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림절 Purim
Purim on March 7-8, 2012
Note: The Jewish calendar date begins at sundown of the night
beforehand. Thus holiday observances begin at sunset of the first
secular date listed (with the Purim Night Megillah reading taking place that evening), and the holiday concludes at nightfall the following day.
부림절은 에스더서 9장에 나타납니다.
율법에 정해져 있지 않은 유대축제의 하나입니다.
‘제비뽑다’를 뜻하는 '부르'에서온 이름으로서(에
9:26, 28, 29, 31, 32), 유대인이 하만의 간계에서 구원된 것을 기념하기위해 아달월(태양력 2-3月)의 14,
15일에 지켜졌다(에 9:26, 29). 즉 유월절 전달의 14, 15의양일인데, 유대인이 구원된 날인 13일에는, 준비로서
금식하고, 14일저녁 별빛이 보이기 시작하는 때부터 회당에 모여, 에스더서 전부가 낭독되었다. 하만의 이름이 나오는 때마다,
회중은 일제히 [그의 이름은 말살될지어다, 악인의 이름은 소멸될지어다]라고 외치는 습관이있었다. 그러나 오늘의 유대인 회당에서는
금속제의 벨같은 것의 음을 내는 일로 바꾸고있다. 이튿날 아침 다시 회당에 모여, 에스더서의 낭독이 행해지고, 그후 오락과 가난한
사람들에의 선물이 있다.
성경에는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제정해 주신 3차의 7개 절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모세 율법에 들지 않은 민간 절기로 ‘부림절’과 ‘수전절’이 있습니다.
1) 역사적 배경
유다 백성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고, 얼마 후 바벨론은 페르시아(메데·바사) 제국에 의해 멸망을 받았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비록 소수 민족이었지만 하나님의 선민(選民)이라는 자긍심과 아울러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자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예정하신 바벨론 포로 70년의 역사가 끝나고 1차로 예루살렘 귀환이 이루어지고 제 2차 예루살렘 귀환의 사이에 일어난 사건으로 페르시아 아하수에로王 당시의 일입니다.
2) 왕후가 된 에스더
페르시아(메데·바사)의 왕 아하수에로는 모든 문무백관들을 모으고 잔치하는 자리에서 왕후 와스디의 아름다운 자태를 보여주려고 왕후를
부릅니다. 후원에서 부녀들과 함께 잔치를 하고 있던 왕후는 왕의 부름을 무시하고 왕의 앞에 나아오지 않았습니다.
분개한 아하수에로왕은 왕후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왕후를 간택하게 되는데, 이때 페르시아의 도성 ‘수산’에 살고 있는 유대인 모르드개의 조카 ‘에스더’가 간택되어 페르시아의 왕후가 되었습니다.
3) 모르드개가 왕의 생명을 구함
하루는 왕의 두 내시가 왕을 모살할 음모를 꾸미는 것을 모르드개가 엿듣고 왕후 에스더에게 알려 아하수에로왕은 생명을 구하게 되었고, 두 내시는 나무에 처형당하게 되었습니다.
4) 하만과 모르드개
후에 아하수에로왕이 ‘하만’이라는 자를 높여 모든 대신 위에 세우게 되었는데 모든 대신들과 왕의 신복이 모두 하만에게 꿇어
절하였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였고, 이에 화가 난 하만은 모르드개를 죽일 계략을 생각하다가 모르드개
뿐만 아니라 모르드개가 속한 유다인 전체를 멸하려는 음모를 꾸미고서 유다인들을 죽일 달을 제비뽑았으니 그 달은 ‘아달월’ 곧
12월이었습니다.
5) 하만의 참소
간악한 하만이 아하수에로왕에게 나아가 참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 한 민족이 왕의 나라 각 도의 백성 중에 흩어져 거하는데 그 법률이 만인보다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아니하오니 용납하는 것이 왕에게 무익하니이다. 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조서를 내려 저희를 진멸하소서 … 」
☞ 참소(讒訴) : 남을 헐뜯어, 없는 죄를 있는 것처럼 꾸며서 고해 바치는 것.
6) 위기에 처한 유대인
왕은 인장(印章) 반지를 손에서 빼어 하만에게 주며 “너는 너의 소견에 좋을 대로 하라”는 명을 내리게 되었고 유다인들의 대적
하만이 소집한 서기관들에 의해 각 도의 방백과 각 민족의 관원에게 아하수에로왕의 이름으로 조서를 쓰되 각 도의 문자와 각 민족의
방언대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을 쳤습니다.
「12월 13일 하루 동안에 유다인을 노소(老少)나 어린아이나 부녀를 무론하고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또 그 재산을 탈취하라!」
이 조서가 각 도에 알려지자 유다인들은 아연실색! 대성 통곡하며 금식하고, 부르짖고 굵은 베를 입고서 재에 누워 하나님께 구원하시기를 청하기에 이르렀습니다.
7) 죽으면 죽으리라
유다인 모르드개는 왕후인 에스더에게 사람을 보내어 왕께 청해 이 위기에서 넘겨주기를 구하니 “네가 왕후의 위(位)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아느냐”
에스더는 3일간을 금식하고서, 누구든 왕의 부름을 받지 아니하고 왕에게 나아갔을 때 왕이 금홀을 내어 밀지 아니하면 죽이는 것이 페르시아의 국법임을 알면서도 두려워 아니하고 ‘죽으면 죽으리라’는 각오로 왕에게 나아가기에 이릅니다.
금홀을 내어 민 왕에게 에스더는 자신이 준비한 잔치에 하만과 함께 참여할 것을 청하는데… 내막을 모르는 하만은 자신 혼자만이 왕과 함께 왕후의 초대를 받았다며 즐거워합니다.
8) 모르드개를 존귀케 함
밤에 왕이 역대 일기를 검토하던 중 암살을 꾀하던 두 내시를 고발한 모르드개에게 아무런 관직을 베풀지 않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한편, 모르드개를 처형하기 위하여 높이가 50규빗(약 22.5미터)이나 되는 장대를 준비하고 왕의 허락을 받고자 나온
하만은 오히려 모르드개를 존귀케 하라는 왕의 명령을 받게 됩니다.
하만은 모르드개에게 왕복을 입히고 왕이 쓰는 왕관을 씌우고, 왕이 타는 말에 태우고서 성중 거리로 다니며 이르기를 “왕이 존귀케 하기를 기뻐하시는 사람에게는 이같이 할 것이라” 하고 외쳐야만 했습니다.
☞ 규빗 : 길이를 재는 단위. 규빗은 손끝에서 팔꿈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인데 1규빗은 대략 45㎝이다.
9) 하만의 죽음
왕후 에스더는 잔치에 초대된 왕의 앞에서 자신과 자신의 민족에 대해서 고하는데, “왕이여! 나와 내 민족이 팔려서 죽임을 당하게 되었나이다. 만일 우리가 노비로 팔렸더면 내가 잠잠하였으리이다. ”
“감히 이런 일을 심중에 품은 자가 누구며 그가 어디 있느뇨” 왕후와 왕후의 민족을 죽이려 하는 자가 있다는 말을 들은 아하수에로 왕은 노기가 등등하였습니다.
“적과 원수는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
결국 유다인을 죽이려고 했던 원수 하만은,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세워 둔 장대에 자신이 매달리게 되었고 죽기로 작정되었던 유다인들에게는 사는 길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10) 유다인들을 위한 조서
왕의 인장 반지로 인을 친 조서는 설령 왕이라고 할지라도 변개시킬 수 없는 것이 페르시아의 율법인지라 왕은 새로운 조서를 내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왕이 여러 고을에 있는 유다인에게 허락하여 저희로 함께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각 도의 백성 중 세력을 가지고 저희를 치려
하는 자와 그 처자를 죽이며 도륙하고 진멸하여 그 재산을 탈취하게 하되 아달월 즉 12월 13일 하룻 동안에 하라」
유다인에게는 영광과 즐거움과 기쁨과 존귀함이 있었습니다. “유다인들이 칼로 그 모든 대적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였고 하만의 열 아들을 죽여 시체를 나무에 달았으나 그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에 9:5∼16)
11) 부림절
12월 14일에 유다인들이 잔치를 베풀어 즐기니 그 후 유다인들은 12월 14일과 15일을 경절로 삼았고, ‘제비뽑다’라는 뜻을 가진 ‘부르’의 이름을 좇아 ‘부림절’이라 하였습니다.
이 날은 다만 육적 유다인들의 민족 절기이지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구원과는 상관이 없는 절기입니다. 대한민국의 ‘광복절’이나 3·1절과 같은 의미를 띄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12) 영적 유다인을 위한 교훈
마지막 시대를 살고 있는 영적 유다인인 우리들에게 에스더서의 역사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큽니다.
1. 왕에게 유다인들을 참소한 악한 ‘하만’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를 참소하던 악한 원수 마귀를 상징합니다. [계 12:10]
“우리 형제들을 참소하던 자 곧 우리 하나님 앞에서 밤낮 참소하던 자가 쫓겨났다” 라고 하였습니다.
2. 유다인들을 몰살시키려는 하만의 악한 계략으로 유다인들이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영적인 유다인들도 마지막에 커다란 위기에 처할 것입니다.
3. 위기에 처한 유다인들이 왕후 에스더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했던 것도 영적 유다인들이 마지막 때에 성령의 신부로 인하여 위기를 벗어나 생명을 얻게 될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4. 유다인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준비한 장대에 자신이 달린 하만과 같이 영적 유다인들을 잡아 가두려고 준비해 둔 곳에 마귀 자신이 갇혀버리고 말 것을 시사해 주고 있습니다.
5. 육적인 유다인들이 연합하여 대적과 싸워 이겼던 것 또한 영적 유다인들이 연합하여 원수 마귀의 세력과 싸워 이길 것을 알려주는 내용입니다.
이제 영적 유다인들의 아름다운 연합과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고자 하는 절실한 믿음이 요구되는 때가 미구에 도래할 것입니다.
기록되기를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롬 15:4) 하였고, 또한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지라. 해 아래는 새 것이 없나니 무엇을 가리켜 이르기를 .보라! 이것이 새 것이라 할 것이
있으랴 우리! 오래 전 세대에도 이미 있었느니라.'」 (전 1:9∼10)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