命·自然)을 넓혀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에) 충족되어서는 안 된다. (무위無爲한) 덕스러움德을 펼쳐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건성건성 대하는 바와 더불어 해야 한다. (무위無爲가) 참된 바(真; 道)를 바탕으로 해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풀어헤쳐야 한다. (무위無爲에 대해) 크게 모나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모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송宋나라 시대) 여길보呂吉甫는 일컬었다. “‘(유위有爲를) 풀어헤치는 일’은 이른바 (유위有爲의 수준이나 정도가) 재어지는 바(가 어우러지는 바)를 작아지게 하는 일이다. 반대로, 이른바, (무위無爲의 수준이나 정도가 재어지는 바가) 어우러지는 바를 커지게 하는 일이다.” “(지금의 선비는 무위無爲의) 그릇을 키워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의 그릇을) 이루는 바를 늦어지게 해야 한다. (무위無爲의) 소리를 키워야 하고, (따라서 유위有爲의) 소리를 내는 바를 드물어지게 해야 한다. (무위無爲의) 모양을 키워야 하고, (무위有爲의) 모양을 가지는 바가 없게 해야 한다.” 도道는 (유위有爲가) 어슴푸레하고, (따라서 도道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를 수 없다. (도道는 무위無爲가) 늘 그러하고,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르는 이름은 (도道의) 이름일 수 없다. 이른바, 오로지, 도道는 (만물에 자리하고, 만물을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를) 빌리기를 잘하고, (무위無爲로써) 이루기를 잘한다.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為道. 故建言, 有之. 明道, 若昧. 進道, 若退. 夷道, 若類. 在牛為牛, 在馬為馬, 類也. 我道, 大, 似, 不肖. 何類. 之, 有? 然唯非馬可牛. 而亦可馬可牛. 何不類. 之, 有. 上德, 若谷. 大白, 若辱. 廣德, 若不足. 建德, 若偷. 質真, 若渝. 大方, 無隅. 呂吉甫曰: 淪, 於小測. 反, 於大通. 大器, 晚成. 大音, 希聲. 大象, 無形. 道, 隱, 無名. 常, 名. 不可名. 夫唯道, 善貸且成.
(세상 사람들에게 자리하고, 그들을 일삼는 데 있어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도道·德·性·命·無爲·自然”) 이것을 “빌리기를 잘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는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이른바 (도道를) 빌리기를 (스스로) 요청했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에게 자리하고, 그들을 일삼는 데 있어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 그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붙잡지 않았고,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 그것을 (끝점까지) 다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도道는 이른바 (무위無爲) 이것과 더불어 할 따름이었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에게 자리하고, 그들을 일삼는 데 있어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 그것을 (그들에게) 드러내지 않았고,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도道를 빌리기를 (스스로) 요청했다.
有善貸於此, 則人, 將告貸焉. 而彼, 非執事, 以賜之也. 夫道, 亦若是而已矣. 然我, 未見, 物之, 告貸於道也.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어떠했는가?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도道를 더불어 했고, (도道를) 근원으로 일삼았으며,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도道를 말미암았다.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도道에게) 찾아드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고, (도道에게) 나아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으며, (도道로써) 살아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고, (도道에게) 돌아가는 바가 있었다.
何也? 物, 與道, 為體, 而物, 即道也. 物, 有來, 有往, 有生, 有反.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날마다 도道를 (들여) 마셨고, 따라서 (날마다 도道에게) 돌아가는 바를 (끝점까지) 다했으며, 따라서 일찍이 (유위有爲에게) 젖어 드는 바가 한 번도 없었다.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날마다 도道를 (불) 밝혔고, 따라서 (날마다 도道에게) 돌아가는 바를 근본으로 삼았으며, 따라서 (일찍이) 그들은 (유위有爲가) 밝은 (바를 가지는) 바가 (한 번도) 없었다.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유위有爲에게) 젖어 드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고, (따라서 유위有爲가) 밝은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아주 먼 옛날의) 세상 사람들은 (유위有爲를) 이루는 바가 작아지게 했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번쩍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유위有爲에게) 흘러들지 않았다.
日飲於道, 而究歸, 於未嘗或潤. 日燭於道, 而要反, 於未之有明. 無潤, 無明. 物之, 小成, 不耀, 不流.
도道는 저절로 그러한 바(自; 自然·無爲·道·德·性·命)가 끝점에 다다른 바를 일삼는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선비上士”는 도道를 들으면, 그것을 일삼는 바를) 부지런히 하고자 했고, 따라서 그 (자신의) 힘을 (일부러 일삼아 세상 사람들에게) 쓰는 데 이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선비上士”는 도道를 부지런히) 일삼고자 했고, 따라서 그 (자신의)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세상 사람들에게) 드러내지 않았다.
道, 用自極. 故欲勤, 而莫致其力. 欲行, 而不見其功.
이른바, “매(昧; 유위有爲에 대해 어렴풋해진다)”, “퇴(退; 유위有爲에서 물러난다)”, “욕(辱; 유위有爲를 욕된 바로 여긴다)”, “투(偸; 유위有爲를 건성건성 대한다)”는 (유위有爲를) 텅 비운 채, (유위有爲) 그것을 (채우는 바를) 더하지 않는 사람을 지어 부르는 이름이다. 따라서 이른바 (무위無爲) 그것을 받아들인 채, (유위有爲에 대해) 말하지 않는 사람, 이른바 (무위無爲를) 얻는 사람, 이른바 그는 “아주 먼 옛날의 선비上士”이지 않겠는가?
蓋「昧」「退」「辱」「偷」之, 名非虛加之也. 然而受之不辭者, 且得, 不謂之上士乎?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