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46 회차 빛솔산악회 산행출발 ★ ☆일 시 :2015 1월 11일 ☆장 소 : 광주 무등산 ◎차량 탑승지 1.희망교와 대봉교 사이 신천동로 삼환아파트 6시 50분 첫출발 3.대명시장 건너편 남대구정형외과 7시 00분
※시간 관계상 차량출발 지연 할수 없으므로 무조건 정시출발 합니다. --- 그러니 반드시 시간 엄수 하시길 바랍니다. --- ◆ 반드시 남총무에게 문자로 산행신청을 해 주시길 바랍니다. ▲ 회장 조만석: 010-3527-5789 ▲ 남총무 박기영: 010-9626-7770 ▲여총무 김지윤: 010-4688-4416 ▲산행대장 장흥식: 010-2517-5266
■ 산행 코스 및 산행지 설명 100대명산 무등산국립공원 (해발 1,187 미터) 천왕봉기준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전체면적 75.425㎢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입석대·규봉 등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석책을 두른 듯 치솟아 장관을 이룬다. 또 마치 옥새 같다 하여 이름 붙여진 새인봉은 장불재에서 서쪽 능선상에 병풍같은 바위절벽으로 이뤄져 있으며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경관자원 61개소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이 보유되어 있다.
1972.05.22 무등산
도립공원지정 1974.04.29 공원기본계획 고시(전남고시 제61호) 1987.09.01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 설치 1998.09.24 무등산 보존과 이용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2001.12.07 공원기본계획 변경고시 2010.12.24 무등산 국립공원 승격지정 건의(광주광역시 → 환경부) 2012.12.31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결정고시(환경부고시 제2012-252호) 2013.01.16 ‘공원관리청의 직무위임·위탁에 관한 규정’ 개정 고시 (환경부 고시2013-4호) 2013.03.04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동부사무소 개소
(무등산국립공원안내
발췌)
(***또다른 설명***)
백제 때 무진악(武珍岳),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이라고 하였으며 높이 1,187m이다. 북쪽은 나주평야, 남쪽은 남령산지의 경계에 있으며 산세가 웅대하다. 북부는 중생대에 관입(貫入)한 화강암이 분포하고 남부는 퇴적암지대이다. 대부분 완만한 흙산이며 중턱에는 커다란 조약돌들이 약 2km에 걸쳐 깔려 있는데 이것을 지공너덜이라고 한다. 153과 897종의 식물이 분포하며 이 가운데 465종은 약료작물이다.
*며칠전 눈이 와서 눈구경은 충분히 하리라 봅니다. 아래의 눈사진들은 1월 4일 사진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