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6-10/10節절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6절
p.374 【經文】 =====
八卦定吉凶吉凶生大業
八卦定吉凶, 吉凶生大業.
八卦定吉凶하고 吉凶이 生大業하나니라
八卦팔괘가 吉凶길흉을 定정하고, 吉凶길흉이 大業대업을 낳는다.
中國大全
p.376 【本義】 =====
有吉有凶是生大業
有吉有凶, 是生大業.
有吉有凶하여 是生大業이라.
吉길함도 있고 凶흉함도 있으니, 이것이 大業대업을 낳는다.
p.376 【小註】 =====
朱子曰卦畫旣立便有吉凶在裏蓋是陰陽往來交錯於其間時則有消長之不同長者便爲主消者便爲客事則有當否之或異當者便爲善否者便爲惡卽其主客善惡之辨而吉凶見矣故曰八卦定吉凶吉凶旣決定而不差則以之立事而大業自此生矣.
朱子曰, 卦畫旣立, 便有吉凶在裏, 蓋是陰陽往來, 交錯於其間. 時則有消長之不同, 長者便爲主, 消者便爲客. 事則有當否之或異, 當者便爲善, 否者便爲惡. 卽其主客善惡之辨, 而吉凶見矣. 故曰八卦定吉凶. 吉凶旣決定而不差, 則以之立事, 而大業自此生矣.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卦괘의 畫획이 이미 成立성립되면 吉길과 凶흉이 안에 있으니, 陰음과 陽양이 오가면서 그 사이에서 서로 섞이기 때문이다. 때에는 줄고 자람의 같지 않음이 있으니, 자라는 것이 主人주인이 되고 주는 것은 손님이 된다. 일에는 마땅함과 마땅치 않음의 差異차이가 있으니, 마땅한 것이 善선이 되고 마땅치 않은 것이 惡악이 된다. 主人주인과 손님, 善선과 惡악이 分別분별됨에 吉길과 凶흉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八卦팔괘가 吉凶길흉을 定정한다”고 하였다. 吉길과 凶흉이 이미 決定결정되어 어긋나지 않으면, 이것으로 일이 세워지고 大業대업이 이로부터 나올 것이다.”
○ 雲峯胡氏曰易有交易之義上文所謂闔闢往來者易也故承上文而言其所以闔闢往來而不窮者以其有是太極之理也此章所謂兩儀四象八卦卽易也又原其始而言者惟其有太極之理所以生儀生象生卦而謂之易也以畫卦則始爲一畫以分陰陽而謂之兩儀次爲二畫以分老少謂之四象又次爲三畫而謂之八卦以揲蓍則一揲而有兩儀之象次二揲而有四象之象又三揲而有八卦之象自一生兩皆有太極之理存焉吉凶生大業有理必有用也.
○ 雲峯胡氏曰, 易有交易之義, 上文所謂闔闢往來者, 易也. 故承上文而言其所以闔闢往來而不窮者, 以其有是太極之理也, 此章所謂兩儀四象八卦卽易也. 又原其始而言者, 惟其有太極之理, 所以生儀生象生卦而謂之易也. 以畫卦, 則始爲一畫, 以分陰陽, 而謂之兩儀, 次爲二畫, 以分老少, 謂之四象, 又次爲三畫, 而謂之八卦. 以揲蓍, 則一揲而有兩儀之象, 次二揲而有四象之象, 又三揲而有八卦之象. 自一生兩, 皆有太極之理存焉, 吉凶生大業, 有理必有用也.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易역에는 서로 바뀐다[交易교역]는 뜻이 있으니, 위의 글에 이른바 “닫으며 열고 오고 간다”는 것이 易역이다. 그러므로 위의 글을 이어서 그 닫으며 열고 오가면서 다하지 않는 까닭은 太極태극이라는 理致이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이니, 이 章장의 이른바 兩儀양의와 四象사상과 八卦팔괘가 易역이다. 또 그 처음을 찾아서 말한 것은, 오직 太極태극이라는 理致이치가 있기에 兩儀양의를 낳고 四象사상을 낳고 八卦팔괘를 낳아 易역이라고 이르기 때문이다. 卦괘를 긋는 것은 처음에 한 畫획을 그어 陰음과 陽양을 나누어 兩儀양의라 하고, 다음에 두 番번째 畫획을 그어 老노와 少소를 나누어 四象사상이라 하고, 다시 다음으로 세 番번째 畫획을 그어 八卦팔괘라고 한 것이다. 蓍草시초를 세는 것은 한―番번 셈하여 兩儀양의의 象상이 있고, 다시 두 番번째 셈하여 四象사상의 象상이 있고, 다시 세 番번째 셈하여 八卦팔괘의 象상이 있게 된다. 하나로부터 둘을 낳음에 모두 太極태극의 理致이치가 保存보존되어 있는데, ‘吉凶길흉이 大業대업을 낳음’은 理致이치가 있으면 반드시 作用작용이 있어서이다.”
○ 臨川呉氏曰易謂陽奇陰偶互相更換而爲四象八卦也大者大之至也極者屋棟之名天地間之有此理猶屋之有極也易有太極謂一陰一陽之相易有理而爲之主宰也儀匹也一陰一陽相匹配而爲兩卦之第一畫也是謂兩儀兩儀之上各加一陰一陽則倍二而爲四卦之第二畫也是謂四象四象之上又各加一陽一陰則倍四而爲八卦之第三畫也是謂八卦有此八卦則其別有六十四而可用之占筮以定吉凶俾民无所疑而勇於趨事赴功故曰生大業此蓋申言方以知之卦因及卜筮者所尙之占二四而八卦之方也定吉凶生大業者其知也.
○ 臨川呉氏曰, 易謂陽奇陰偶, 互相更換, 而爲四象八卦也. 大者, 大之至也, 極者, 屋棟之名, 天地間之有此理, 猶屋之有極也. 易有太極, 謂一陰一陽之相易, 有理而爲之主宰也. 儀, 匹也, 一陰一陽相匹配而爲兩. 卦之第一畫也, 是謂兩儀. 兩儀之上, 各加一陰一陽, 則倍二而爲四, 卦之第二畫也, 是謂四象. 四象之上, 又各加一陽一陰, 則倍四而爲八, 卦之第三畫也, 是謂八卦. 有此八卦, 則其別有六十四, 而可用之占筮, 以定吉凶, 俾民无所疑, 而勇於趨事赴功. 故曰生大業. 此蓋申言方以知之卦, 因及卜筮者所尙之占, 二四而八, 卦之方也, 定吉凶生大業者, 其知也.
臨川呉氏임천오씨가 말하였다. “易역은 陽양인 홀과 陰음인 짝이 서로서로 고치고 바꿔서 四象사상과 八卦팔괘가 됨을 이른다. ‘大대’는 至極지극히 큰 것이고 ‘極극’은 집 마룻대의 이름이니, 天地천지의 사이에 이 理致이치가 있음은 집에 마룻대가 있음과 같다.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음’은 한―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番번은 陽양이 되어 서로 바뀜에 理致이치가 있어서 主宰주재함을 이른다. ‘儀의’는 짝이니, 한―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番번은 陽양이 됨이 서로 짝이 되어 둘이 됨이다. 卦괘의 첫 番번째 畫획이니, 이를 ‘兩儀양의’라 한다. 兩儀양의의 위에 各各각각 한―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番번 陽양이 됨을 더하면 둘이 倍배가 되어 넷이 되는데, 卦괘의 두 番번째 畫획으로 이를 ‘四象사상’이라 한다. 四象사상의 위에 다시 各各각각 한―番번은 陽양이 되고 한―番번은 陰음이 됨을 더하면 넷이 倍배가 되어 여덟이 되는데, 卦괘의 세 番번째 畫획으로 이를 ‘八卦팔괘’라 한다. 八卦팔괘가 있으면 따로 六十四64가 있게 되고, 이것으로 占점쳐서 吉길과 凶흉을 定정하여 百姓백성에게 疑惑의혹을 없게 하고 迅速신속히 일에 나아가 功공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大業대업을 낳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大體대체로 모나서 知慧지혜로운 卦괘를 再次재차 言及언급하고는 곧 占점치는 者자가 崇尙숭상하는 占辭점사에 미친 것이니, 둘이며 넷이며 八팔이 됨은 卦괘의 모남이고, 吉凶길흉을 定정하고 大業대업을 낳음은 卦괘의 知慧지혜로움이다.”
○ 平庵項氏曰自太極以至末章爲第四節極言聖人制作之本然制作之本有三易有太極以下六句言爻象之所由生法象莫大乎天地以下六句言成器之所由立天生神物以下四者爲易書之所由作
○ 平庵項氏曰, 自太極以至末章, 爲第四節, 極言聖人制作之本. 然制作之本有三, 易有太極以下六句, 言爻象之所由生, 法象莫大乎天地以下六句, 言成器之所由立, 天生神物以下四者, 爲易書之所由作.
平庵項氏평암항씨가 말하였다. “‘太極태극’으로부터 章장의 끝에 이르기까지가 네 番번째 節절이 되니, 聖人성인이 制作제작하는 根本근본을 끝까지 말하였다. 그러나 制作제작하는 根本근본에는 셋이 있으니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다”부터 여섯 句節구절은 爻효와 象상이 생겨난 緣由연유를 말한 것이고, “法법과 象상이 天地천지보다 큰 것이 없다”부터 여섯 句節구절은 器物기물을 이룸이 成立성립된 緣由연유를 말한 것이고,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을 내었다”부터 네 句節구절은 『周易주역』이라는 冊책이 制作제작된 緣由연유가 된다.”
韓國大全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正義, 萬事各有吉凶, 廣大悉僃, 能生天下大事業.
『周易주역정의』에서 말하였다. “萬만 가지 일에는 各各각각 吉凶길흉이 있어 廣大광대하게 다 갖추어서 天下천하의 큰 事業사업을 낸다.
小註平庵說, 雙湖胡氏曰, 項氏分節甚好, 但其間語未盡純.
小註소주의 平菴項氏평암항씨의 說설에 對대해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項氏항씨가 句節구절을 나눈 것은 좋은데, 그 사이의 말이 純全순전함을 다하지 못했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八卦旣生, 則剛柔迭用, 九六相推. 時有消長位有當否, 故定吉凶. 吉凶旣定, 則以之立事而生大業.
八卦팔괘가 이미 생겨나면 剛柔강유가 番번갈아 使用사용되고 九9,六6이 서로 밀친다. 때에는 줄어들고 늘어남이 있고 자리에는 마땅함과 그렇지 않음이 있어 吉凶길흉을 定정한다. 吉凶길흉이 이미 定정해지면 그것으로 일을 세우고 大業대업을 生생한다.
【이항로(李恒老) 「주역전의동이석의(周易傳義同異釋義)」】
繫辭一條記疑.
「繫辭傳계사전」 한 條目조목에 對대한 疑心의심을 記錄기록함.
易有太極, 是生両儀, 両儀生四象, 四象生八卦, 八卦生吉凶, 吉凶生大業.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兩儀양의를 낳고,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낳고, 四象사상이 八卦팔괘를 낳으니, 八卦팔괘가 吉凶길흉을 定정하고, 吉凶길흉이 大業대업을 낳는다.
恒老按, 易有太極猶言天道流行也. 謂所以流行不息者, 以其太極爲骨子也. 曰儀曰象曰卦曰吉凶曰大業, 皆從形質, 指形質所具之太極也. 何以明之. 儀是著見之稱, 著見於外指何物耶, 曰太極也. 象是肖似之稱, 所謂肖似者肖似乎誰耶, 曰太極也. 卦是掛示之稱, 所謂掛示者指何物耶, 曰太極也. 曰吉凶者, 太極之顯於得失者也. 曰大業者, 太極之著於事物者也. 故愚以爲就事物上, 指事物所具之太極而言.
내가(李恒老이항로) 살펴보았다.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다는 것은 天道천도가 流行유행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流行유행하며 쉬지 않는 것은 太極태극을 骨子골자로 삼았음을 말한다. ‘儀의’라 하고 ‘象상’이라 하고 ‘卦괘’라 하고 ‘吉凶길흉’이라 하고 ‘大業대업’이라 함은 모두 形質형질을 따라 形質형질이 갖추고 있는 太極태극을 가리킨 것이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儀의는 드러남을 일컫는데 밖으로 드러났다는 것은 무엇을 指目지목하는가? 말하자면 太極태극이다. 象상은 恰似흡사하게 그린 것을 일컫는데 이른바 恰似흡사하게 그렸다는 것은 무엇을 指目지목하는가? 말하자면 太極태극이다. 卦괘는 걸어서 보여줌을 일컫는데 이른바 걸어서 보여준다는 것은 무엇을 指目지목하는가? 말하자면 太極태극이다. 吉凶길흉이라는 것은 太極태극이 失得실득으로 드러남이고 大業대업은 太極태극이 事物사물에 드러난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事物사물에 나아가 事物사물이 갖추고 있는 太極태극을 가리켜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節言易卦之所由生也. 一而生二, 卽自然之理也. 易謂陰陽之變而太極者卽其理也. 六十四卦, 本于八卦, 故止言八卦而包在其中. 大業謂萬事之用也.
이 句節구절에서는 易卦역괘가 生생한 緣由연유를 말했다. 一1이 二2를 生생함은 自然자연스러운 理致이치이다. 易역은 陰陽음양의 變化변화를 말하고 太極태극은 그 理致이치이다. 六十四卦64괘는 八卦8괘에 根本근본하기 때문에 八卦8괘를 말하는데 그쳤지만 그 가운데 包含포함되어있다. 大業대업은 萬만 가지 일의 쓰임을 말한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7절
p.376 【經文】 =====
是故法象莫大乎天地變通莫大乎四時縣象著明莫大乎日月崇高莫大乎富貴備物致用立成器以爲天下利莫大乎聖人探賾索隱鉤深致遠以定天下之吉凶成天下之亹亹者莫大乎蓍龜.
是故, 法象, 莫大乎天地, 變通, 莫大乎四時, 縣象著明, 莫大乎日月, 崇高, 莫大乎富貴, 備物致用, 立成器, 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 探賾索隱, 鉤深致遠, 以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莫大乎蓍龜.
是故로 法象이 莫大乎天地하고 變通이 莫大乎四時하고 縣象著明이 莫大乎日月하고 崇高-莫大乎富貴하고 備物하며 致用하며 立成器하야 以爲天下利-莫大乎聖人하고 探賾索隱하며 鉤深致遠하야 以定天下之吉凶하며 成天下之亹亹者-莫大乎蓍龜하니라
이런 까닭으로 法법과 象상이 天地천지보다 큰 것이 없고, 變변하며 通통함이 四時사시보다 큰 것이 없고, 象상을 내걸어 널리 밝힘이 日月일월보다 큰 것이 없고, 崇高숭고함이 富貴부귀보다 큰 것이 없고, 萬物만물을 갖추며 씀을 다하며 器物기물을 만들어 내어 이로써 天下천하의 利이로움을 삼음이 聖人성인보다 큰 것이 없고, 雜多잡다(賾색)한 것을 뽑아내며 隱微은미한 것을 찾아내며 깊은 것을 끌어내며 먼 것을 불러들여 이로써 天下천하의 吉凶길흉을 定정하며 天下천하의 부지런히 애씀(亹亹미미)을 이루는 것이 蓍草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이 없다.
中國大全
p.376 【本義】 =====
富貴謂有天下履帝位立下疑有闕文亹亹猶勉勉也疑則怠決故勉
富貴, 謂有天下履帝位. 立下, 疑有闕文. 亹亹, 猶勉勉也. 疑則怠, 決故勉.
富貴는 謂有天下, 履帝位라 立下에 疑有闕文이라 亹亹는 猶勉勉也니 疑則怠하나니 決故로 勉이라.
‘富貴부귀’는 天下천하를 지니고 皇帝황제의 地位지위에 오름을 이른다. ‘立입’의 아래에는 빠진 글-字자가 있는 듯하다. ‘亹亹미미’는 부지런히 힘씀과 같으니, 疑惑의혹되면 懶怠나태하지만 決斷결단했으므로 힘쓰는 것이다.
p.376 【小註】 =====
朱子曰探賾索隱若與人說話時也須聽他雜亂說將出來底方可索他那隱底
朱子曰, 探賾索隱, 若與人說話時, 也須聽他雜亂說將出來底, 方可索他那隱底.
“雜多잡다한 것을 뽑아내며 隱微은미한 것을 찾아낸다”는 사람들과 對話대화할 때 같으면, 또한 저가 雜多잡다하게 말하려는 것을 들어야만 비로소 그의 隱微은미한 것을 찾아 낼 수 있다.
○ 問以定天下之吉凶成大下之亹亹曰人到疑而不能決處便放倒了不肯向前動有疑阻旣得卜筮知其吉凶自然勉勉住不得則其所以亹亹者是卜筮成之也
○ 問, 以定天下之吉凶, 成大下之亹亹. 曰, 人到疑而不能決處, 便放倒了, 不肯向前, 動有疑阻. 旣得卜筮, 知其吉凶, 自然勉勉住不得, 則其所以亹亹者, 是卜筮成之也.
물었다. ““天下천하의 吉凶길흉을 定정하며 天下천하의 부지런히 애씀을 이룬다”는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사람들은 疑惑의혹되어 決斷결단할 수 없게 되면 곧 풀어 높고 나아가려 하지 않으니, 움직임에 障礙장애가 있게 됩니다. 그러나 이미 占점을 쳐서 그 吉길과 凶흉을 알게 되면 自然자연히 부지런히 애쓰고 멈추지 않으니, 부지런히 애쓰게 된 것은 占점치는 것이 이룬 것입니다.”
○ 易占不用龜而毎言蓍龜皆具此理也
○ 易占, 不用龜, 而毎言蓍龜, 皆具此理也.
易역의 占점에는 거북을 쓰지 않는데, 매-番번 蓍草시초와 거북을 말하는 것은 모두 이 理致이치를 갖춰서이다.
○ 進齋徐氏曰法謂效法象謂成象萬物之生有顯有微皆法象也而莫大乎天地萬化之運終則有始皆變通也而莫大乎四時天文煥爛皆懸象著明也而莫大乎日月崇高以位言而貴爲天子富有四海者爲尤大智者創物巧者述之皆足以爲利而物无不備用无不致立成器以爲天下利者惟聖人爲大賾隱以物象言深遠以事理言探之索之則賾者陳而隱者顯矣鈎謂曲而取之致謂推而極之則深者出而遠者至矣卦爻示人者明若觀火則有以決其吉凶而勉其有成也故曰成天下之亹亹者莫大乎蓍龜上三言以易之在造化者言也下三言以易之在人事者言也天地有自然之法象非崇高富貴位與天地竝何以修道而立敎四時有自然之變通非聖人作易變通盡利何以神化而宜民日月之明旁燭幽遐非易之示人本隱之顯何以開物成務是三言者各有所合也
○ 進齋徐氏曰, 法謂效法, 象謂成象. 萬物之生, 有顯有微, 皆法象也, 而莫大乎天地. 萬化之運, 終則有始, 皆變通也, 而莫大乎四時. 天文煥爛, 皆懸象著明也, 而莫大乎日月. 崇高以位言, 而貴爲天子, 富有四海者, 爲尤大. 智者創物, 巧者述之, 皆足以爲利, 而物无不備, 用无不致, 立成器, 以爲天下利者, 惟聖人爲大. 賾隱, 以物象言, 深遠, 以事理言. 探之索之, 則賾者陳, 而隱者顯矣. 鈎謂曲而取之, 致謂推而極之, 則深者出, 而遠者至矣. 卦爻示人者, 明若觀火, 則有以決其吉凶, 而勉其有成也. 故曰成天下之亹亹者, 莫大乎蓍龜. 上三言, 以易之在造化者言也, 下三言, 以易之在人事者言也. 天地有自然之法象, 非崇高富貴, 位與天地竝, 何以修道而立敎. 四時有自然之變通, 非聖人作易, 變通盡利, 何以神化而宜民. 日月之明, 旁燭幽遐, 非易之示人, 本隱之顯, 何以開物成務. 是三言者, 各有所合也.
進齋徐氏진재서씨가 말하였다. “‘法법’은 法법을 드러냄을 이르고 ‘象상’은 象상을 이룸을 이른다. 萬物만물이 생겨남에 드러남도 있고 隱微은미함도 있는 것이 모두 法법이며 象상이지만, 天地천지보다 큰 것이 없다. 온갖 變化변화가 運行운행되어 끝마치면 始作시작이 있는 것이 모두 變변하며 通통함이지만, 四時사시보다 큰 것이 없다. 하늘의 色彩가 환한(煥爛환란) 것이 모두 象상을 내걸어 널리 밝힘이지만, 日月일월보다 큰 것이 없다. 崇高숭고는 자리로 말한 것인데, 貴귀함은 天子천자가 되고 富裕부유함은 天下천하를 所有소유한 者자가 가장 큰 것이 된다. 知慧지혜로운 者자가 事物사물을 始作시작하고 재주 있는 者자가 이어가는 것이 모두 利이로움이 될 수 있지만, 事物사물을 갖추지 않음이 없고 씀을 다하지 않음이 없으며 器物기물을 만들어 내어 이로써 天下천하의 利이로움을 삼는 것이 오직 聖人성인만이 偉大위대하다. 雜多잡다함과 隱微은미함은 物件물건의 象상으로 말한 것이고, 깊음과 멂은 일의 理致이치로 말한 것이다. 뽑아내고 찾아내면 雜多잡다한 것이 陳列진열되고 隱微은미한 것이 드러날 것이다. ‘鉤구’는 구석구석 取취함을 이르고 ‘致치’는 미루어 다함을 이르니, 깊은 것이 나오고 먼 것이 이를 것이다. 卦爻괘효로 사람에게 보인 것이 불을 보듯이 分明분명하니, 吉길과 凶흉을 決斷결단함이 있고 이룸이 있도록 激勵격려하게 된다. 그러므로 “天下천하의 부지런히 애씀을 이루는 것이 蓍草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이 없다”고 하였다. 위의 세 가지는 天地천지의 造化조화에 있는 易역을 말한 것이고, 아래의 세 가지는 人事인사에 있는 易역을 말한 것이다. 天地천지에는 自然자연스러운 法법과 象상이 있는데, 崇高숭고하고 富貴부귀하여 자리가 天地천지와 나란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道도를 닦아 가르침을 세우겠는가? 四時사시에는 自然자연하게 變변하며 通통함이 있는데,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어 變通변통하여 利이로움을 다함이 아니라면, 어떻게 神妙신묘하게 敎化교화하여 百姓백성을 마땅하게 하겠는가? 日月일월의 밝음이 구석지고 깊은 곳을 널리 비추는데, 易역이 사람에게 보여 本來본래의 隱微은미함을 드러냄이 아니라면, 어떻게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겠는가? 이 세 가지로 말한 것에는 各各각각 合致합치하는 바가 있다.”
○ 雲峯胡氏曰此六者之功用皆大也聖人欲借彼之大以形容蓍龜功用之大故以是終焉
○ 雲峯胡氏曰, 此六者之功用, 皆大也, 聖人欲借彼之大, 以形容蓍龜功用之大. 故以是終焉.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이 여섯 個개의 功用공용이 모두 偉大위대하기에, 聖人성인이 저것들의 偉大위대함을 빌려서 蓍草시초와 거북의 功用공용이 偉大위대함을 形容형용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이것[蓍草시초와 거북]으로 끝맺었다.”
○ 節齋蔡氏曰經文立字下當有象字
○ 節齋蔡氏曰, 經文立字下, 當有象字.
節齋蔡氏절재채씨가 말하였다. “經文경문의 ‘立입’字자 아래에는 ‘象상’字자가 있어야만 한다.”
韓國大全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
註雲峯說, 恐得本意.
註주에 나오는 雲峯胡氏운봉호씨의 說설이 아마도 本본 뜻을 얻은 듯하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賾隱以物象言, 深遠以事理言.
雜多잡다한 것을 뽑아내며 隱微은미한 것을 찾아냄은 物象물상으로 말했고, 깊은 것을 끌어내며 먼 것을 불러들임은 理致이치로 말했다.
○ 立謂始立此器之名, 成謂始成此器之形. 來註, 物天之所生, 備此以致用, 如乘馬服牛之類. 器乃人之所成, 立此以利天下, 如耒耜網罟之類.
세움은 처음으로 이 그릇의 이름을 세우는 것이다. 이룸은 처음으로 이 그릇의 形體형체를 이루는 것이다. 來氏래씨의 註주에 萬物만물은 하늘이 낸 것으로 이것을 갖추어 쓰임을 이루니 말을 타고 소를 길들이는 種類종류이다. 그릇은 사람이 이룬 것으로 이것을 세워 天下천하를 利이롭게 하니, 쟁기(耒가래 뢰)와 보습(耜사)과 그물 같은 種類종류이다.
【심대윤(沈大允) 『周易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亹亹, 猶勉勉也.
亹亹미미는 힘쓰고 힘씀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節盛言易道之在造化及人事者, 而以蓍龜功用之大終言之也. 法謂效法, 象謂成象, 萬物之生皆有法象, 而莫大乎天地. 萬化之運皆有變通, 而莫大乎四時. 天文煥爛皆有懸象著明, 而莫大乎日月. 處崇高之位者, 莫大乎富有四海貴爲天子者. 馭群生之物備以致用, 如服牛乘馬立成日用之器, 如作舟車作杵臼以爲天下利者, 莫大乎聖人. 雜而賾者討而理之, 幽而隱者尋而得之, 深不可度者曲而鉤之, 遠不可致者推而極之. 以定其吉凶成其勉勉之業者, 莫大乎蓍龜. 此節言莫大者凡六, 而以上五言形容蓍龜之大用而贊之也.
이 句節구절은 造化조화와 人事인사에 들어있는 易역의 道理도리를 盛大성대하게 말하고, 蓍草시초와 거북의 쓰임이 큼을 끝에서 말했다. 法법은 本본받는 것이고 象상은 象상을 이룸이다. 萬物만물이 나올 때 다 法象법상이 있지만 天地천지보다 큰 것은 없다. 萬만 가지 造化조화의 움직임에 다 變通변통이 있지만 四時사시보다 큰 것은 없다. 天文천문의 밝게 비춤이 다 象상을 매달아 밝음을 드러내지만 日月일월보다 큰 것은 없다. 崇高숭고한 자리에 處처함은 富裕부유함이 四海사해를 所有소유하고 貴귀함이 天子천자가 되는 者자보다 큰 것은 없다. 많은 살아있는 物件물건들을 부려 갖추어 쓰이도록 함이 소를 길들이고 말을 타서 날마다 쓸 그릇을 세워 이루고, 배와 수레와 절구와 절구공이를 만들어 天下천하를 利이롭게 함이 聖人성인보다 큰 것은 없다. 섞여 雜亂잡란한 것을 檢討검토해 다스리고 그윽히 숨어있는 것을 찾아서 얻으며, 깊어서 헤아릴 수 없는 것은 굽혀서 갈고리질하고 멀어서 갈 수 없는 곳은 미루어 至極지극히 하여 吉凶길흉을 定정하고 힘써야할 일을 定정하는 것이 蓍草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은 없다. 이 句節구절에서 莫大막대함을 말한 것이 여섯인데, 以上이상의 다섯은 蓍草시초와 거북의 큰 쓰임을 形容형용하여 賛歎찬탄한 것이다.
【이진상(李震相) 『역학관규(易學管窺)』】
小註, 成器之所由立.
小註소주에 器物기물을 이룸이 成立성립된 緣由연유.
法象以下, 三言天道也. 備物以下三言人事也. 成器特其中之一事, 而項氏表出之誤矣.
法象법상 以下이하에서는 세 番번 天道천도를 말했고, 備物빗물 以下이하에서는 세 番번 人事인사를 말했다. 그릇을 이룸은 그 가운데 한 가지 일인데, 項氏항씨가 잘못 表現표현하였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8절
p.378 【經文】 =====
是故天生神物聖人則之天地變化聖人效之天垂象見吉凶聖人象之河出圖洛出書聖人則之
是故, 天生神物, 聖人則之, 天地變化, 聖人效之, 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
是故로 天生神物이어늘 聖人이 則之하며 天地變化-어늘 聖人이 效之하며 天垂象하야 見吉凶이어늘 聖人이 象之하며 河出圖하며 洛出書-어늘 聖人이 則之하니
이런 까닭으로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내거늘 聖人성인이 本본받으며, 天地천지가 變化변화하거늘 聖人성인이 本본받으며, 하늘이 象상을 드리워 吉凶길흉을 나타내거늘 聖人성인이 그려내며, 河水하수가 「河圖하도」를 내며 洛水낙수가 「洛書낙서」를 내거늘 聖人성인이 本본받으니,
中國大全
p.378 【本義】 =====
此四者聖人作易之所由也河圖洛書詳見啓蒙
此四者, 聖人作易之所由也. 河圖洛書, 詳見啓蒙.
此四者는 聖人作易之所由也라 河圖, 洛書는 詳見啓蒙하니라.
이 네 가지는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은 由來유래이다.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易學啟蒙역학계몽』에 仔細자세히 보인다.
p.378 【小註】 =====
雙湖胡氏曰神物謂蓍則之而四十九之用以行變化謂陰陽效之而卦爻之動靜以備象謂日月星辰循度失度而吉凶見象之而卦爻有以斷吉凶圖書則金木水火土生成克制之數則之而卦畫方位以定皆作易之本也
雙湖胡氏曰, 神物, 謂蓍則之, 而四十九之用以行, 變化, 謂陰陽效之, 而卦爻之動靜以備. 象, 謂日月星辰, 循度失度, 而吉凶見, 象之而卦爻有以斷吉凶. 圖書則金木水火土, 生成克制之數, 則之而卦畫方位以定, 皆作易之本也.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은 蓍草시초로 本본받아 四十九個49개의 作用작용이 進行진행됨을 이르고, ‘變化변화’는 陰陽음양으로 本본받아 卦爻괘효의 動靜동정이 갖춰짐을 이른다. ‘象상’은 日月星辰일월성신이 度數도수를 따르거나 度數도수에 어긋나서 吉凶길흉이 드러남을 이르니, 이를 그려내어 卦爻괘효에 吉길과 凶흉을 決斷결단함이 있는 것이다.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金금․木목․水수․火화․土토가 낳아 이루고 이겨 制裁제재하는 數수로, 이를 本본받아 卦畫괘획의 方位방위가 定정해진 것이니, 모두 易역을 짓는 根本근본이다.”
○ 南軒張氏曰通於天者河也有龍馬負圖而出此聖人之德上配於天而天降其祥也中於地者洛也有神龜戴書而出聖人之德下及於地而地呈其瑞也聖人則之故易興於世然後象數推之以前民用卦爻推之以前民行而示天下後世也
○ 南軒張氏曰, 通於天者, 河也. 有龍馬負圖而出, 此聖人之德上配於天, 而天降其祥也. 中於地者, 洛也. 有神龜戴書而出, 聖人之德下及於地, 而地呈其瑞也. 聖人則之. 故易興於世然後, 象數推之, 以前民用, 卦爻推之, 以前民行, 而示天下後世也.
南軒張氏남헌장씨가 말하였다. “하늘에 通통하는 것은 河水하수이니, 龍馬용마가 「河圖하도」를 지고 나왔다. 이는 聖人성인의 德덕이 위로 하늘에 짝하여 하늘이 祥瑞상서로움을 내린 것이다. 땅에 中心중심이 되는 것은 洛水낙수이니, 神靈신령한 거북이 「洛書낙서」를 싣고 나왔다. 聖人성인의 德덕이 아래로 땅에 미쳐 땅이 祥瑞상서로움을 드러낸 것이다. 聖人성인이 이것들을 本본받았다. 그러므로 易역이 世上세상에 興盛흥성한 뒤에야 象數상수로 미루어 百姓백성의 씀을 이끌게 하고, 卦爻괘효로 미루어 百姓백성의 行행함을 이끌게 하여 天下천하와 後世후세에 보인 것이다.”
○ 雲峯胡氏曰四者言聖人作易之由而易之所以作由於卜筮故又以天生神物始焉
○ 雲峯胡氏曰, 四者, 言聖人作易之由, 而易之所以作, 由於卜筮. 故又以天生神物始焉.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네 가지는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은 緣由연유를 말한 것인데, 易역이 지어진 까닭은 占점치는 것에 緣由연유한다. 그러므로 다시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을 내었다는 것으로 始作시작하였다.”
韓國大全
【권근(權近) 『周易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河出圖洛出書, 聖人則之,
河水하수가 「河圖하도」를 내며 洛水낙수가 「洛書낙서」를 내거늘 聖人성인이 本본받으니,
此章之說, 愚已略陳於首篇矣. 河出圖者河中龍馬負圖, 出於伏羲觀象之時. 洛出書者洛中神龜負文, 出於大禹理水之日. 伏羲則之而畫卦, 大禹則之而敍疇羲. 易有畵而無書故曰圖, 易範有文而可讀故曰書. 天地之間萬物之生, 皆得是理與是數.
이 章장의 說설에 對대해서는 내가 이미 篇편머리에서 大略대략 陳述진술하였다. “河水하수에서 「河圖하도」가 나왔다”는 것은 河水하수에서 龍馬용마가 그림을 지고 나왔다는 것으로 伏羲복희가 象상을 觀察관찰할 當時당시에 나왔다. “洛水낙수에서 「洛書낙서」가 나왔다”는 것은 洛水낙수에서 神靈신령스런 거북이가 무늬를 지고 나왔다는 것으로 禹우가 治水事業치수사업을 하던 날에 나왔다. 伏羲복희가 이를 本본받아 卦괘를 그리고, 禹우가 이를 本본받아 九疇구주를 펼쳤다. 伏羲복희의 易역에는 그림은 있으나 글이 없으므로 ‘圖도’라 하고, 易역과 洪範홍범에는 무늬가 있어 읽을 수 있으므로 ‘書서’라고 한다. 天地천지 사이의 萬物만물이 나올 때는 모두 이 理致이치와 數수를 지니고 있다.
天生神物, 不出於山, 而生於水中. 水者天一之所生, 萬物之最無莫之, 未定而變之甚速者也. 聖人神化之極, 天地太和之氣, 充塞兩間, 而水先得之. 龜龍效靈以彰眞理, 龍者變化不測之物, 不變其形而得其常數之體. 龜者賦形有定之物, 故仍其質而得其變數之用. 常必有其變, 變必本乎常, 此造化之妙也.
하늘이 神物신물을 낼 때는 山산에서 나오지 않고 물에서 나온다. 물은 하늘 하나[天一천일]에 依의해 만들어진 것이고 萬物만물 가운데 가장 없을 수 없는 것으로, 固定고정되지 않아 매우 빠르게 變변하는 것이다. 聖人성인이 神妙신묘한 造化조화의 極致극치로 天地천지 太和태화의 氣運기운이 天地천지에 가득한데 물이 먼저 그것을 얻었다. 거북과 龍용이 靈明영명함을 本본받아 眞理진리를 드러내니, 龍용은 變化변화를 豫測예측할 수 없는 物件물건으로 形體형체를 變化변화시키지 않고 常數상수의 體체를 얻었다. 거북은 定정해진 形體형체를 賦與부여받은 物件물건이므로 바탕은 그대로이나 그 變數변수의 作用작용을 얻었다. 恒常항상되면 반드시 變변하고 變化변화는 반드시 恒常항상됨에 根本근본하니, 이것이 造化조화의 妙묘함이다.
龍圖之數一六爲水而居北. 二七爲火而居南. 三八爲木而居東. 四九爲金而居西. 五十爲土而居中. 五行之序左旋相生, 是得天地五十五之全數, 故爲體之靈. 龜文之數一居北而統西北之六亦爲水也. 三居東而連東北之八是亦木也. 九居南而管東南之四者金也. 七居西而接西南之二者火也. 五居中而爲土獨無成數之十. 然其外面一與九三與七二與八四與六. 縱橫相對, 皆爲十也.
龍용그림의 數수는 一1, 六6이 물이 되어 北북쪽에 자리하고 二2, 七7은 불이 되어 南남쪽에 자리하고, 三3, 八8은 나무가 되어 東동쪽에 자리하고, 四4, 九9는 쇠가 되어 西서쪽에 자리하며, 五5, 十10은 흙이 되어 가운데 자리한다. 五行오행의 順序순서는 왼쪽으로 돌면서 相生상생하고 天地천지 五十五55의 穩全온전한 數수를 얻었으므로 本體본체의 一定일정함이 된다. 거북 무늬의 數수는 一1이 北북쪽에 자리하여 西北서북쪽의 六6을 統率통솔하니 또한 물이 된다. 三3이 東동쪽에 자리하여 東北동북쪽의 八8과 連結연결되니 이것 亦是역시 나무이다. 九9는 南남쪽에 자리하여 東南동남쪽의 四4를 主管주관하니 쇠이다. 七7은 西서쪽에 자리하여 西南서남쪽의 二2와 接접하니 불이다. 五5는 中央중앙에 자리하여 흙이 되고 홀로 成數성수인 十10이 없다. 그러나 그 外部외부에 一1과 九9, 三3과 七7, 二2와 八8, 四4와 六6이 縱종과 橫횡으로 相對상대하니 모두 十10이 된다.
五行之序右轉相克, 其數極於九而不全, 故爲用之變. 然龜文陽居其正, 陰居其偏, 以陽統陰, 以陰屬陽. 老少四象各處其方, 是則體之常也. 龍圖陰居東北之陽方, 陽居西南之陰方. 二少進於前, 二老退於後, 是則用之變也.
五行오행의 順序순서는 오른쪽으로 돌면서 相克상극이고 그 數수는 九9에서 極극에 이르고 穩全온전하지 않으므로 用용의 變化변화가 된다. 그러나 거북이가 지고 나온 무늬에서 陽양은 그 바른 자리에 居거하고 陰음은 치우친 자리에 居거하여, 陽양으로 陰음을 統率통솔하고 陰음을 陽양에게 配屬배속된다. 老少노소의 四象사상[주 二271]이 各各각각 自己자기 자리에 居處거처하니, 이것이 體체의 常상이다. 龍용의 그림에서 陰음은 東北동북의 陽양자리에 자리하고 陽양은 西南서남의 陰음 자리에 居處거처하니 少陽소양과 少陰소음이 앞으로 나가고 老陽노양과 老陰노음이 뒤로 물러나 있으니 이것이 作用작용의 變化변화이다.
合而言之, 水木不變而火金變, 奇皆居正而偶有進退. 水木陽故不變, 火金陰故變, 皆貴陽而賤陰,皆以五而居中則一也. 則河圖而作易者, 一奇一偶兩儀之象也. 六七八九四象之象也. 其位分三八卦之象也. 分三而又兩之六爻之象也. 其初皆自一奇一偶而推之耳. 其位分三者上中下爲三, 左右中亦三也. 兩之者二七爲上, 五十爲, 一六爲下之類也.
合합하여 말하면 물과 나무는 變변하지 않으나 불과 쇠는 變변하고, 홀―數수는 바른 자리에 位置위치하지만 짝―數수는 나아가고 물러남이 있다. 물과 나무는 陽양이므로 變변하지 않고, 불과 쇠는 陰음이므로 變변하니, 모두 陽양을 높이고 陰음을 낮춘 것이며 모두 五5가 中央중앙에 있다는 點점은 同一동일하다. 「河圖하도」를 本본받아 易역을 지었다는 것은 홀―數수와 짝―數수는 兩儀양의의 象상이고, 六6‧七7‧八8‧九9는 四象사상의 象상이다. 그 자리를 셋으로 나눈 것은 八卦팔괘의 象상이다. 셋으로 나누고 다시 둘로 만든 것은 六爻육효의 象상이다. 그 처음에는 모두 하나의 홀―數수와 하나의 짝―數수에서 미룬 것일 뿐이다. 그 자리를 셋으로 나누었다는 것은 上상‧중中‧下하가 三삼이고, 左좌‧右중‧中우 亦是역시 三삼이라는 것이다. 둘로 한 것은 二2와 七7이 象상이 되고, 五5와 十10이 中중이 되고, 一1과 六6이 下하가 되는 것 等등을 가리킨다.
先儒謂虛其中者, 以兩儀四象而言, 不言其卦位爻象也. 蓋其初畵爻則虛其中爲大極, 其終作卦則并則之而爲六位也. 則洛書而作範, 則九疇之自初一五行至次九之福極是也. 先儒多因此章以爲圖書皆伏羲所則以作易者. 然此傳旣陳河圖, 自天一至地十之數, 而不陳洛書之數. 伏羲之時未有文字, 此章又明言洛出書, 則龜非出於畵卦之日明矣.
以前이전의 學者학자들이 그 가운데를 비웠다고 하는 것은 兩儀양의와 四象사상으로써 말한 것이지, 卦괘의 자리와 爻효의 象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다. 처음 爻효를 그릴 때는 가운데를 비워 太極태극으로 삼고, 마지막으로 卦괘를 그릴 때는 함께 本본받아 六位육위로 삼는다. 「洛書낙서」를 本본받아 「洪範홍범」을 지었다는 것은 洪範九疇홍범구주의 “첫째는 五行오행이다”에서 아홉째의 五福오복과 六極육극까지가 그것이다. 以前이전의 學者학자들은 이 章장 때문에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모두 伏羲복희가 本본받아 易역을 지은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 傳전에서 이미 「河圖하도」의 天一천1에서 地十지10까지의 數수를 펼쳐놓고 「洛書낙서」의 數수는 펼쳐놓지 않았다. 伏羲氏복희씨의 時節시절에는 文字문자가 없었고, 이 章장에서도 “洛水낙수에서 「洛書낙서」가 나왔다”고 分明분명히 말하고 있으므로, 거북은 伏羲복희가 卦괘를 그리던 當時당시에 나온 것이 아님이 分明분명하다.
故蔡氏嘗辨之曰, 天地之理一而已, 雖時有古今先後之不同, 而其理不容於有二也. 故伏羲但據河圖以作易, 則不必預見洛書而已逆與之合矣. 大禹但據洛書以作範, 則亦不必追考河圖而已, 暗與之符矣. 誠以此理之外無後他理故也.
그 때문에 蔡氏채씨가 일찍이 그것을 辯論변론하여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理致이치는 하나일 뿐이니 時代시대에는 古今고금이 있고 先後선후의 다름이 있지만 그 理致이치는 둘일 수 없다. 그러므로 伏羲氏복희씨는 河圖하도에 根據근거해 易역을 지어서 미리 「洛書낙서」를 豫見예견할 必要필요가 없었지만 그것과 附合부합한다. 禹우임금이 但只단지 「洛書낙서」에 根據근거해 「洪範홍범」을 지어서 또한 河圖하도를 미루어 考察고찰할 必要필요 없었지만 暗黙的암묵적으로 附合부합한다. 眞實진실로 이 理致이치밖에 다시 다른 理致이치가 없기 때문이다.
此說, 於圖書之出雖有先後, 易範之數誠相表裏者, 辨之殆無餘縕.
이 說설은 「河圖하도」와 「洛書낙서」가 나온 것에 先後선후의 差異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周易주역』과 「洪範홍범」의 數수가 眞實진실로 서로 表裏표리가 되는 것에 對대해서 거의 남김없이 辯論변론하였다.
後世熊氏又謂圖書皆所則以作易也. 故以先後天八卦方位考之, 則洛書一居北六居西北, 老陰之位也, 故坤艮居之. 九居南四居東南, 老陽之位也, 故乾兌居之. 三居東八居東北, 少陰之位也, 故离震居之. 七居西二居西南, 少陽之位也, 故坎巽居之. 五居中虛之爲大極. 此非先天之四象乎. 河圖天一地六爲水居北, 故坎亦居北. 地二天七爲火居南, 故离亦居南. 天三地八爲木居東, 故震亦居東. 地四天九爲金居西, 故兌亦居西. 天五地十爲土房中分旺四季, 故乾坤艮巽亦居四維. 此非後天之四象乎.
後世후세의 熊氏웅씨[주 二272]는 또 말했다.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모두 本본받아서 易역을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先後天선후천 八卦8괘 方位방위로 考察고찰하면 「洛書낙서」에서 一1은 北북쪽에 居處거처하고 六6은 西北서북쪽에 居處거처하여 老陰노음의 자리이므로 坤곤과 艮간이 居處거처한다. 九9는 南남쪽에 居處거처하고 四4는 東南동남쪽에 居處거처하여 老陽노양의 자리이므로 乾건과 兌태가 居處거처한다. 三3은 東동쪽에 居處거처하고 八8은 東北동북쪽에 居處거처하여 少陰소음의 자리이므로 离이와 震진이 居處거처한다. 七7은 西서쪽에 居處거처하고 二2는 西南서남쪽에 居處거처하여 少陽소양의 자리이므로 坎감과 巽손이 자리한다. 五5는 가운데 빈 곳에 居處거처하여 太極태극이 된다. 이것이 先天선천의 四象사상이 아닌가? 河圖하도에서 天一천1과 地六지6이 물이 되어 北북쪽에 居處거처하므로 坎감 또한 北북쪽에 居處거처한다. 地二지2와 天七천7이 불이 되어 南남쪽에 居處거처하므로 이 또한 南남쪽에 居處거처한다. 天三천3과 地八지8이 나무가 되어 東동쪽에 居處거처하므로 震진 또한 東동쪽에 居處거처한다. 地四지4와 天九천9가 쇠가 되어 西서쪽에 居處거처하므로 兌태 또한 西서쪽에 居處거처한다. 天五천5와 地十지6이 흙이 되어 中央중앙에 居處거처하여 나뉘어 旺盛왕성한 四季節사계절에 分居분거하므로 乾건‧坤곤‧艮간‧巽손 또한 四維사유에 居處거처한다. 이것이 後天후천의 四象사상이 아닌가?
* 四維사유: 一1. 四隅사우. 二2. 國家국가를 維持유지하는데 必要필요한 禮예(禮節예절), 義의(法度법도) 廉염(廉恥염치), 恥치(부끄러움)의 네 가지. |
愚按, 熊氏以先後天八卦, 配合圖書之數, 最爲明白. 然亦其理無二而已, 非書亦出於伏羲之時也. 蔡氏雖已明辨, 而熊氏又謂此說者, 蔡氏但據其理而言, 不得明證. 故熊氏觀其象數之合與夫孔子并言圖書而疑皆出於一時也. 苟以孔子并言而謂圖書皆出一時, 則今熊氏以先後天合言, 後世觀者因謂後天亦出於伏羲可乎. 此說後出而象數配合甚詳. 學者必將信其同出一時, 故敢引大傳陳河圖之數, 而不陳洛書之數. 伏羲之時未有文字, 而此言出書以爲證而辨之. 然其卦位與圖書相合者, 則熊氏之說不可廢, 而亦學者所當知者也.
내가 살펴보았다. 熊氏웅씨가 先後天선후천 八卦8괘를 「河圖하도」와 「洛書낙서」의 數수에 配合배합한 것이 가장 明白명백하다. 그러나 또한 그 理致이치는 둘이 아니라는 것일 뿐이지 「洛書낙서」 또한 伏羲時代복희시대에 나왔다는 것은 아니다. 蔡氏채씨가 비록 分明분명하게 辯論변론했음에도 熊氏웅씨가 다시 이러한 說설을 말한 것은, 蔡氏채씨는 다만 그 理致이치에 根據근거해서 말하고 分明분명하게 證明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熊氏웅씨는 그 象數상수가 孔子공자가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함께 言及언급한 것과 合致합치하므로 모두가 一時일시에 나온 것이라고 疑心의심하였다. 正정말로 孔子공자가 아울러 言及언급한 것을 根據근거로 「河圖하도」와 「洛書낙서」가 모두 一時일시에 나온 것이라고 한다면, 이제 熊氏웅씨가 先天선천과 後天후천을 合합하여 말하는 것을 가지고 後世후세의 觀察者관찰자가 後天후천 또한 伏羲복희에게서 나왔다고 한다면 옳겠는가? 이 說설이 뒤에 나왔지만 象數상수의 配合배합이 매우 詳細상세하여 學者학자들이 반드시 同時동시에 나왔다고 믿을 것이므로 敢감히 「繫辭傳계사전」에서 「河圖하도」의 數수만을 펼치고 「洛書낙서」의 數수를 펼치지 않은 것을 引用인용하였다. 伏羲氏복희씨의 때에는 文字문자가 없었는데 「繫辭傳계사전」에서 “글이 나왔다[出書출서]”고 말한 것을 가지고 證據증거로 삼아 辯論변론하였다. 그러나 卦괘의 자리와 「河圖하도」와 「洛書낙서」가 서로 合致합치되는 것에 關관해서는 熊氏웅씨의 說설을 버릴 수가 없으니, 이 또한 學者학자들이 알아야 할 것이다.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太極者從八卦推至其極也. 八生於四, 四生於兩, 兩生於一, 更無所推, 是謂太極. 太極兩儀如所謂一陰一陽之謂道. 陰陽屬兩, 道屬太極, 之字屬生字也. 此當與揲蓍帖看, 大衍置一而用四十九一者太極也. 分二象兩兩者兩儀也. 揲四歸奇至十二營成一畫, 二老二少, 於是咸具, 是謂兩儀生四象. 如是者三, 至三十六營而成八卦, 是謂四象生八卦.
太極태극은 八卦팔괘를 따라 그 窮極궁극까지 미룬 것이다. 八卦팔괘는 四4에서 生생하고 四4는 二2에서 生생하고 二2는 一1에서 生생하니, 다시 미룰 곳이 없어 이를 太極태극이라 한다. 太極태극과 兩儀양의는 이른바 한―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番번은 陽양이 됨을 道도라 한다는 것이다. 陰陽음양은 兩儀양의에 屬속하고 道도는 太極태극에 屬속한다. ‘之지’字자는 ‘生생’字자에 屬속한다. 이것을 揲蓍설시와 맞추어보면 大衍대연에서 一1을 놔두고 四十九49를 쓰는 것에서 一1이 太極태극이다. 둘로 나누어 兩양을 象徵상징함은 兩儀양의이다. 넷씩 세고 나머지를 돌리고 十二營12영에 이르러 一畫1획을 이루어 老陽노양‧老陰노음과 少陽소양‧少陰소음이 이에 갖추어지니, 이를 일러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生생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것이 세 番번이면 三十六營36영에 이르러 八卦팔괘를 이루니, 이를 일러 四象사상이 八卦팔괘를 生생한다고 한다.
然其生象也. 只得其一象非一時竝列四象也. 求其或奇或偶, 有此四者而已. 其生卦也, 只得其一卦, 非一時竝列八卦也. 求其或乾或坤有此八者而已.
그렇지만 그 象상을 生생함에는 다만 한 象상만 얻을 뿐 同時동시에 四象사상을 함께 벌리는 것이 아니다. 求구함에 或혹 奇數기수이거나 或혹 偶數우수이어서 이 四4가지일 뿐이다. 그 卦괘를 生생함에는 다만 그 一卦1괘를 얻을 뿐 同時동시에 八卦팔괘를 함께 벌리는 것이 아니다. 求구함에 或혹 乾건이나 坤곤이어서 이 여덟 가지일 뿐이다.
若曰卦之初畫帖兩儀, 至中畫始有老少四象之名, 則易何以有初九初六之義也. 至中畫旣定老少之名, 則乾兌坤艮之上畫固加於二老之上, 而坎离震巽加於二少之上者, 均有九六之義何也.
萬若만약 卦괘의 처음 畫획을 兩儀양의에 맞추면 가운데 畫획에서부터 老少노소, 四象사상의 名稱명칭이 있게 되니, 易역에 어찌 初九초구나 初六초육의 뜻이 있겠는가? 가운데 畫획에 이르러 이미 老小노소의 名稱명칭이 定정해지면 乾兌坤艮건태곤간의 上畫상획은 正정말로 老陽노양과 老陰노음의 위에 더한 것이고, 坎离震巽감리진손은 少陽소양과 少陰소음의 위에 더하여 均等균등하게 九9와 六6의 뜻이 있음은 어째서인가?
若果初畫當兩儀, 則上五盡皆兩儀中事, 每以初爲微弱而愈上愈重何也.
萬若만약 正정말 初畫초획이 兩儀양의에 該當해당한다면 위의 다섯 畫획은 다 兩儀양의 가운데의 일로 매-番번 初畫초획이 微弱미약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무거운 것은 어째서인가?
蓋太極生兩儀, 兩外無物, 此不與於八卦之畫也. 兩儀生四象, 四外無物, 四象生八卦, 八外無物. 不三畫不成八, 其實初畫各得四象之一, 中畫亦得四象之一, 上畫亦得四象之一也. 其始畫卦時, 用少而不用老, 卦軆所以立. 及其占筮, 竝用老少, 卦用所以行也.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生생할 때 兩儀양의의 밖에는 아무것도 없으니, 이것은 八卦팔괘와 相關상관이 없다.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生생할 때 四象사상 밖에는 아무것도 없다. 三畫삼획을 이루지 않으면 八卦팔괘를 이루지 않지만, 實際실제로는 初畫초획이 各各각각 四象사상 가운데 하나를 얻고 中畫중획도 四象사상 가운데 하나를 얻고 上畫상획도 四象사상 가운데 하나를 얻는다. 처음 畫획을 그을 때 少陽소양과 少陰소음을 쓰고 老陽노양과 老陰노음을 쓰지 않아 卦괘의 몸-體체가 正立정립된다. 占筮점서에 미쳐서 老小노소를 함께 쓰니, 이 때문에 卦괘의 쓰임이 行행해진다.
且其辭止於八卦, 則邵子之加一倍, 或者未必信矣. 詳在下.
「繫辭傳계사전」의 말이 八卦팔괘에서 그쳐서 邵康節소강절의 加一倍法가일배법을 어떤 이는 믿지 못한다. 仔細자세한 것은 아래에 있다.
天地者乾坤之所取象, 則法象宜莫大於此. 四時者, 一闔一闢一往一來, 則變通宜莫大於此. 日月者, 懸著於天地之間, 日以照晝月以照夜, 非此天地幾於晦息, 則著明宜莫大於此. 富貴之極有天下而爲天子, 萬物得所兆民仰瞻, 則崇高宜莫大於此. 聖人居其位, 物無不備, 用無不致, 而器之可成者, 無不立成, 如耒耟舟楫之類利天下, 宜莫大於此.
天地천지는 乾坤건곤이 取취한 象상으로 象상을 本본받음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四時사시는 한―番번 닫고 한―番번 열며 한―番번 가고 한-番번 오는 것으로 變通변통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日月일월은 天地천지의 사이에 매달려 해는 낮을 비추고 달은 밤을 비추어 밝음을 드러냄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天下천하에서 富貴부귀를 極度극도로 所有소유한 이가 天子천자인데, 萬物만물을 얻고 많은 百姓백성이 우러르니 崇高숭고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聖人성인이 그 자리에 居거하여 物件물건을 갖추지 않음이 없고 쓰임을 이루지 않음이 없어 그릇을 이루어 세우고 이루지 않음이 없으니, 보습과 쟁기와 배와 노 같은 種類종류가 天下천하를 利이롭게 함에 마땅하게 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然事則有吉凶, 業則亹亹, 亹亹者長久不倦之義, 此承大業說. 大則無外, 亹亹則不止於一時也. 蓍龜者, 探索賾隐, 鉤致深遠, 能先斷其吉凶, 助成長久之大業, 則宜莫大於此, 睦㮮周易稽疑云, 漢紀引此云立象成器, 當考.
그렇지만 事사에는 吉凶길흉이 있고 業업에는 부지런히 애쓰는 것이 있다. 부지런히 애씀은 오래도록 하고 게으르지 않는 뜻이니, 이것은 大業대업을 이어 말한 것이다. 크면 밖이 없고 부지런히 애씀은 한 때에 그치지 않는다. 거북과 蓍草시초는 雜多잡다한 것을 뽑아내며 隱微은미한 것을 찾아내며 깊은 것을 끌어내며 먼 것을 불러들여 能능히 天下천하의 吉凶길흉을 먼저 判斷판단하여 長久장구한 大業대업을 도와 이루니, 마땅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明명나라 朱睦㮮주목계의 『周易稽疑주역계의』에 “『漢書한서』에서 이 글을 引用인용하여 ‘象상을 세워 器物기물을 이룸’이라고 하였다”고 했으니, 考察고찰해봐야 한다.
天生神物承蓍龜說. 蓍龜之爲物本神靈, 故聖人因之爲揲灼之法. 然苟非聖人效天地變化而畫成八卦, 則蓍龜雖神, 亦無所施也. 承蓍龜故先言此. 天有雷風火之象, 地有水山澤之象. 然地統於天, 凡地之象莫非天之爲也. 故曰天垂也. 八象交錯順逆殊軌, 吉凶所以見也. 聖人象此而繫之, 辭有輕重之別, 今易中吉凶悔吝之類是也.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냄은 蓍草시초와 거북을 이어서 말하였다. 蓍草시초와 거북이라는 物件물건이 本來본래 神靈신령하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그것을 通통해 揲蓍설시하고 굽는 法법을 만들었다. 그러나 聖人성인이 天地천지의 變化변화를 本본받아 八卦팔괘를 긋지 않았다면, 蓍草시초와 거북이 비록 神靈신령해도 베풀 곳이 없다. 蓍草시초와 거북을 이었기 때문에 이것을 먼저 말했다. 하늘에는 우레와 바람과 불의 象상이 있고 땅에는 물과 山산과 못의 象상이 있다. 그러나 땅은 하늘에 거느려지니 땅의 象상은 하늘이 만든 것이 아님이 없다. 그러므로 하늘이 드리웠다고 하였다. 八卦팔괘가 交錯교착하여 順逆순역에 軌궤를 달리하니 吉凶길흉이 나타난다. 聖人성인이 이것을 本본받아 매달아 말에는 가볍고 무거운 區別구별이 있으니, 只今지금의 『周易주역』 가운데 吉길‧凶흉‧悔회‧吝린의 種類종류가 이것이다.
河出圖洛出書㐲羲夏后之瑞也. 史稱受圖畫卦恐未有㩀. 伏羲之畫卦, 聖人只云,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觀鳥獸之文與地之宜, 近取諸身遠取諸物, 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河水하수에서 그림이 나오고 洛水낙수에서 글이 나온 것은 伏羲복희와 夏后하후의 祥瑞상서로움이다. 歷史역사의 記錄기록에서 그림을 받아 卦괘를 그었다는 것은 根據근거가 없다. 伏羲氏복희씨가 卦괘를 그은 것에 對대해 聖人성인은 다만 “우러러 하늘에서 象상을 살피고 구부려 땅에서 法법을 살피며,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함을 살피며, 가까이 自身자신에게 取취하고 멀리 事物사물에게 取취하여, 이에 비로소 八卦팔괘를 만들어 이로써 神妙신묘하고 밝은 德덕에 通통하며, 萬物만물의 實情실정을 分類분류하였다”고 하였다.
其所取極廣, 何曾云河圖耶. 㐲羲之剏畫也, 只是如此. 於是河圖應時而出, 若合符節, 所謂先天而天不違也. 夏后得洛書而作範, 所謂後天而奉天時也.
그 取취한 것이 至極지극히 넓은데 어찌 일찍이 「河圖하도」를 云云운운하겠는가? 伏羲氏복희씨가 卦괘를 그은 것은 다만 이와 같을 뿐이다. 이에 「河圖하도」가 때에 相應상응하여 나옴이 符節부절처럼 合합하니, 이른바 ‘하늘보다 먼저 해도 하늘이 어기지 않음’이다. 夏后氏하후씨가 洛書낙서를 얻어 洪範홍범을 지음은 이른바 ‘하늘보다 뒤에 해서 하늘의 때를 받듦’이다.
孔子又表出天一地二一節, 此又河圖之本源也. 排列爲圖則一六二七三八四九五十之位次是也. 先天之卦雖先於圖, 沕合不差. 後天之圖不知剏於何世, 而文王用之. 或者神農爲之耶. 詳在篇首.
孔子공자는 또 天一地二천1지2 한 節절을 表出표출했으니, 이것은 「河圖하도」의 本源본원이다. 排列배열하여 그림으로 만들면 一1‧六6과 二2‧七7과 三3‧八8과 四4‧九9와 5‧十10의 자리 次例차례가 이것이다. 先天선천의 卦괘가 그림보다 앞서도 忽然홀연(沕아득할 물)히 合합해서 어긋나지 않는다. 後天후천의 그림은 어느 때에 나온 지 알 수 없지만 文王문왕이 使用사용하였다. 어떤 이는 神農氏신농씨가 만들었다고 하는데 仔細자세한 것은 篇편머리에 있다.
洛書則夏后用之, 先天後天及洛書三者, 皆總括於河圖而其義均也. 河圖之數, 有以奇偶者, 有以配合者, 有以生成者. 此皆爲先後天及洛書三者之所以然. 外此更無其物也. 其奇偶爲先天圖者何也. 一三七九爲奇, 二四六八爲偶. 驗之河圖奇數, 則一三居內七九居外, 其縫在西北. 偶數則二四居內六八居外, 其縫在東南.
「洛書낙서」는 夏后氏하후씨가 使用사용했는데, 先天선천과 後天후천과 「洛書낙서」의 세 가지는 모두 「河圖하도」를 總括총괄하여 그 뜻이 고르다. 「河圖하도」의 數수는 奇偶기우로써 한 것이 있고, 配合배합으로 한 것이 있고, 生成생성으로 한 것이 있다. 이것은 先天선천과 後天후천과 「洛書낙서」 세 가지를 써서 그러한 것이다. 이 밖에는 그런 物件물건이 없다. 奇數기수와 偶數우수가 「先天圖선천도」가 됨은 어째서인가? 一1‧三3‧(五5)‧七7‧九9는 奇數기수이고 二2‧四4‧六6‧八8은 偶數우수이다. 「河圖하도」의 奇數기수로 證驗증험해보면 一1‧三3은 안에 居거하고 七7‧九9는 밖에 居거하며 그 縫合봉합은 西北서북에 있다. 偶數우수는 二2‧四4는 안에 居거하고 六6‧八8은 밖에 居거하며 그 縫合봉합은 東南동남에 있다.
陰陽表裏, 交結一圈, 是謂太極. 陽奇陰隅, 判而爲二, 則縫在西北者, 退居于東與南. 故一居東北隅, 三居東七居東南隅, 九居南也. 縫在東南者, 退居于西與北, 故二居西南隅, 四居西六居西北隅, 八居北也. 是謂兩儀. 九與一合成十爲老陽而居始終. 七與三合成十爲少陽而居其中. 八與二合成十爲老陰而居始終. 六與四合成十爲少陰而居其中. 陰陽不交造化不成, 故三與四相易, 七與六相易, 則老陽包少陰, 老陰包少陽, 是謂四象.
陰陽음양의 表裏표리는 한 部分부분에서 만나는데, 이를 太極태극이라 한다. 陽양은 奇數기수이고 陰음은 偶數우수인데 갈라서 둘로 만들면 縫合봉합은 西北서북에 있는 것은 물러나 東동과 南남에 居거한다. 그러므로 一1은 東北동북의 모퉁이에 居거하고 三3은 東동에 居거하고 七7은 東南동남의 모퉁이에 居거하고 九9는 南남에 居거한다. 縫合봉합이 東南동남에 있는 것은 물러나 西서와 北북에 居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二2는 西南서남의 모퉁이에 居거하고 四4는 西서에 居거하고 六6은 西北서북의 모퉁이에 居거하고 八8은 北북에 居거한다. 이것을 兩儀양의라고 한다.
九9와 一1은 合합해 十10을 이루어 老陽노양이 되어 始시‧終종에 居거한다. 七7과 三3은 合합해 十10을 이루어 少陽소양이 되어 中央중앙에 居거한다. 八8과 二2는 合합해 十10을 이루어 老陰노음이 되어 始시‧終종에 居거한다. 六6과 四4는 合합해 十10을 이루어 少陰소음이 되어 中央중앙에 居거한다. 陰陽음양이 사귀지 않으면 造化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三3과 四4가 서로 바뀌고 七7과 六6이 서로 바뀌면 老陽노양이 少陰소음을 包容포용하고 老陰노음이 少陽소양을 包容포용하니 이것을 四象사상이라 한다.
乾一索得震, 故一爲震, 再索得坎, 故三爲坎, 三索得艮, 故七爲艮, 九者奇數之極, 故九爲乾. 坤一索得巽, 故二爲巽, 再索得离, 故四爲离, 三索得兌, 故六爲兌, 八者偶數之極, 故八爲坤. 是爲八卦. 九八之爲乾坤, 其奇偶次第宜然, 非二老之實數也.
乾건은 한―番번 求구해 震진을 얻으므로 一1이 震진이 되고, 두 番번 求구해 坎감을 얻으므로 三3이 坎감이 되고, 세 番번 求구해 艮간을 얻으므로 七7이 艮간이 되고, 九9는 奇數기수의 끝이 되기 때문에 九9가 乾건이 된다. 坤곤은 한―番번 求구해 巽손을 얻으므로 二2가 巽손이 되고, 두 番번 求구해 离리를 얻으므로 四4가 离리가 되고, 세 番번 求구해 兌태를 얻으므로 六6이 兌태가 되고, 八8은 偶數우수의 끝이 되기 때문에 八8가 坤곤이 된다. 이것이 八卦팔괘이다. 九9와 八8이 乾坤건곤이 되고 奇偶기우의 順序순서가 마땅하니 老陽노양 老陰노음의 實際실제의 數수가 아닌가!
其配合爲後天圖者, 何也. 一居北不動而六次於東北隅. 二居南不動而七次於西南隅. 三居東不動而八次於東南隅. 四居西不動而九次於西北隅. 一八爲始終而六三居中. 二九爲始終而七四居中. 陰陽不交造化不成, 故六與七居隅者相易, 而三與四居方者不動. 天一生水故一爲坎, 地二生火故二爲离, 天三生木故三爲震, 地四生金故四爲兌.
配合배합이 「後天圖후천도」가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一1이 北북에 居거해 움직이지 않고 六6이 東北동북의 모퉁이에 머문다. 二2가 南남에 居거해 움직이지 않고 七7이 西南서남의 모퉁이에 머문다. 三3이 東동에 居거해 움직이지 않고 八8이 東南동남의 모퉁이에 머문다. 四4가 西서에 居거해 움직이지 않고 九9가 西北서북의 모퉁이에 머문다. 一1과 八8이 始시‧終종이 되고 六6과 三3이 中央중앙에 居거한다. 二2와 九9가 始시‧終종이 되고 七7과 四4가 中央중앙에 居거한다. 陰陽음양이 사귀지 않으면 造化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六6과 七7이 모퉁이에 居거한 것은 서로 바뀌고, 三3과 四4가 자리에 居거한 것은 움직이지 않는다. 天一천1이 水수를 生생하기 때문에 一1이 坎감이 되고, 地二지2가 火화를 生생하기 때문에 二2가 离리가 되고, 天三천3이 木목을 生생하기 때문에 三3이 震진이 되고, 地四지4가 金금을 生생하기 때문에 四4가 兌태가 된다.
艮少陽故七爲艮, 巽少陰故八爲巽, 乾爲老陽故九爲乾, 坤爲老陰故六爲坤. 坤彖之得朋喪朋, 又是相易之證也. 先天之奇偶者主多少次第, 故以八當坤. 後天之配合者主陰陽方位, 故六爲坤. 以第以位, 九爲乾則均, 今爻辭用後天, 故以九六爲言. 二者同出於河圖, 爲八卦之所以然, 而與洛書同例旣變之後, 須別置一圖, 河圖及卦序源委脉絡方可以指的推明. 余嘗試爲先天之數立說云, 九冠八履右三左四足當一七肩分六二, 又爲後天之數立說云, 一本二首三左四右雙肩八六兩足七九, 極知僭妄. 然邵子朱子亦各有排定次序, 但不立說. 不然圖與卦, 終無著落之地矣.
艮간은 少陽소양이기 때문에 七7이 艮간이 되고, 巽손은 少陰소음이기 때문에 八8이 巽손이 되고, 乾건은 老陽노양이기 때문에 九9가 乾건이 되고, 坤곤은 老陰노음이기 때문에 六6이 坤곤이 된다. 坤곤의 彖辭단사에 ‘벗을 얻고 잃음’은 또한 서로 바꾸는 證據증거이다. 先天선천의 奇偶기우는 多少다소의 次例차례를 主주로 하기 때문에 八8이 坤곤에 該當해당한다. 後天후천의 配合배합은 陰陽음양의 方位방위를 主주로 하기 때문에 六6이 坤곤이 된다. 次例차례로 하고 자리로 함에 九9가 乾건이 됨은 均等균등한데 只今지금 爻辭효사에서 後天후천을 쓰기 때문에 九9와 六6으로 말한 것이다. 둘은 모두 「河圖하도」에서 나와 八卦팔괘가 그렇게 된 까닭이 되었는데, 「洛書낙서」와 함께 예가 되어 이미 變변한 뒤에 반드시 別途별도로 한 그림에 놓아야만 「河圖하도」와 卦괘의 次例차례의 本末본말과 脉絡맥락을 가리켜 밝힐 수 있다. 내가 일찍이 試驗시험삼아 先天선천의 數수를 만들어 說설을 세우기를, “九9가 冠관이고 八8이 발이고 오른 쪽은 三3이고 왼쪽은 四4이고 발은 一1과 七7에 該當해당하고 어깨는 六6과 二2로 나눈다”고 하였고, 또 後天數후천수를 만들어 說설을 세우길, “一1이 根本근본이고 二2가 머리이고 三3은 왼쪽 四4는 오른쪽 兩양쪽 어깨는 八8과 六6이고 兩양 발은 七7과 九9이다”라고 하였는데 僭濫참람하고 妄靈망령됨을 至極지극히 안다. 그렇지만 邵康節소강절과 朱子주자도 各其각기 排定배정한 次例차례와 順序순서가 있지만 說설을 세우지 않았을 뿐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림과 卦괘는 끝내 붙일 곳이 없다.
其生成爲洛書者何也. 亦與上二圖同例. 一二三四爲生, 六七八九爲成, 北與東爲陽方生數居之, 南與西爲陰方成數居之, 五居中爲九數. 九數者以一爲三, 以三爲九, 故一二三自北左旋至於東, 四五六自東南隅貫過於中至於西北隅, 七八九自西右旋至於南, 其勢三摺折轉自下而上也. 陰陽不交, 則造化不成, 是故東北隅之二與西南隅之八相易. 二者一三之中也, 八者七九之中也. 何以明其然也. 洛書之演而洪範作, 其二五事之肅乂哲謀聖, 與八庶徴之肅乂哲謀聖相符合. 五事屬人, 庶徵屬天, 天人感通之理的然可知, 而惟生成中, 二八兩數, 分明交換. 箕子豈欺我哉. 余以是知有陰陽交易之理, 而推之先後天兩圖, 若執左契而索物也. 此豈偶然也哉.
生成생성이 「洛書낙서」가 됨은 어째서인가? 亦是역시 위 두 그림과 같은 例예이다. 一1‧二2‧三3‧四4는 生數생수이고 六6‧七7‧八8‧九9는 成數성수이다. 北북과 東동은 陽方양방으로 生數생수가 居거하고 南남과 西서는 陰方음방으로 成數성수가 居거하며 五5가 中央중앙에 居거해 九數9수가 된다. 九數9수는 一1로 三3을 삼고 三3으로 九9를 삼기 때문에 一1‧二2‧三3은 北북에서 左旋좌선하여 東동에 이르고 四4‧五5‧六6은 東南동남의 모퉁이에서 가운데를 貫通관통해 지나가 西北서북의 모퉁이에 이른다. 七7‧八8‧九9는 西서에서부터 右旋우선하여 南남에 이른다. 셋씩 포개어 꺽어 돌아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陰陽음양이 사귀지 않으면 造化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東北동북의 二2와 西南서남의 八8이 서로 바뀐다. 二2는 一1과 三3의 가운데이고 八8은 七7과 九9의 가운데이다. 어찌 그러함을 밝힐 수 있는가? 「洛書낙서」를 펼쳐 「洪範홍범」을 지었는데, 그 두 番번째 五事오사의 肅乂哲謀聖숙예철모성과 여덟 番번째 庶徴서징의 肅乂哲謀聖숙예철모성이 서로 附合부합한다. 五事오사는 사람에 屬속하고 庶徴서징은 하늘에 屬속하는데, 하늘과 사람이 感通감통하는 理致이치가 밝음을 알 수 있고, 오직 生數생수‧成數성수 가운데 二2와 八8의 두 數수만이 分明분명히 交換교환한다. 箕子기자가 어찌 나를 속이겠는가? 내가 이로써 陰陽음양이 交易교역하는 道理도리를 알아 先後天선후천 두 그림에 미루어보니, 마치 符節부절의 한 쪽을 쥐고 物件물건을 찾는 것과 같은데, 어찌 偶然우연이겠는가?
* 五事오사: 宇宙우주의 모든 存在존재를 다섯 가지로 나눈 것. 色法색법, 心法심법, 心所法심소법, 不相應法불상응법, 無爲法무위법을 이른다. |
五行⚫五事 원방위도 강설 ( 출처 : 「書經」周書 홍범편)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MFS_To_Lch0 |
示之以象, 惟恐見之不明, 告之以辭, 惟恐聽之不聰. 斷之以吉凶, 於是無遇不明, 可以知所從矣.
象상으로 보여주어도 보아도 밝지 못할까 두렵고, 말로 일러주어도 밝게 듣지 못할까 두렵다. 吉凶길흉으로 判斷판단하여 이에 만나는 것마다 밝지 않음이 없으니,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알겠다.
下章引大有者, 卽繫辭定吉凶之證案.
아래 章장에서 大有卦대유괘(䷍)를 引用인용한 것은 말을 매어 吉凶길흉을 判斷판단함을 證明증명한 것이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正義, 春秋緯云, 河以通乾出天苞, 洛以流坤吐地符. 河龍圖發, 洛龜書獻, 河圖有九篇, 洛書有六篇.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말하였다. “「春秋緯춘추위」에서 “河水하수는 乾건에 通통해 天苞천포를 내고 洛水낙수는 坤곤으로 흘러 地符지부를 내었다. 河水하수의 龍용은 그림을 내고 洛水낙수의 거북은 글을 바쳤다. 河圖하도는 九篇9편이 있고 洛書낙서는 六篇6편이 있다”고 하였다.
○ 程子因見賣兎者曰, 聖人見河圖洛書而畵八卦. 然何必圖書, 只看此兎亦可作八卦.
程子정자가 토끼를 파는 것을 보고 말하였다. “聖人성인이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보고 八卦팔괘를 그었다. 그렇지만 꼭 「河圖하도」와 「洛書낙서」이겠는가? 다만 저 토끼만 보더라도 八卦팔괘를 그을 수 있다.”
○ 漢上朱氏曰, 蓍一根百莖, 龜具八卦五行天地之數, 神物也, 故聖人則之. 天地變化, 四時行焉, 百物生焉, 故聖人效之. 日月五星天象也, 天不言, 示人以象, 吉凶見矣, 故聖人象之. 河圖九宮〈案, 漢上從劉牧, 易置圖書之說, 故謂河圖九宮.〉 洛書五行, 聖人則之效之者, 效之以立爻之動, 故曰爻也者效天下之動者也. 象之者象也.
漢上朱氏한상주씨가 말하였다. “蓍草시초는 한 뿌리에 百백 줄기이고 거북은 八卦팔괘와 五行오행과 天地천지의 數수를 갖추고 있으니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이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本본받았다. 天地천지가 變化변화함에 四時사시가 行행해지고 百物백물이 生생하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本본받았다. 日月일월과 五星오성은 天象천상인데 하늘은 말이 없어 象상으로 보여주어 吉凶길흉이 나타나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象徵상징했다. 「河圖하도」의 九宮구궁과 〈내가 살펴보았다. 漢上朱氏한상주씨는 劉牧유목의 說설을 따라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바꾸어 說明설명했기 때문에 「河圖하도」가 九宮구궁이라고 하였다.〉 「洛書낙서」의 五行오행을 聖人성인이 本본받았으니, 本본받아서 爻효의 움직임을 正立정립했기 때문에 爻효는 天下천하의 움직임을 本본받은 것이라고 하였다. 象徵상징한 것이 象상이다.”
於蓍龜圖書則之者, 大衍之數八卦五行, 作易者則之, 故乾坤坎離震巽艮兌三畫之卦爻, 皆合九六七八數皆十五. 水六火七木八金九五行之數具焉.
蓍草시초와 거북, 「河圖하도」와 「洛書낙서」에서 本본받은 것은 大衍之數대연지수와 八卦팔괘와 五行오행인데 易역은 지은 者자가 本본받았다. 그러므로 乾坤坎離震巽艮兌건곤감리진손간태 三畫삼획의 卦爻괘효가 모두 九9,六6과 七7,八8의 合數합수인 十五15이다. 水수의 六6과 火화의 七7과 木목의 八8과 金금의 九9로 五行오행의 數수가 具備구비되었다.
傳曰, 聖人以蓍龜而信天地四時日月之象數, 以河圖洛書而信蓍龜之象數. 信矣其不疑也, 於是乎作易.
「傳전」에 이르길, “聖人성인이 蓍草시초를 쓰면서 天地천지‧四時사시‧日月일월의 象數상수를 믿고,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쓰면서 蓍草시초와 거북의 象數상수를 믿었다. 믿고 疑心의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易역을 지었다”고 하였다.
○ 節齋蔡氏曰, 效學也, 象形象也. 變化垂象, 天地造化之可考者. 聖人效象之而易道以明. 神物圖書, 天地生物而僃數者. 聖人則之而易法以著. 此乃作易之旨也.
節齋蔡氏절재채씨가 말하였다. “本본받음은 배우는 것이다. 象상은 形象형상이다. 變化변화하며 象상을 드리우니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考察고찰할 수 있는 것인데, 聖人성인이 本본받아 形象형상하여 易道역도로 밝혔다. 神物신물과 圖書도서는 天地천지가 낸 物件물건으로 數수를 갖춘 것인데, 聖人성인이 本본받아 易法역법으로 드러냈다. 이것이 易역을 지은 趣旨취지이다.”
【송능상(宋能相) 「계사전질의(繫辭傳質疑)」】
天生神物一節, 首尾四言儘有次序. 神物旣生, 則其自然之象體, 而制用之利用變化, 斯效於天地矣. 旣變而定剛柔爻畫, 斯有吉凶之象矣. 爻畫旣成而三才之象具焉, 則其中所有隨各不同而動靜大小自有定理. 夫是之謂則圖書者也. 或者以爲上則字乃用字之誤, 其言似是而實非. 蓋此段專論作易之所由. 故天地變化以下, 皆只論效象則而已. 豈可於上面先已下用字也哉.
하늘이 神物신물을 낸다는 한 句節구절의 앞뒤 네 마디는 모두 秩序질서가 있다. 神物신물이 이미 나왔다면 自然자연스러운 象상을 體得체득하여 制作제작하여 쓰는 利이롭게 쓰는 變化변화가 이에 天地천지를 本본받는다. 이미 變변하여 剛柔강유의 畫획이 定정해지면 이에 吉凶길흉의 象상이 있게 된다. 爻효의 畫획이 이미 이루어지고 三才삼재의 象상이 갖추어지면, 그 가운데 各各각각 다름을 따라 動靜동정과 大小대소가 저절로 定정해지는 理致이치가 있다. 이것을 일러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를 本본받았다고 한 것이다. 어떤 이는 위의 ‘則칙’字자를 ‘用용’字자의 誤謬오류라고 하는데 그 말이 그럴 듯 하지만 그르다. 이 文段문단은 오로지 易역을 지은 緣由연유를 論논했다. 그러므로 天地變化천지변화 以下이하는 다만 모두 效효와 象상과 則칙을 論논했을 뿐이다. 어찌 위에서 먼저 마치고 ‘用용’字자를 썼겠는가?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神物謂蓍. 伏羲受河圖而畫八卦, 禹得洛書而陳九疇. 各是一事, 而曰聖人則之者, 蓋言其理之无二也. 如上文所謂莫大乎蓍龜, 易之書有蓍而无龜也.
神物신물은 蓍草시초를 말한다. 伏羲복희는 「河圖하도」를 받아 八卦팔괘를 그었고 禹우는 「洛書낙서」를 얻어 九疇구주를 펼쳤다. 各各각각 하나의 일인데 聖人성인이 本본받았다고 한 것은 그 理致이치가 둘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위 文章문장에서 말한 “蓍草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이 없다”와 같은 것이니, 易역의 글에는 蓍草시초만 있고 거북은 없다.
○ 南軒張氏曰, 通於天者河也, 有龍馬負圖而出, 此聖人之德上配於天, 而天降其祥也. 中於地者洛也, 有神龜戴書而出, 聖人之德下及於地, 而地呈其瑞也.
南軒張氏남헌장씨가 말하였다. 하늘에 通통한 것은 河水하수인데 龍馬용마가 그림을 지고 나오니, 이는 聖人성인의 德덕이 위로 하늘과 配合배합하여 하늘이 그 祥瑞상서를 내려준 것이다. 땅의 가운데 있는 것이 洛水낙수인데 神靈신령한 거북이 글을 지고 나오니, 이는 聖人성인의 德덕이 아래로 땅에 미쳐 땅이 그 祥瑞상서를 드러낸 것이다.”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易有太極, 此易字是易書歟, 是造化歟. 太極所以形狀此理之至極無加也, 自夫子始發出此名目歟. 太極不離於陰陽, 無懸空獨立時節, 而今曰是生兩儀, 而理氣果有先後歟. 陽前是陰陰前是陽, 故程子曰, 動靜無端, 陰陽無始. 宜無兩儀未生時, 而謂之生者何歟. 夫生者自無而有之謂也, 陰陽果是自無而有者歟. 夫子此言, 蓋言卦畫生出之序. 故曰生兩儀卽言生陰陽奇耦之畫也. 是則然矣, 而濂溪太極圖說, 動而生陽靜而生陰, 亦豈卦畫說耶. 此誠不能無疑. 天生神物聖人則之, 此則字與下文則字爲重疊何歟. 非但重疊之爲嫌, 亦有可疑者. 夫則之爲言法也, 河圖洛書卽天地之文, 其方位象數, 聖人法而陳之, 固可謂之則矣. 神物卽蓍也. 蓍不過枯草之滿百莖者, 聖人特取而掛揲耳, 豈可曰效法之乎. 或曰神物之下則, 是用字之誤, 此說何如.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다”는 ‘易역’字자는 易書역서를 말함인가, 造化조화를 말함인가? 太極태극은 理致이치가 至極지극하여 더할 것이 없음을 形象형상한 것인데, 孔子공자로부터 이 이름이 始作시작된 것인가? 太極태극은 陰陽음양을 떠나지 않아 虛空허공에 매달려 獨立독립되어 있는 때가 없는데, 只今지금 이것이 兩儀양의를 生생한다고 하였으니, 果然과연 이기에 先後선후가 있다는 것인가? 兩儀양의 앞은 陰음이고 陰음의 앞은 陽양이기 때문에 程子정자가 動靜동정엔 끝이 없고 陰陽음양엔 始作시작이 없다고 하였다. 마땅히 兩儀양의가 나지 않은 때는 없는데, ‘生생’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生생’字자는 無무에서 有유로 감을 이른 것이다. 陰陽음양이 果然과연 無무에서 有유로 온 것인가? 孔子공자의 이 말은 卦畫괘획이 나온 順序순서를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兩儀양의를 生생한다는 것은 곧 陰陽음양‧奇耦기우의 畫획을 生생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렇다고 하고, 濂溪염계의 「太極圖說태극도설」에 動동하여 陽양을 生생하고 靜정하여 陰음을 生생한다는 것도 卦괘의 畫획을 말한 것인가? 이것은 正정말 疑心의심이 없을 수 없다.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내거늘 聖人성인이 本본받았다”는 것에서 이 ‘則칙’字자가 아래 文章문장의 ‘則칙’字자와 重疊중첩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重疊중첩의 嫌疑혐의만 있는 것이 아니라 疑心의심스럽다. ‘則칙’이란 말은 ‘法법’이란 말인데,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天地천지의 文樣문양으로 그 方位방위와 象數상수를 聖人성인이 本본받아 펼친 것이니, 眞實진실로 本본받았다고 이를 만하다.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은 곧 蓍草시초이다. 蓍草시초는 마른 풀로 百100줄기가 있는 것에 不過불과하고, 聖人성인이 다만 取취하여 걸고 셀뿐인데, 어찌 本본받았다고 하는가? 어떤 이는 神物신물의 아래 ‘則칙’字자는 ‘用용’字자의 誤謬오류라고 하는데, 이 說明설명은 어떤가?
【윤종섭(尹鍾燮) 『경(經)-역(易)』】
易學之不明象數, 全說道理, 自王弼始. 便是懸空說道. 道之在天下, 浩浩無涯, 從何下手. 聖人觀象設卦, 以明吉凶.
易學역학에서 象數상수를 밝히지 않고 全的전적으로 道理도리만 말한 것은 王弼왕필로부터 始作시작되었다. 空虛공허하게 道도를 말하여 天下천하에 道도가 있음이 넓고 끝이 없어 어느 곳에서부터 손을 댈지 모른다. 聖人성인이 象상을 보고 卦괘를 베푼 것은 吉凶길흉을 밝히기 爲위함이다.
大傳曰, 天垂象見吉凶, 又曰崇德廣業, 所以效天法地, 而人道斯明.
「繫辭傳계사전」에서 “하늘이 象상을 드리워 吉凶길흉을 나타낸다”고 하였고, 또 “德덕을 높이고 業업을 넓힌다”고 하였는데, 그래서 하늘을 本본받고 땅을 本본받아 人道인도가 이에 밝아지는 것이다.
說易者, 舎其象數而只譚其道, 無主人公事.
易역을 說明설명하는 사람이 象상과 數수를 버리고 다만 道理도리만 말하면 主人公주인공의 일이 없는 것이다.
271) 四象사상:少陽소양의 數수는 七7, 老陽노양의 數수는 九9, 少陰소음의 數수는 八8, 老陰노음의 數수는 六6이다. |
272) 熊氏웅씨:이름은 雄禾웅화이고, 字자는 吉非길비이며, 號호는 勿軒물헌이다. |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9절
p.379 【經文】 =====
易有四象所以示也繫辭焉所以告也定之以吉凶所以斷也
易有四象, 所以示也, 繫辭焉, 所以告也, 定之以吉凶, 所以斷也.
易有四象은 所以示也오 繫辭焉은 所以告也오 定之以吉凶은 所以斷也라.
易역에 四象사상이 있음은 이로써 보여주는 것이고, 말을 달은 것은 이로써 일러주는 것이고, 吉凶길흉으로 定정함은 이로써 決斷결단하는 것이다.
中國大全
p.379 【本義】 =====
四象謂陰陽老少示謂示人以所値之卦爻
四象, 謂陰陽老少, 示, 謂示人以所値之卦爻.
四象은 謂陰陽老少라 示는 謂示人以所値之卦爻라.
‘四象사상’은 陰음과 兩儀양의 老노와 少소를 이르고, ‘示시’는 사람에게 該當해당되는 卦爻괘효로 보여줌을 이른다.
p.379 【小註】 =====
錢氏藻曰有其象无其辭則示人以其意而已聖人懼後世不能與知也於是係之辭以告之定其辭以斷之曰示則使人有所見曰告則使人有所知曰斷則使人无所疑
錢氏藻曰, 有其象, 无其辭, 則示人以其意而已, 聖人懼後世不能與知也. 於是, 係之辭以告之, 定其辭以斷之, 曰示則使人有所見, 曰告則使人有所知, 曰斷則使人无所疑.
錢藻전조가 말하였다. “그 象상은 있지만 그 말이 없으면 사람에게 그 뜻을 보일 뿐이니, 聖人성인이 後世후세에 모두 알지 못할까 念慮염려하였다. 이에 말을 달아서 일러주고 그 말을 定정하여 決斷결단하였으니, ‘보여준다’고 한 것은 사람들이 보게 하는 것이며, ‘일러준다’고 한 것은 사람들이 알게 하는 것이며, ‘決斷결단한다’고 한 것은 사람들에게 疑惑의혹이 없게 하는 것이다.
○ 漢上朱氏曰聖人所以示人吉凶也易於吉凶有以利言者有以情遷者有義命當吉當當亨當否者一以貞勝而不顧非聖人不能定之也定之者所以斷之
○ 漢上朱氏曰, 聖人, 所以示人, 吉凶也, 易於吉凶, 有以利言者, 有以情遷者, 有義命當吉當凶 當亨當否者, 一以貞勝而不顧, 非聖人, 不能定之也. 定之者, 所以斷之.
漢上朱氏한상주씨가 말하였다. “聖人성인이 사람에게 보인 것은 吉凶길흉이다. 『周易주역』에서는 吉凶길흉에 對대해 利이로움으로 말한 것도 있고, 實情실정으로 옮긴 것도 있고, 義理의리와 天命천명에 마땅히 吉길하고 凶흉하며 亨通형통하고 막힌 것도 있어서 하나로 늘 이기려하고 돌아보지 않으니, 聖人성인이 아니라면 定정할 수가 없다. 定정함은 決斷결단하는 것이다.”
○ 雲峯胡氏曰示四象所以開物繫辭斷吉凶則可以成務而天下之道无不在其中此蓋總一章專言卜筮之意也
○ 雲峯胡氏曰, 示四象, 所以開物, 繫辭斷吉凶, 則可以成務, 而天下之道, 无不在其中. 此蓋總一章, 專言卜筮之意也.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四象사상을 보임은 萬物만물을 여는 것이고, 말을 달아 吉길과 凶흉을 決斷결단하면 일을 이룰 수 있어서 天下천하의 道理도리가 그 가운데 있지 않음이 없다. 이것은 大體대체로 한 章장을 總括총괄하고, 全的전적으로 占점치는 것의 意義의의를 말한 것이다.”
韓國大全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示之以象, 吿之以辭, 所以定其吉凶而斷之也.
象상으로 보여주고 말로 告고해줌으로써 吉凶길흉을 定정하여 判斷판단하게 한다.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역(易)』】
開物者, 建矦行師, 畜民容衆之類也. 成務者, 制禮作樂明賞愼罰之類也. 通上下之志然後可以定大業, 大業定然後可以斷疑, 斷疑者神也.
萬物만물을 여는 것은 諸侯제후를 세우고 君師군사를 行행하고 百姓백성을 기르고 무리를 包容포용하는 種類종류이다. 일을 이룸은 禮예를 만들고 樂악을 짓고 賞상을 밝히고 罰벌은 愼重신중히 하는 種類종류이다. 上下상하의 뜻에 通통한 뒤에 大業대업을 定정할 수 있고 大業대업을 定정한 뒤에 疑心의심을 判斷판단할 수 있으니, 疑心의심을 判斷판단하는 것은 神신이다.
圓而神者體也, 方而知者用也. 圓而方神而知, 蓍卦之所以爲德也. 自卦而爲爻, 變易而告人者, 用中之用也.
둥글고 神妙신묘한 것은 本體본체이고, 모나고 知慧지혜로운 것은 作用작용이다. 蓍草시초와 卦괘가 德덕이 됨은 卦괘로부터 爻효가 되어 變易변역하여 사람에게 일러주는 것이니 作用작용 中중의 作用작용이다.
心可洗乎. 陸氏之澄心, 蓋祖於此, 而所謂洗心者, 齋心之謂也. 占筮者, 齋心如澡身者, 然無一蔽累而后可以交乎神, 可以藏乎密, 若陸氏澄心者, 空空寂寂, 面壁擎跽, 流於釋家之宗旨. 此所以洗心澄心之異也.
마음을 씻을 수 있는가? 陸氏육씨의 마음을 맑게 한다는 것은 여기에 根據근거를 두고 있다. 마음을 씻는다는 것은 마음을 嚴肅엄숙히 함을 말한다. 占점을 치는 者자가 마음을 嚴肅엄숙히 함을 몸을 操心조심하듯 함이니, 그래서 하나라도 더러움을 끼치지 않은 뒤라야 神신과 사귈 수 있어 隱密은밀한데 감출 수 있다. 陸氏육씨의 마음을 맑게 한다는 것과 같은 것은 비고 고요해서 壁벽을 마주 對대하고 손을 들어 올리고(擎들 경) 무릎을 꿇어(跽꿇어앉을 기) 釋家석가의 宗旨종지로 흐른다. 이것이 洗心세심과 澄心증심의 다른 差異차이이다.
吉凶與民同患之患, 卽慮之意也. 慮者如大學能慮, 蓋謂吉凶之事與百姓同其思念也.
“吉凶길흉에 百姓백성과 함께 근심한다”는 ‘근심’은 思慮사려의 뜻이다. 思慮사려는 『大學대학』의 能능히 思慮사려함이니, 吉길하고 凶흉한 일에 對대해서 百姓백성과 그 생각을 함께 함을 말한다.
易之道生生也, 故有神武而不嗜殺人者, 可以與於此乾坤之性. 易之道以生人爲心.
易역의 道도는 낳고 낳는 것이기 때문에 神妙신묘한 武力무력으로도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者자가 있어 이 乾坤건곤의 性品성품에 參與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易역의 道도는 사람 生생함을 마음으로 삼는다.
發育萬物天之道也, 禀賦五常民之故也. 聖人以神道設敎而先明乎已德以神民聽夫, 所謂占筮非欲動人以禍福也. 非欲嚇人以神鬼也. 蓋於日用常行之故, 全其所有之性, 爲子而孝爲臣而忠爲弟而悌, 所以爲久道而化成也.
萬物만물을 發育발육하는 것은 天地천지의 道도이다. 五常오상을 禀賦품부한 것은 百姓백성의 緣故연고이다. 聖人성인이 神妙신묘한 道도로 가르침을 베풂에 自己자기의 德덕을 먼저 밝힘으로 그 德덕을 神明신명하게 한다. 이른바 占점치는 것은 사람을 禍福화복으로 움직이고 사람을 鬼神귀신으로 겁주려는 것이 아니다. 날마다 쓰는 日常일상의 緣故연고에 所有소유한 性品성품을 穩全온전히 하여 子息자식이 되어 孝道효도하고 臣下신하가 되어 忠誠충성하고 아우가 되어 恭敬공경하여 도에 오래하여 變化변화되어 이루려는 것이다.
乾始坤遂, 故曰闢闔. 闔爲陰闢爲陽, 陰陽迭變而旡窮, 故曰通. 棟宇耒耟舟車之器, 百姓日用而不知, 是謂神. 蓋言聖人觀象設卦之義.
乾건은 始作시작하고 坤곤은 이룬다. 그러므로 열고 닫는다고 하였다. 닫음은 陰음이고 엶은 陽양이다. 陰陽음양이 番번갈아 變변하여 끝이 없으므로 ‘通통’이라고 한다. 기둥과 지붕과 쟁기와 보습과 배와 수레의 그릇은 百姓백성이 날마다 쓰면서도 알지 못하니 이를 ‘神신’이라 한다. 聖人성인이 象상을 보고 卦괘를 베푼 뜻을 말했다.
易有太極者何謂也. 太極之前豈有易哉. 曰, 易之理自太極而來也.
물었다.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합니까? 太極태극의 앞에 어찌 易역이 있겠습니까?” 答답하였다. “易역의 理致이치가 太極태극으로부터 왔습니다.”
兩儀者何謂也. 儀是儀則儀刑之謂也. 陰陽分而爲兩, 謂之物則形體已具, 謂之事則作爲已見, 故以儀爲言也.
兩儀양의는 무엇을 말하는가? 儀의는 儀式의식이나 本본보기를 말한다. 陰陽음양으로 나뉘면 둘이 되는데 物件물건이라고 하면 形體형체가 이미 갖추어지고 일이라고 하면 作爲작위가 이미 드러나기 때문에 ‘儀의’로 말하였다.
吳㓜淸, 以儀爲匹亦通.
吳㓜淸오유청이 儀의는 짝[匹필]이라고 했는데 亦是역시 通통한다.
吉凶生大業者, 八卦設而吉凶分, 知吉凶則知卦義, 知卦義則知陰陽五行之理, 故曰大業生.
‘吉凶길흉이 大業대업을 生생함’은 八卦팔괘가 베풀어지고 吉凶길흉이 나누어져 吉凶길흉을 알면 卦괘의 뜻을 알고 卦괘의 뜻을 알면 陰陽五行음양오행의 理致이치를 알기 때문에 “大業대업을 生생한다”고 했다.
在天則成象, 在地則著法, 在四時則春而爲夏謂之變, 貞則復元謂之通.
하늘에 있어서는 形象형상을 이루고 땅에 있어서는 法법을 드러내고 四時사시에 있어서는 봄이 여름이 됨을 變변이라 하고, 貞정은 다시 元원이 됨을 通통이라 한다.
河出圖洛出書聖人則之, 古之河洛只有圖書. 卦疇至周之興商之末, 始著爲文字. 周之郁乎文哉, 其由於此歟.
河水하수에서 그림이 나오고 洛水낙수에서 글이 나와 聖人성인이 本본받았으니, 옛적의 河洛하락은 다만 圖書도서였다. 卦괘와 洪範九疇홍범구주는 周주나라가 일어나고 商상나라가 亡망할 때에 처음으로 드러내 文字문자로 만들었다. 周주나라의 文德문덕이 盛성함은 이로 말미암았다.
河洛一而二, 二而一也. 大衍之數又相合如符, 而曰一曰極, 卽大衍之所虛太極也. 一五行二五事相乘而爲二十五者, 易之天數也.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 大衍之數대연지수는 또 서로 信標신표처럼 附合부합하는데, 하나는 一1이라 하고 하나는 極극이라 하였으니, 大衍대연에서 비운 것이 곧 太極태극이다. 첫 番번째 五行오행과 두 番번째 五事오사가 서로 곱해져 二十五25가 됨이 易역의 天數천수이다.
或以河洛爲後世假托之辭, 以繫辭爲曲儒傳(傅)?會之說, 而此則大不然. 朱子於啓蒙辨之詳矣. 且按論語曰, 河不出圖, 洪範曰, 天乃錫禹云, 則河圖之在於伏羲, 洛書之在於禹, 繫辭之在於孔子, 居可知爾.
어떤 이는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後世후세에 假托가탁한 것이고, 「繫辭傳계사전」은 歪曲왜곡된 선비들이 傳會부회한 說明설명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全전혀 그렇지 않다. 朱子주자가 『易學啟蒙역학계몽』에서 辯論변론한 것이 仔細자세하다. 또 『論語논어』에 보면 “河水하수에서 그림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였고, 「洪範홍범」에서 “하늘이 禹우임금에게 주었다”고 하였으니, 「河圖하도」는 伏羲복희에게 있고 「洛書낙서」는 禹우임금에게 있고 「繫辭傳계사전」은 孔子공자에게 있음은 가만히 있어도 알 수 있다.
* 傅會(附會)부회: 理致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自己자기에게 有利유리 하게 함. |
河圖乾也, 洛書坤也. 圖圓而書方也. 圓之數十陽而有陰也, 方之數九陰而有陽也.
「河圖하도」는 乾건이고 「洛書낙서」는 坤곤이다. 「河圖하도」는 둥글고 「洛書낙서」는 모나다. 동그라미의 數수는 十10으로 陽양이면서 陰음이 있고, 네모의 數수는 9로 陰음이면서 陽양이 있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節承上文蓍龜功用之語, 而言三聖人作易之由也. 神物卽蓍龜也. 天地變化如日月寒暑往來相推, 及山峙川流禽飛獸走之類也. 見吉凶者如日月星辰躔次循度晦明薄蝕之類也. 四象者以蓍策定老少陰陽而成卦, 故推求卦之事而言也. 示謂示人以卦爻也.
이 句節구절은 윗 글의 蓍草시초와 거북의 功用공용의 말을 이어서 세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은 緣由연유를 말하였다. 神物신물은 곧 蓍草시초와 거북이다. 天地천지의 變化변화는 日月일월과 寒暑한서의 往來왕래와 서로 밀침같은 것과 山川산천의 흐름과 날짐승 들짐승 같은 種類종류이다. 吉凶길흉을 드러냄은 日月일월‧星辰성신이 順次的순차적으로 지나가며 어둡거나 밝고 日蝕일식이 일어나는 種類종류이다. 四象사상은 蓍草시초의 策數책수로 老小노소‧陰陽음양을 定정해 卦괘를 이루는 것이므로 卦괘를 미루어 求구하는 일로 말하였다. 보여줌은 사람에게 卦爻괘효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
乾鑿度曰, 易始於太極, 太極分而爲二, 故生天地. 天地有春秋冬夏之節, 故生四時. 四時各有陰陽剛柔之分, 故生八卦.
『乾鑿度건착도』에서 말하였다. “易역은 太極태극에서 始作시작되고 太極태극이 나뉘어 둘이 되므로 天地천지를 生생한다. 天地천지엔 春秋冬夏춘하추동의 季節계절이 있기 때문에 四時사시를 生생한다. 四時사시에는 各各각각 陰陽음양‧剛柔강유의 區分구분이 있기 때문에 八卦팔괘를 生생한다.”
鄭曰, 極中之道, 滈和未分之氣.
鄭玄정현이 말하였다. “極中극중의 道도는 和合화합되어 나누어지지 않은 氣기이다.”
虞曰, 太極太一也, 四象四時也.
虞飜우번이 말하였다. “太極태극은 太一태일이고 四象사상은 四時사시이다.”
姚曰, 四象謂七八九六, 卽四營布於四方是曰四時. 陰陽之老少備, 故生八卦, 謂乾坤六子也.
姚信요신이 말하였다. “四象사상은 七7,八8,九9,六6을 가리키니, 곧 四營사영이 四方사방에 펼쳐있는 것을 四時사시라 한다. 陰陽음양‧老少노소가 갖추어지기 때문에 八卦팔괘를 낳으니 乾坤건곤과 六子육자를 말한다.
釋詁曰, 亹亹勉也.”
『爾雅이아 釋詁석고』에서 말하였다. “亹亹미미는 힘씀이다.”
劉向曰, 蓍之言耆, 龜之言久. 龜千歲而靈, 蓍百年而神. 以其長久, 故能辯吉凶也.
劉向유향이 말하였다. “蓍草시초는 늙었다는 말이고, 거북은 오래되었다는 말이다. 거북은 千年천년을 살며 神靈신령하고, 蓍草시초는 百年백년을 살며 神靈신령하다. 長久장구함을 쓰기 때문에 吉凶길흉을 分別분별할 수 있다.”
按, 卜筮固一道, 故或并及龜. 然易中言神物者, 當專指蓍也. 物未必能神, 唯在人之神而明之. 河圖雒書, 歴代未聞有述之者. 後世圖象所傳, 其作俑於陳摶乎. 大有上九孔子所言, 先儒多屬上節, 故從之.
내가 살펴보았다. 卜복과 筮서는 本來본래 同一동일한 道理도리이기 때문에 或혹 거북을 아우른다. 그렇지만 易역 가운데 말한 神物신물은 마땅히 蓍草시초만을 가리킨 것이다. 物件물건이 반드시 神靈신령할 수 없고 오직 사람이 神明신명하게 하는 데 달려있다.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歴代역대에 記述기술했다는 者자를 들어보지 못했다. 後世후세에 圖象도상을 傳전한 것은 陳摶진단에서 만들어졌다. 대유괘의 상구효에 對대한 孔子공자의 말을 선배학자들이 대부분 윗 句節구절에 붙였기 때문에 따른다.
* 「河圖하도」와 「洛書낙서」는 陳摶진단이 鄭玄정현의 說설에 根據근거하여 ····· 그것이 陳摶진단 以來이래의 圖象學者도상학자들이 意圖의도했던 것인지는 確認확인할 수 없지만, 邵雍소옹(邵康節소강절)의 「河圖하도」와 「洛書낙서」가 없었다면 오늘날 占術界점술계의 版圖판도도 달라졌을 것이다. |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기원과 진위에 대한 연구 ― 정약용丁若鏞의 관점을 중심으로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641822 |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10절
p.380 【經文】 =====
右第十一章
右는 第十一章이라.
以上이상은 第十一章제11장이다.
中國大全
p.380 【本義】 =====
此章專言卜筮
此章, 專言卜筮.
此章은 專言卜筮이라.
이 章장은 全的전적으로 占점치는 일을 말하였다.
p.380 【小註】 =====
雙湖胡氏曰此章凡八稱聖人皆指伏羲只繫辭以告是文王周公事首揭夫易何爲者也一句爲問辭喚起一章大意而以夫易開物以下爲答辭盡說歸卜筮其下六箇是故一箇是以皆發明卜筮之事第一箇是故說聖人以通以定以斷總言卜筮之綱也第二箇是故言聖人以此洗心第三箇是以言聖人以此齋戒此卽卜筮以用卜筮也第四箇是故分言闔戶爲坤闢戶爲乾以明畫卦布爻之法第五箇是故提起易有太極以論生儀象卦之法亦揲蓍求卦之象第六箇是故雖論天地四時日月實歸重聖人有富貴之位能致用立器以利天下而必以蓍龜亹亹者結之亦聖人之事也至第七箇是故四致意於聖人則之效之象之則之而未及文王周公之辭焉故本義謂此章專言卜筮而伏羲畫卦之法其綱領已備見於是而圖書爲作易之原亦因是而發焉此皆不可不知也
雙湖胡氏曰, 此章凡八稱聖人, 皆指伏羲, 只繫辭以告, 是文王周公事. 首揭夫易何爲者也一句, 爲問辭, 喚起一章大意, 而以夫易開物以下, 爲答辭, 盡說歸卜筮. 其下六箇是故, 一箇是以, 皆發明卜筮之事. 第一箇是故, 說聖人以通以定以斷, 總言卜筮之綱也. 第二箇是故, 言聖人以此洗心, 第三箇是以, 言聖人以此齋戒, 此卽卜筮, 以用卜筮也. 第四箇是故, 分言闔戶爲坤, 闢戶爲乾, 以明畫卦布爻之法. 第五箇是故, 提起易有太極, 以論生儀象卦之法, 亦揲蓍求卦之象. 第六箇是故, 雖論天地四時日月, 實歸重聖人有富貴之位, 能致用立器, 以利天下, 而必以蓍龜亹亹者結之, 亦聖人之事也. 至第七箇是故, 四致意於聖人則之效之象之則之, 而未及文王周公之辭焉. 故本義謂此章專言卜筮, 而伏羲畫卦之法, 其綱領已備見於是, 而圖書爲作易之原, 亦因是而發焉, 此皆不可不知也.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이 章장에서 모두 여덟 番번 일컬은 聖人성인은 모두 伏羲복희를 가리키고, 다만 말을 달아서 일러준 것은 文王문왕과 周公주공의 일이다. 첫 머리에 “易역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라는 한 句節구절을 내건 것은 質問질문하는 말이 되니, 이 章장의 大意대의를 換氣환기시켰고, “易역은 萬物만물을 열고”부터는 答답하는 말이 되니, 모두 占점치는 것[卜筮복서]을 說明설명하며 끝냈다. 그 아래에 여섯 個개의 ‘이런 까닭으로[是故시고]’와 하나의 ‘이 때문에[是以시이]’는 모두 占점치는 일을 펼쳐 밝힌 것이다. 첫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聖人성인이 이로써 通통하고 定정하며 決斷결단함을 말했으니, 占점치는 일의 綱領강령을 總括총괄하여 말한 것이다. 두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聖人성인이 이것으로 마음을 씻음’을 말하였고, 세 番번째의 ‘이 때문에’에서는 ‘聖人성인이 이것으로 깨끗이 하며 두려워함’을 말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占점을 침[卜筮복서]이니, 占점치는 것을 썼다는 것이다. 네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門문을 닫음이 坤곤이 되고 門문을 엶이 乾건이 된다고 나누어 말하여 卦괘를 긋고 爻효를 펼치는 方法방법을 밝혔다. 다섯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음’을 끌어다가 兩儀양의와 四象사상과 八卦팔괘를 낳는 方法방법을 論논하였으니, 또한 蓍草시초를 셈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象상이다. 여섯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비록 天地천지와 四時사시와 日月일월을 論논하였지만, 實際실제로는 聖人성인이 富裕부유한 地位지위가 있고 씀을 다하며 器物기물을 만들어 天下천하를 利이롭게 할 수 있음에 重點중점을 돌렸고, 반드시 蓍草시초와 거북이 부지런히 애씀을 이룬다는 것으로 끝을 맺으려 했으니, 또한 聖人성인의 일이다. 일곱 番번째의 ‘이런 까닭으로’에서는 聖人성인이 네 番번 本본받으며[則之칙지], 本본받으며[效之효지], 그려내며[象之상지], 本본받은[則之칙지] 것에 뜻을 모았고, 文王문왕과 周公주공이 말을 단 것은 言及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本義본의』에서 “이 章장은 全的전적으로 占점치는 일을 말하였다”고 하였는데, 伏羲복희의 卦괘를 긋는 方法방법은 그 綱領강령이 이미 여기에 갖추어 나타나고, 「河圖하도」와 「洛書낙서」가 易역을 짓는 根源근원이 된다는 것도 또한 이에 根據근거하여 펼쳐지니, 이것은 모두 알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韓國大全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上章闚疑, 不敢復用愚見.
이 章장에는 疑心의심스러운 점이 있지만, 敢감히 다시 나의 見解견해를 쓰지 않는다.
【박치화(朴致和) 「설계수록(雪溪隨錄)」】
冐, 包含也.
덮음은 包含포함함이다.
○ 冐天下之道是統說, 不可與開物成務對說看. 冐天下之道, 故能通志定業斷疑, 通志定業斷疑, 故能開物成務. 然則三者不可以分屬解釋.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는다는 것은 統合통합하여 말한 것이니,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룬다는 말과 相對상대한 말로 보면 안 된다.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기 때문에 뜻을 通통하고 일을 定정하며, 疑惑의혹을 決斷결단하기 때문에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룬다. 그러므로 세 가지를 나누어서 解釋해석하면 안 된다.
○ 開物成務, 言易之用. 冐天下之道, 言易之大.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룬다는 것은 易역의 쓰임을 말하였고,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는다는 것은 易역의 偉大위대함을 말하였다.
○ 非開物成務, 而冐天下之道, 冐天下之道, 故能開物成務也.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어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는 것이 아니라,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기 때문에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는 것이다.
○ 密微密, 言至小也. 藏處置, 無痕跡也.
隱密은밀함은 隱微은미하게 감춘 것이니, 至極지극히 작음을 말한다. 감춤은 그쳐서 놓아둔 것이니, 痕迹흔적이 없는 것이다.
○ 退藏於密, 應冐天下之道一句. 神以知來藏以知往[주 273], 應開物成務一句.
隱密은밀함에 물러나 숨는다는 것은 天下천하의 道理도리를 덮는다는 한 句節구절에 相應상응한다. 神妙신묘함으로 올 것을 알고 知慧지혜로 간 것을 간직한다는 것은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룬다는 한 句節구절과 相應상응한다.
273) 經文경문에는 知以藏往지이장왕으로 되어있다. |
○ 易道滿招損謙受益. 是吉亦有警戒之憂, 故曰吉凶與民同患.
易역의 道理도리는 가득차면 損害손해를 부르고 謙遜겸손하면 利益이익을 받는 것이다. 吉길함에도 警戒경계하는 근심이 있기 때문에 吉凶길흉에 百姓백성과 더불어 근심을 같이 한다고 하였다.
○ 神武而不殺, 不怒而威者也. 此節言聖人軆蓍卦爻之德, 以與民同患, 而神知亦如蓍卦爻之德. 孰能與於此, 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也.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者자는 성내지 않고도 威嚴위엄스러운 者자이다. 이 句節구절은 聖人성인이 蓍草시초와 卦괘를 體得체득하여 百姓백성과 더불어 근심을 같이 하고, 神妙신묘한 知慧지혜가 蓍草시초와 卦괘의 德덕과 같음을 말한다. 그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할 수 있겠는가? 옛날의 聰明총명하고 슬기롭고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者자일 것이다.
○ 言聖人神武而不殺者, 易道亦如此故也. 蓋易中說吉凶, 而以之卜筮者得吉則勸而趨之, 得凶則懲而避之. 善者自勸不善者自化, 有不殺之威武, 如聖人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之德, 故配而言之也.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者자라고 말한 것은 易역의 道理도리가 그렇기 때문이다. 易역 가운데 吉凶길흉을 말해 이것으로 卜筮복서를 하여 吉길함을 얻는 者자는 勸勉권면하여 나아가고, 凶흉함을 얻은 者자는 懲戒징계하여 避피한다. 善선한 者자는 勸勉권면하고 不善불선한 者자는 스스로 敎化교화되어 죽이지 않는 威嚴위엄스런 武力무력이 있는 것이 마치 聖人성인이 聰明총명하고 슬기롭고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德덕과 같기 때문에 짝지어 말한 것이다.
○ 易生生之道也. 見示吉凶而人自化之, 眞所謂神武而不殺者也.
易역은 낳고 낳는 道理도리이다. 吉凶길흉을 보여주면 사람이 스스로 敎化교화되니, 眞實진실로 이른바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者자이다.
○ 雲峯胡氏以神武而不殺, 譬聖人假卦爻蓍之德, 而不用其物爲言, 恐非此節本旨. 聖人何嘗不用其物耶. 故下節曰是興神物以前民用, 此用其物之實也. 胡氏之論未可知也.
雲峯胡氏운봉호씨는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않음을 聖人성인이 卦爻괘효와 蓍草시초의 德덕을 빌리고 그 物件물건을 쓰지 않는 것으로 譬喩비유했는데, 이 句節구절의 本來본래 뜻이 아닌 것 같다. 聖人성인이 어찌 일찍이 그 物件물건을 쓰지 않은 적이 있는가? 그러므로 아래 句節구절에 말하길, 이에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일으켜 百姓백성의 씀을 이끌게 하였다고 했으니, 이것이 그 物件물건을 쓴 實際실제이다. 胡氏호씨의 論意논의를 알지 못하겠다.
○ 朱子之意, 以爲聖人有是德, 置蓍卦而不用. 譬猶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 雖不殺而神武之意自在. 雖不用而神明之理自在.
朱子주자의 뜻은 聖人성인이 이런 德덕을 지니고 蓍草시초와 卦괘를 놔두고 쓰지 않는 것이 마치 옛날의 聰明총명하고 슬기롭고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者자와 같다는 것이다. 비록 죽이지 않지만 神妙신묘한 武力무력은 저절로 있고, 비록 쓰지 않지만 神明신명의 道理도리는 저절로 있다.
○ 朱子之意, 專以聖人不待卜筮而知吉凶爲解. 聖人雖無易可也, 故易爲凡民設也.
朱子주자의 뜻은 오로지 聖人성인이 卜筮복서를 하지 않고도 吉凶길흉을 안다고 풀이한 것이다. 聖人성인은 易역이 없어도 可能가능하기 때문에, 易역은 百姓백성을 爲위해 베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聖人有是德而不待蓍卦, 猶聖人有神武而不待殺伐.
聖人성인이 이 德덕을 지니고 있어 蓍草시초와 卦괘를 기다리지 않는 것이 聖人성인이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않는 것과 같다.
○ 軆易者惟聰明叡知神武而不殺之聖者能之, 非凡民所可能. 故聖人設卜筮而敎之, 以知吉凶, 則所謂明於天道察於民故是興神物也.
易역을 體得체득한 者자는 오직 옛날의 聰明총명하고 슬기롭고 武力무력이 神妙신묘하고도 죽이지 아니하던 聖성스런 者자라야 可能가능하지, 平凡평범한 百姓백성이 可能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聖人성인이 卜筮복서를 베풀어 가르쳐 吉凶길흉을 알게 하니, 이른바 하늘의 道理도리를 밝히고 百姓백성의 緣故연고를 살펴서 이에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 自是故蓍之德, 至神明其德二節, 反覆說聖人軆蓍卦爻之德, 而有如此合德, 故聖人是興蓍卦爻, 反以神明其德.
“이런 까닭으로 蓍草시초의 德덕은 둥글어 神妙신묘하고”로부터 “그 德덕을 神妙신묘하고 밝게 한 것이로다”까지의 두 句節구절은 聖人성인이 蓍草시초와 卦爻괘효의 德덕을 體得체득한 것을 反復반복하였다. 이처럼 德덕을 合합하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蓍草시초와 卦爻괘효를 일으키고 돌이켜 그 德덕을 神妙신묘하고 밝게 한다.
○ 易者一闔一闢之中有太極焉. 是生両儀.
易역은 한-番번 닫고 한-番번 여는 가운데 太極태극이 있는데, 이것이 兩儀양의를 낳는다.
○ 闔闢者両儀也. 在闔闢之中而爲闔闢之樞機者太極也.
닫고 여는 것은 兩儀양의이고, 닫고 여는 가운데 닫고 여는 지도리가 太極태극이다.
○ 日用之自然者謂之神.
날마다 쓰는 저절로 그런 것을 神신이라고 한다.
○ 從一源而言則太極生両儀, 從流行而言則一陰一陽之謂道.
한 根源근원으로 말하면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낳고, 흘러 다니는 것으로 말하면 한 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 番번은 陽양이 됨을 道도라 한다.
○ 一每生二者太極生両儀, 則太極爲一而両儀爲二. 両儀生四象, 則両儀爲一而四象爲二. 推之莫不皆然.
1이 매-番번 二2를 낳는 것이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낳음이니, 太極태극은 一1이 되고 兩儀양의는 二2가 된다.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낳음은 곧 兩儀양의가 一1이 되고 四象사상이 二2가 된다. 미루어보면 다 그렇지 않음이 없다.
○ 男女爲陰陽, 而男有氣血女亦有氣血. 是一卦三畫之象也.
男女남녀가 陰陽음양이 되는데, 男子남자에게 氣血기혈이 있고 女子여자에게도 氣血기혈이 있다. 이것이 한 卦괘에 세 畫획이 있는 象상이다.
○ 第四節, 言天地之造化, 人事之自然, 以明神物之用也.
第四節제四4절은 天地천지의 造化조화와 人事인사의 自然자연함을 말하여 神妙신묘한 物件물건의 쓰임을 밝혔다.
○ 第五節, 承上節, 而言動静卦爻之所以生之次第也.
第五節제5절은 윗 句節구절을 이어 움직이고 고요한 卦爻괘효가 生생하는 順序순서를 말했다.
○ 第七節, 言蓍龜之德配合於天地四時日月聖人也.
第七節제七7절은 蓍草시초와 거북의 德덕이 天地천지‧四時사시‧日月일월‧聖人성인과 配合배합함을 말했다.
○ 第八節, 承上文以言作易之由也.
第八節제八8절은 윗글을 이어 易역을 지은 緣由연유를 말했다.
【윤동규(尹東奎) 『경설(經說)-역(易)』】
第十一章至十二章, 明聖人作易, 爲開物成務, 與民同患, 以神道設敎之意也. 蓋以卦藏往, 以神知來, 使民咸用之, 此與天之盛德大業同憂者也. 闔戶謂坤, 闢戶謂乾, 一闔一闢之謂變, 往來不窮之謂通者, 是卽乾坤生六子之事. 下文所謂兩儀生四象四象生八卦者是也. 見乃謂之象謂乾, 形乃謂之器謂坤. 首章在天成象在地成形者正謂是也.
第十一章제11장에서 十二章12장까지는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어 萬物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며 百姓백성과 함께 근심하여 神妙신묘한 道도로 가르침을 베풀었다는 뜻이다. 卦괘로는 지난 것을 감추고 道신으로는 올 것을 알아 百姓백성들이 함께 쓸 수 있게 했으니, 이것이 하늘과 함께하는 盛大성대한 德덕과 大業대업으로 같이 근심하는 것이다. 門문을 닫음을 坤곤이라 하고, 門문을 엶을 乾건이라 하고, 한-番번 닫고 한-番번 엶을 變변이라 하고, 오고 가서 다하지 않음을 通통이라 하는 것은 乾坤건곤이 여섯 子女자녀를 낳는 일로, 아랫 글에서 말한 兩儀양의를 낳고,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낳고, 四象사상이 八卦팔괘를 낳음이 이것이다. 나타난 것을 곧 象상이라 함은 乾건을 말하고, 形成형성된 것을 곧 器기라 함은 坤곤을 말하니, 一1장의 하늘에 있어 形象형상을 이루고 땅에 있어 形體형체를 이룬다는 것이 이것이다.
兩儀是坤乾, 坤乾各各, 分陰分陽, 迭用柔剛, 各三變而成男女, 雖有三變, 以陰陽變剛柔言, 則其實陰陽剛柔而已. 故在坤乾謂之兩儀, 在乾坤震巽言謂之四象. 然其各三交則其變剛柔則一, 而卦則自成八. 故曰兩儀生四象四象生八卦, 其例昭然, 而上文闔戶謂坤, 闢戶謂乾者, 自相符合也.
兩儀양의는 坤乾곤건이다. 坤乾곤건이 各各각각 陰음과 陽양으로 나뉘어 갈마들며 柔유와 剛강을 쓰며 各各각각 三變삼변하여 男女남녀를 이루는데 三變삼변이 있다고 하나, 陰陽음양의 變변과 剛柔강유로 말하면 實際실제는 陰陽음양‧剛柔강유일 뿐이다. 그러므로 坤乾곤건을 兩儀양의라 이르는데, 乾坤震巽건곤진손에 있는 것을 말하면 四象사상이라 한다. 그렇지만 各各각각 세 番번 사귀니 그 變변함이 剛柔강유인 것은 同一동일하며 卦괘는 各自각자 여덟을 이룬다. 그러므로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낳고, 四象사상이 八卦팔괘를 낳는다고 하였으니, 그 例예가 밝아서 윗글의 門문을 닫음을 坤곤이라 하고, 門문을 엶을 乾건이라 한다는 것과 自然자연스럽게 서로 附合부합한다.
如不然則何必於此重言復言若此耶. 其所太極者卽三極之極, 而不言三極而言太極者, 只言天也. 蓋上成象謂乾效法謂坤, 卽因一陰一陽之謂道有此, 故只言天爲太極. 然旣言天極, 則三極擧在其中矣. 自陰陽而生剛柔, 則爲四象. 若無此則何以辨易之軆用, 而爲觀象繫辭之道耶. 是故曰易有四象所以示也, 繫辭焉所以斷也.
萬若만약 그렇지 않다면 왜 여기에서 거듭거듭 이와 같이 말했겠는가? 太極태극이라는 것은 三極삼극의 極극인데 三極삼극을 말하지 않고 太極태극이라 한 것은 다만 하늘만 말한 것이다. 위에 象상을 이룸을 乾건이라 하고 法법을 本본받음을 坤곤이라 하니, 곧 한―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番번은 陽양이 됨을 通통해 이런 것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만 하늘이 太極태극이 됨을 말하였다. 그러나 이미 天極천극을 말했으니 三極삼극은 그 가운데 들어있는 것이다. 陰陽음양으로부터 剛柔강유를 낳으니 四象사상이 된다. 萬若만약 이런 것이 없다면 어떻게 易역의 軆用체용을 分別분별하며 象상을 보고 말을 매는 道도가 되겠는가? 그러므로 易역에 四象사상이 있음은 이로써 보여주는 것이고, 말을 단 것은 이로써 決斷결단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다.
說卦曰, 觀變於陰陽而立卦, 發揮於剛柔而生爻, 分陰分陽而迭用剛柔.
「說卦傳설괘전」에서 말하였다. “陰음과 陽양에서 變化변화를 보아 卦괘를 세우고, 굳셈과 부드러움에서 發揮발휘하여 爻효를 낳으며, 陰음으로 나누고 陽양으로 나누며 柔順유순함과 굳셈을 次例차례로 쓴다.
此則雖因揲蓍求卦之法, 然與此當互相發也. 宜在詳察也.
이것은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法법을 根據근거로 한 것이지만, 이곳과 함께 서로 發明발명한 것이니 仔細자세히 살펴야 한다.
制而用之謂之法, 利用出入民咸用之謂之神, 此指上文是興神物以前民用之事. 聖人以蓍揲四, 爲九六之變, 使民以此齊戒而酬酢, 感發而其應之, 不疾而速不行而至, 以神明其德, 使民則而行之. 此所謂利用出入民咸用之者也.
만들어 씀을 法법이라 하고, 쓰기에 利이롭게 하여 내며 들여 百姓백성들이 모두 씀을 神신이라 한다는 것은 윗 글의 이에 神靈신령한 物件물건[神物신물]을 일으켜 百姓백성의 씀을 이끌게 하는 일을 가리킨다. 聖人성인이 四個4개씩 세어 九9와 六6의 變化변화를 만들어 百姓백성들이 이로써 齋戒재계하고 酬酢수작하여 느껴 應응하게 하고, 달리지 않아도 바르며 가지 않아도 이르게 함으로 그 德덕을 神明신명하게 하여 百姓백성들이 行행하게 하니, 이것이 쓰기에 利이롭게 하여 내며 들여 百姓백성들이 모두 씀을 神신이라 한다는 것이다.
第二章旣言自天祐之吉旡不利矣, 此章將言觀變玩占, 故又此重言之, 以明民之用之實求天之祐之意. 故下文更言鼓舞以盡神, 恐非錯簡. 蓋易窮則變, 變則通, 實盡利之大法. 若不知變而通之, 則何可論易耶. 故下文以乾坤其易之緼一節以示變通之義. 夫一陰一陽之道. 乾坤卽陰陽形而下者也, 其道卽易之道立乎其中者, 不可見卽形而上者. 然非乾坤形而下, 則何以見, 故指形而言曰而上, 其義明矣. 上文變通以乾坤之生六子而言在卦. 此章變通以揲蓍求爻而在人, 故更言措民事業, 下言存變存通存人之意, 其義精矣.
第二章제二2장에서 이미 하늘로부터 돕기에 吉길하여 利이롭지 않음이 없다고 말하고 이 章장에서 變化변화를 보고 占점을 玩味완미함을 말하려하기 때문에 百姓백성들이 使用사용하는 實際실제가 하늘의 도움을 求구함이라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아래 글에 다시 말한 부추기고 춤추게 하여 神妙신묘함을 다하였다는 것은 錯簡착간이 아닐 것이다. 易역은 窮궁하면 變변하고 變변하면 通통하여 實際실제 利이로움을 다하는 큰 法법이다. 乾坤건곤은 곧 陰陽음양으로 形而下者형이하자이고, 그 道도는 곧 易역의 道도로 그 가운데 서니 볼 수가 없어 形而上者형이상자이다. 그렇지만 乾坤건곤의 形而下형이하가 아니면 어떻게 볼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形象형상을 가리켜 그 위[而上이상]라고 하였으니 그 뜻이 分明분명하다. 윗글의 變通변통은 乾坤건곤이 여섯 子女자녀를 낳는 것으로써 말하는 것이 卦괘에 있다. 이 章장의 變通변통은 揲蓍설시하여 爻효를 求구하는 것이 사람에게 있기 때문에 다시 百姓백성에게 두는 事業사업을 말하였고, 아래에 變변함에 있고 通통함에 있고 사람에 있다는 뜻을 말했으니 그 義味의미가 分明분명하다.
【심취제(沈就濟) 『독역의의(讀易疑義)』】
第十一章, 夫子統論易之爲易, 而首章以下許多道理, 皆在此問答中也.
第十一章제11장은 孔子공자가 易역이 易역이 됨을 統合통합하여 論논했는데, 머릿-章장 以下이하의 많은 道理도리는 모두 이 章장의 問答문답 가운데 있다.
首章以下, 或言羲皇經緯之事, 或言文王經綸之功, 至此章, 則夫子彌綸其羲文之易也.
머릿-章장 以下이하에 或혹은 伏羲복희가 經緯경위한 일을 말하고 或혹은 文王문왕이 經綸경륜한 功공을 말하며, 이 章장에 이르러서는 孔子공자가 伏羲복희와 文王문왕의 易역을 彌綸미륜한 것을 말했다.
蓍生於伏羲時, 而此乃天生之神物也. 蓍包卦爻之理, 而其德也圓而神也. 蓍圓卦方而圓方者天地之本體也. 天地之體方圓而已, 方圓二字始言於此也.
蓍草시초는 伏羲복희 때에 나왔는데, 이것은 하늘이 神靈신령한 物件물건을 낸 것이다. 蓍草시초는 卦爻괘효의 理致이치를 包含포함하고 그 德덕은 둥글고 神妙신묘하다. 蓍草시초는 둥글고 卦괘는 모나니, 둥글고 모남은 天地천지의 本體본체이다. 天地천지의 本體본체는 모나고 둥글 뿐이니, ‘方圓방원’ 두 글-字자는 여기에서 始作시작되었다.
蓍圓卦方爻義卽三節也. 聰明叡知神武亦三節也. 退藏者藏其蓍卦爻三者之德也.
蓍草시초는 둥근 것과 卦괘의 모난 것과 爻효의 뜻은 세 마디이다. 聰明총명과 叡知예지와 神武신무도 세 마디이다. 물러나 감춤은 蓍草시초와 卦괘와 爻효 세 가지의 德덕을 감춤이다.
闔闢者乾坤, 往來者日月, 出入者人也.
닫고 여는 것은 乾坤건곤이고 往來왕래하는 것은 日月일월이며 出入출입하는 것은 사람이다.
闔者乾, 闢者坤也. 至一闔一闢者, 非泰否耶.
닫는 것은 乾건이고 여는 것은 坤곤이다. 한-番번 닫고 한―番번 여는 것은 泰卦태괘(䷊)와 否卦비괘(䷋)가 이닌가?
首章以下, 皆言易之道, 而未嘗著言陰陽卦爻之所由生也. 自其本而言之, 則太極生両儀両儀生四象以至八卦也.
머릿-章장 以下이하는 모두 易역의 道도를 말했지만, 陰陽음양의 卦爻괘효가 生생한 緣由연유를 말하여 드러내지 않았다. 根本근본에서부터 말하면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生생하고 兩儀양의가 四象사상을 生생하고 八卦팔괘에 이른다.
業字之義基字近之.
‘業업’字자의 뜻은 ‘基기’字자가 가깝다.
自天地法象至莫大乎蓍黽, 則此章之義全歸卜筮也.
‘天地천지의 法象법상’에서 “蓍草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이 없다”에 이르기까지 이 章장의 뜻은 全的전적으로 卜筮복서에 歸着귀착된다.
【오희상(吳熙常) 「잡저(雜著)-역(易)」】
易有太極是生兩儀, 不曰太極生兩儀, 而只下得是字, 與兩儀四象八卦異其文者. 看來其好, 卻可見其帶於是底意而不是直把太極爲生兩儀也.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兩儀양의를 낳는다[是生兩儀시생양의]”고 하고,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낳는다”고 말하지 않았는데, 다만 ‘是시’字자를 써서 兩儀양의‧四象사상‧八卦팔괘와는 文章문장을 다르게 하였다. 살펴보건대 그렇게 하는 것이 좋은데, ‘是시’字자는 ‘於是어시’의 뜻을 띠고 있으며, 直接직접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낳는다고 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上繫, 脉絡條理, 首尾交貫, 互相發明. 朱子所謂上繫好看者誠有以也.
「繫辭上傳계사상전」은 脉絡맥락이 條理조리가 있고 처음과 끝이 서로 貫通관통되어 서로 밝혀준다. 朱子주자의 이른바 「繫辭上傳계사상전」은 읽기가 좋다는 것은 正정말 理由이유가 있다.
【윤종섭(尹鍾燮) 『경(經)-역(易)』】
上傳發揮出神字章章明矣, 而十一章曰民咸用之謂之神, 又繼以曰易有太極者, 儘有精義. 神雖妙用不測, 而必體乎物, 猶可推而求之. 人易以神爲道, 故發明太極於此, 使人知神之上面, 有實理之爲主宰也. 然不曰太極生兩儀, 而曰是生兩儀, 以明太極非有形象可擬也. 是字當着眼, 神是易之能事, 而畢竟有情僞造作, 非太極之純一無息, 不以成其能.
「繫辭上傳계사상전」에서 ‘神신’字자를 꺼내 쓴 것은 章장마다 分明분명한데, 十一章11장에서 “百姓백성들이 모두 씀을 神신이라 한다”고 하였고, 이어서 말하길, “易역에 太極태극이 있다”고 한 것은 참으로 精微정미로운 뜻이 있다. 神신이 비록 妙묘하게 쓰여져 헤아릴 수 없지만, 반드시 事物사물의 本體본체가 되니, 오히려 미루어 求구할 수 있다. 사람의 易역은 神신으로 道도를 삼기 때문에 여기에서 太極태극을 밝혀놓아 사람들이 神신의 위에 實理실리가 主宰주재함을 알게 한 것이다. 그래서 太極태극이 兩儀양의를 生생한다고 하지 않고 이것이 兩儀양의를 生생한다고 하여, 太極태극이 形象형상으로 譬喩비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是시’字자는 잘 살펴보아야 하니, 神신은 易역이 能능한 일이지만 畢竟필경에는 뜻이 있고 造作조작이 있어, 太極태극이 純一순일하여 쉼이 없음이 그 能능함을 이루었기 때문이 아닌 것과는 다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章, 言易之用廣大, 而本乎蓍卦也.
이 章장은 易역의 쓰임이 廣大광대하고 蓍草시초와 卦괘에 根本근본하였음을 말하였다.
*****(2024.05.18.)
* 出處: daum, Naver, Google, 바이두, 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 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 |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전(繫辭傳) 총 一1,653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전(繫辭傳)%3a편명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11장 총 十1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6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6_006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7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6_007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8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6_008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9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6_009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_10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1장%3a편명%24繫辭上傳:제11장(第十一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6_010 |
국제 뉴스 MBN/빗장 푼 미 "러 본토 타격 제한적 허용"…"러 무기 파편은 북한제“ https://v.daum.net/v/20240531201556280 한국일보/이스라엘군 라파 공세에 이집트는 ‘폭발 직전’… 45년 평화 위태 https://v.daum.net/v/20240531200148990 채널A/‘트럼프 집권하면 정책고문 발탁’ 보도에 머스크 “논의 없었어” https://v.daum.net/v/20240531200142980 YTN/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포로 150명 교환 https://v.daum.net/v/20240531195723857 채널A/엔비디아-TSMC, 中 보란 듯 야시장서 밀착 과시 https://v.daum.net/v/20240531195542832 YTN/독일 "우크라, 독일 제공 무기로 러시아 공격 가능“ https://v.daum.net/v/20240531194502587 채널A/트럼프, 유죄 판결 받고도 대통령 되나? https://v.daum.net/v/20240531190749687 한국일보/라이칭더 취임 후 미중 국방 첫 만남... 미국 "대만 도발 멈춰라" 중국 "간섭 말라“ https://v.daum.net/v/20240531193030242 SBS/'마약 카르텔' 경쟁에 선거 후보자들 피살?…첫 여성 대통령 탄생 앞둔 멕시코의 '선거 폭력' 왜? https://v.daum.net/v/20240531191813954 파이낸셜뉴스/中 부동산 위기 '시발점' 헝다, 또 8000억원대 벌금 https://v.daum.net/v/20240531190447623 MBC/라이시 시신 테헤란 도착‥오늘 대규모 추도식 서울신문/북유럽 3국 이어 네덜란드 韓 등 국제입양 중단 YTN/"2.7조 돈 못 내" 반발한 애플...소송 향한다 조선일보/한미 외교·안보 전문가 “트럼프 재집권시 동맹 약화·고립주의 노선 심화” JTBC/인도 47.4도 '살인 폭염'...저수지 '증발' 물도 없다 뉴시스/뉴질랜드, 기준금리 5.5% 동결…"인하 개시 내년 3분기로 연기" 조선일보/“하늘서 야구공만 한 게 떨어졌다”…美 콜로라도, 우박으로 초토화 뉴스1/"이란 대통령 헬기 이륙 45분 뒤 실종…처음 이륙 땐 날씨 좋아" 뉴스1/영국 인공지능 관련 직군 채용 3배 이상 빠르게 증가 SBS/"'AI 목소리'에 친구도 속았다" 분노한 스칼렛 요한슨…투명성 뒷전인 주요 AI 모델들 YTN/현직 대통령 잃은 이란...충격에 빠진 현지 상황 YTN/'헬기 추락' 이란 대통령 사망...중동 정세 영향은? 파이낸셜뉴스/모건스탠리 “일본, 7월 기준금리 인상 나설 것” MBN/대규모 귀뚜라미 등장 뉴시스/이란 라이시 대통령 사망… 5일간 국가 애도 기간 선포 YTN/외교부, 해외 위난 상황 발생 시 '신속대응팀' 파견 MBN/멕시코 누디즘데이 머니투데이/월가 마지막 약세론자 중 한 명, 강세장에 굴복…고점 신호일까 뉴스1/나스닥 사상 최고-이더리움 17%↑ 美자본시장 일제 랠리 이데일리/‘라이시 대통령 사망’ 이란, 혼란 속 다음달 후임 보궐선거 조선일보/대만 위상 바꾼 ‘차이잉원 8년’ 중앙일보/“이란 대통령, 최고지도자에 대한 비판 대신 받는 희생양” 머니투데이/맥도널드 먹고 4인가족 10만원?...美고물가에 소비패턴 바뀐다 연합뉴스/트럼프 2기 정책은?…"보수 싱크탱크·인사간 주도권 경쟁 치열" 국민일보/“편두통 환자, 날씨 확인하세요”… 기후변화가 증세 악화? YTN/미 국방 "우크라 전황 향후 몇 주·몇 달 중요...결기있게 행동" YTN/밤하늘 밝힌 찰나의 아름다움..."지구 상공 날던 혜성 파편" 뉴시스/美국방 "우크라 전쟁, 향후 몇주가 매우 중요…지원 계속" 연합뉴스/'피격' 슬로바키아 총리 상태 안정…"의사와 대화" YTN/국제사회 애도 이어져...악천후·노후 헬기 원인 가능성 뉴스1/"푸틴의 하얼빈 방문, 옛 소련 위상 되찾으려는 야망 담겨" 아시아경제/대만서 여야 국회의원 집단 난투극…6명 병원으로 실려가 뉴시스/러시아군, 하르키우에 유도폭탄 공격 31명 사상…"10km 영내 진격" 연합뉴스TV/푸틴 "하르키우 장악계획 없다"…美, 3년만의 폭발없는 핵실험 세계일보/中 내수 진작책에도 소매판매 기대 이하… 경기부양용 초장기 특별국채 발행 개시도 경향신문/대만 의원들, 쟁점법안 두고 국회에서 난투극···6명 부상 한국경제/'30년 쌓인 적자만 17조'…"더는 못 버틴다" 너무 늦은 철수 오마이뉴스/유일한 생존 여성 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를 만나다 뉴시스/이스라엘, 레바논 동남부 공격 최소한 5명 살해 뉴시스/'오월의 희망' 꿈꿨던 학생 희생자들…기념식장 눈물뚝뚝 머니투데이/세심한 조태열, 미국 블링컨과 통화…중국 방문 결과 공유 뉴시스/美 가자 임시항구 가동…구호품 실은 첫 트럭 진입 한국경제/천하의 '푸틴'도 "못 참고 먹어버렸다"…극찬한 중국 음식은? 연합뉴스/EU, MS에 "27일까지 생성AI 위험 정보 제공하라" 뉴스1/휴 그랜트도 1억원 기부한 英 자선가…알고보니 미담 조작 '파파괴' 뉴시스/미국, 팬데믹 직후의 자건거 구입붐 사라져…지난해 410만대로 ↓ 연합뉴스/교황, 교회개혁 반대하는 美보수파에 "자살적 태도" 연합뉴스/남아공 붕괴 건물서 구조·수색 종료…사망 33명 국민일보/푸틴 “시진핑과 ‘올림픽 휴전’ 논의했다” 서울경제/中, 부동산 문제 해결 공동 TF 가동···안간힘에도 더딘 경기 회복 조선비즈/‘시스루 옷’ 입은 김정은 딸… “北에선 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