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공부 하는 법>
이재익
조선 27대왕들의 묘호(廟號)
태, 정, 태, 세, 문, 단, 세~ 그렇게 외듯이
개화기 한말에 22개 중요사건도 노래로 단숨이다
'강화도, 군인들이, 정변을 일으켜,
거문도로 철수해, 명령을 기다리니,
혁명이 일어나, 청일전쟁이더라' ~
ㅡ강화도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거문도사건, 방곡령사건, 동학혁명, 청일전쟁
단숨에 7개를 이어서
'그때, 갑,삼이,을,아가, 대한제국 건아돼,
러일전쟁에서 군가를 부르네',
ㅡ갑오경장, 삼국건섭, 을미사변, 아관파천,
대한제국선포, 러일전쟁 6개로 이어지고,
'한의, 한협, 을둘, 헤이!,
고만물러나, 신7켤레 잃은 군대생활,
각서쓰니, 한일합방됐네'~
ㅡ한일의정서, 한일협정, 을사제2차한일협약,
헤이그특사사건, 고종퇴위, 한일신협약정미7, 군대해산, 기유각서, 한일합방 9개로 종결이다
모두 22개 중요사 순서를 단숨에, 쉽지?
선생님 그냥 외울래요
공부하는 방법이 그렇다는거다!
ㅡㅡㅡㅡ
🟫 1876년 강화도조약부터 1910년 한일합방까지 중요사항
*️⃣ 1. 강화도조약(병자수호조약), 1876
⬅️ 운요오호사건(1875) 계기, 최초의 근대적(불평등)조약
*️⃣ 2. 임오군란 1882
개화파, 척사파 대립, ➡️ 상민수륙무역장정(조-청간), 제물포조약(조-일간)
*️⃣ 3. 갑신정변 1884
온건개화파 급진개화 대립,
➡️ 한성조약(조-일간) 텐진조약(청-일간)
*️⃣ 4. 거문도사건 1885
➡️ 영러의 대립, 버들러 유길준 중립론 대두
*️⃣ 5. 방곡령사건 1889
조병식 ➡️ 배상금 지불
*️⃣ 6. 동학혁명 1894
폐정개혁 12개조
*️⃣ 7. 청일전쟁 1894~5
➡️ 시모노세키조약, 일본이 대만과 요동반도 획득
*️⃣ 8. 갑오경장 1894
군국기무처, 홍범14조(헌법적)
김홍집 1,2차 내각(친일)
*️⃣ 9. 삼국간섭 1895
러, 프, 독 연합 일본에 압력 ➡️ 요동반도 반환. 제3차 김홍집내각(친러)
*️⃣ 10. 을미사변 1895
일본 명성황후 시해, 연호 건양, 단발령
제4차 김홍집내각(친일) ➡️ 한말 최초 의병
*️⃣ 11. 아관파천 1896
윤용선 친러내각, ➡️ 이권상실에 저항 독립협회 활동
*️⃣ 12. 대한제국 선언 1897
광무개혁 대한국제 9조, 구본신참
*️⃣ 13. 러일전쟁 1904~5
➡️ 포오츠머드강화조약
*️⃣ 14. 한일의정서 1904.5
러일전쟁 수행 위해 일본이 군사요지 점령, ➡️ 러시아와 조약 폐기
*️⃣ 15. 한일협정서(제1차 한일협약) 1904.8. 고문정치, 메가다(재정) 스티븐스(외교)
*️⃣ 16. 제2차한일협약(을사조약), 1905
통감부정치(보호정치), 외교권 박탈
➡️ 의병발생, 민영환 자결
*️⃣ 17. 헤이그 특사건, 1907
이준(분사), 이상설, 이위종, 만국평화회의에 을사조약 부당 호소시도
*️⃣ 18. 고종 퇴위, 1907
헤이그 특사파견 책임
순종 즉위, 연호 융희
*️⃣ 19.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1907
차관정치, ➡️ 의병발생, 국채보상운동
*️⃣ 20. 군대해산. 1907
➡️ 해산군인 의병 가담, 서울진공작전.
박승환 자결
*️⃣ 21. 기유각서, 1909
사법권 박탈, ➡️ 1910 경찰권 박탈
*️⃣ 22. 한일합방조약. 1910, 경술국치
8.22 조인, 8.29 선포, 국치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