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스케키 장수·우물물·뽐뿌물… 더워지니 더 그립네
"달고나 하드나 아이스케키~"
희미하게 장단도 있고 미약하나마 운율도 있던 '아이스케키'장수의 목소리가 여름날이면 골목을 가득 메우며 지나가곤 했다. 얼음을 채운 통에 왕소금을 뿌리고 그 가운데 통을 박아 아이스크림을 담은, 이를테면 즉석 아이스크림 공장을 싣고 다니던 리어카 장수가 있었는가 하면 초등학교 고학년쯤 되는 사내아이들이 '케키통'을 메고 다니며 아이스케키를 팔기도 했다.
아이스케키는 보통 얼음공장 같은 데서 만들었는데, 색소와 감미료를 섞어서 얼린 게 전부였다. 그렇게 꽝꽝 얼린 아이스케키를 스티로폼패널로 보온을 하고 뚜껑을 단 나무통에 넣어 굵은 멜빵을 달아 메고 다녔는데, 케키통을 멘 녀석은 집안 사정이 어땠거나 간에 약간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황홀'이란 단어 말고는 아이스케키나 아이스크림의 맛을 표현할 길이 막막한 아이들은 덥고 더운 여름날 그 보물통 같은 케키통을 메고 가는 아이가 부럽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팔고 남은 케키라도 얻어 먹을 수 있는 경우는 흔치 않았다.
'케키'란 말은 일종의 속어다. '케이크'가 줄어들어 '케키'가 됐는데 빙과류를 통칭해 케키라고 불렀다. '하드(hard)'는 영어로 '딱딱하다'는 말인데 '하드 아이스케키'는 생각보다 부드러웠다. '하드 시절'이 지나고 나서야 진정한 '아이스크림 시대'가 되는데, 상술은 그때 아이스크림에 '쏘프트'라는 왕관을 씌워준다.
그 무렵 '아이스케키'라는 놀이가 생겨났는데, 사내아이들이 소녀의 치맛자락을 들쳐 올리며 "아이스케키"라고 소리를 질렀다. "아이스케키처럼 시원하지?"라며 골리는 놀이. 부끄러운 나머지 그 자리에 주저앉아 우는 소녀도 있었지만 억센 아이들은 오히려 그 사내놈을 쫓아가 바지를 내려버리기도 했다.
카혼 연주자처럼 케키통을 깔고 앉은 소년이 꼬깃꼬깃한 돈을 헤아리고 있다. 땟국물이 흐르는 꾀죄죄한 모습을 보면 얼마나 힘들게 동네를 돌아다녔는지가 눈에 선하다. 아이스케키 하나 꺼내 먹고 싶지만 학용품을 사야 해서 그럴 수도 없다. 달콤한 아이스케키의 유혹을 물리치려고 동네 우물가로 가서 물을 한 바가지 떠먹는다.
우물물은 겨울엔 따뜻했고 여름엔 시원했다. 유난히 차가워 발을 담그고 있기 힘든 우물물도 있었다. 그런 우물은 여름철엔 냉장고 역할을 톡톡히 했다. 시원하게 먹으려고 막걸리나 수박을 두레박에 담아 우물물 속에 넣어두기도 했다. 한여름 남정네들이 우물가에서 상반신만 벗고 엎드려 물을 끼얹던 '등목'은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그런 우물이 보다 편리한 '뽐뿌'로 바뀌기 시작했다. '뽐뿌'는 '펌프'의 일본식 발음이었다. 기존에 있던 우물에 뚜껑을 덮고 펌프를 박은 집도 있었지만 대부분 간편하게 시멘트로 수채를 만들고 그 옆에 물을 퍼올리는 펌프를 설치했다. 펌프는 뚜껑이 달아난 주전자처럼 생겼는데 주전자 주둥이 같은 물 나오는 홈통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었다. 머리 위쪽으로는 피스톤과 연결된 쇠막대기가 올라와 있고 그걸 붙잡고 있는 손잡이가 고양이의 긴 꼬리처럼 달려 있었다. 그 손잡이를 아래로 누르면 땅속의 물이 바깥으로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처음에는 '마중물'이라고 해서 한 바가지의 물을 펌프에 먼저 넣어줘야 했다. 마중물을 안 넣고 펌프질을 하면 쉭쉭 하며 풀무 밟는 소리만 나고 물이 안 딸려 올라왔다. 그러나 마중물을 넣어주고 펌프질을 하면 땅속 깊이 묻혀 있던 물이 끈끈하게 묻어서 이내 올라왔다. 그래서 펌프 옆에는 늘 물통을 하나 놓아두어 마중물을 마련해 두었다. 손잡이만 눌러주면 물이 콸콸 쏟아지니 두레박을 던져서 물을 길어 올려야 하는 우물보다는 수고로움이 훨씬 덜했다. 케키통 소년이 멱감던 '뽐뿌'도 다 사라지고 이제 집집마다 수도가 놓였다. 마중물이 좋아라 하며 내려가 새 물과 손잡던 그 기쁜 촉감이 그립다.
출처 : 조선일보 2014.05.24
| | |
첫댓글 그땐 그랬지! ㅋㅋ 아련한 추억의 장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