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금 혹은 김 金
김씨 성은 금속을 만들수 있게 되면서 만들어졌다고 본다.
신라에서는 4세기 부터 김씨 일가의 강력한 왕권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금관을 비롯한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금을 재료로 한 다양한 물건을 만들면서부터 왕권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그전에도 김씨는 있었지만 이때부터가 본격적으로 세습체제를 굳히면서 부터이다.
더 위로는 스키타이 그리고 흉노와 선비의 피가 섞인 신라지배층.
중앙아시아의 여러나라들의 무리 단군연합체가 붕괴되면서 각자의 길로 갈때부터 스키타이도 그 중 하나의 일파
아직도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국가에서는 매년 세계단군축제가 벌어진다. 우리도 축제에 참여해야 한다고 본다.
나도 경주 김씨(숭의공파 신라마지막임금 경순왕의 자손)로 흉노 태양,하늘의 자손이다.^^
좋은 이름인데 흉할 흉이 먼저 생각나서 그럴까?
shun 영어의 sun 그리고 크다는 의미 하늘을 뜻하기도 하지.
쇠+믈 -->쇠므르:thermur-->티무르 쇳물로 철 혹은 금속을 만들지.
ther 때려 쇠는 불에 불려 때려야 단단해진다. 철의 어원은 때려
쇳물의 변한 형태가 티무르이다.다양한 형태의 금속주형이 가능하다는 말.
라틴어로 철을 뜻하는 fer의 형태도 쇠의 변형음이다.쇠는 고대발음으로 쇠흐 혹은 쇠르 이와 비슷할 것이다.
ㅅ-->ㅎ-->ㅍ 언어학적 음운론으로 설명이 된다.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오랑캐 이 夷 도 鐵 銕 쇠 철과 한자 상고음 발음이 같다.동이족이 먼저 철을 제작하여 사용했다는 말이다.
짱깨의 음모가 보인다.역사서에 일부러 의도적으로 숨기려 한 것이다.난 그걸 알아버렸어욤.^^
알랑가몰라 왜 화끈해야하는지 알랑가몰라 뛰라뛰라띠띠띠~싸이음악은 역시 신나~*,,*a
띠애르-->톄르-->텰--->철
톄르-->ther-->쇠르-->쇠
카자흐어 темір 톄므르
우즈벡어 temir
터키어 demir
몽골어 төмөр
일본어 테쯔
중국어 북경 티에 3성
에스토니아어 raud
헝가리어 vas
핀란드어 rauta
인도네시아어 besi
라틴어 Ferrum
루마니아어 fier
그리스어 σίδερο(sídero)
독일어 Eisen
네덜란드어 ijzer
덴마크어 Jern j는 z발음과 호환
스웨덴어 järn
스페인어 hierro===> ferro와 호환 ㅅ<-->ㅎ<---->ㅍ
크로아티아어 željezo
러시아어 железо
언어학적으로 볼때 로마보다 쇠가 먼저 전파된 것 같다.
벵골어(방글라데시어)লোহা (Lōhā)
힌디어 लोहा(loha) r이 ㅎ 발음나니 원래 h에서 r로 변형된 형태 영어 iron은 이렇게 태어났다.
타밀어 இரும்பு(Irumpu) m<--->n 호환 irun-
펀자브어 ਆਇਰਨ (Ā'irana)
어원학자이자 고고학학자님 말씀
중국넘들이 이야기하는 동이족이 가장 먼저 쇠를 제련하고, 가공하엿기에 쇠=철의 어원에서도 극명히 드러나고 있다 하겠다.
사실, 우리는 동쪽의 오랑캐로 불리우는 '동이족'이 아니며, 태양족, 머리족이었다. 그런데 장깨넘들이 기원전 약 5세기-3세기에 이르러 우리를 '동이족'으로 몰아 아 예 서쪽인 유럽과 아프리카 문명을 개창한 기록을 일체 지우기 시작하였으며 세월이 흘러 지금까지 우린 '동이족'으로 매도되어 지금까지 환인의 흔적, 환웅의 웅비한 문명, 고조선을 찾지 못하게 하였던 것이다.
'동이족'이란 호칭은 하지 마세여. 우리가 그렇게 부르는 것 부터가 우리를 축소 시키고 짱깨넘의 역사왜곡의 수작에 넘어가는 것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 보면, 카자흐어 тем?р 톄므르에서 "머리의 어머니 아버지"이며,우즈벡어 temir 에서 "머리의 우두머리"이며, 터키어 demir에서 역시 "머리의 우두머리"이며,몽골어 т?м?р에서 "머리의 어머니 아버지"이고, 에스토니아어 raud는 "태양의 머리"이며, 헝가리어 vas는 "위대한 아버지"이고, 인도네시아어 besi 는 "위대한 아버지"이며, 라틴어 Ferrum은 "광명의 어머니"영어 iron은 "태양의 사람들"이고,타밀어의 irun-은 "태양의 사람들"이고,te(테), ta(타, )tu(투), ti(티), 다, 두, 디, 데, 도 모두 "머리입니다. 이 '머리는 세계 공통어입니다.
펀잡어의 ?'irana 도 역시 "태양의 사람들"이었다. kan(칸)을 khania(카니아)로 부른 형식과 같다. 자 그러면 공통적인 것이 무엇인가? 머리족, 아버지, 태양족,이 공통으로 나오지요. 즉, 머리족이며 태양족이며 아버지라 불리웠던 환웅시대에 철을 가공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 영어의 iron에서 ro(로)는 태양의 별칭인 '라(ra, la)에서 변형된 것이며 마지막의 n은 복수로 사람들이 된다.
신라는 실라로서 '수리'에서 그 어원이 변형되었는데, 슬로(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0, 슬리, 슬레, 실라, 실리, 실루, 실로등으로 나타납니다. 이란의 모 학자는 고대 신라는 '보실라'라고 하엿다고 합니다. "아버지 태양"이 됩니다.
영어어원사전을 참조하면
Middle English iron, iren, yron, from Old English iren, variant (with rhotacism of -s-) of isen, later form of isern, isærn "the metal iron; an iron weapon or instrument," from Proto-Germanic *isarnan (cognates: Old Saxon isarn, Old Frisian isern, Old Norse isarn, Middle Dutch iser, Old High German isarn, German Eisen).
This probably is an early borrowing of Celtic *isarnon (compare Old Irish iarn, Welsh haiarn), which Watkins suggests is from PIE *is-(e)ro- "powerful, holy," from PIE *eis "strong" (cognates: Sanskrit isirah "vigorous, strong," Greek ieros "strong"), on the notion of "holy metal" or "strong metal" (in contrast to softer bronze).
It was both an adjective and a noun in Old English, but in form it is an adjective. The alternative isen survived into early Middle English as izen. In southern England the Middle English word tended to be ire, yre, with loss of -n, perhaps regarded as an inflection; in the north and Scotland, however, the word tended to be contracted to irn, yrn, still detectable in dialect.
Right so as whil that Iren is hoot men sholden smyte. [Chaucer, c. 1386]
Chemical symbol Fe is from the Latin word for the metal, ferrum (see ferro-). Meaning "metal device used to press or smooth clothes" is from 1610s. Meaning "golf club with an iron head, 1842. To have (too) many irons in the fire "to be doing too much at once" is from 1540s. Iron lung "artificial respiration tank" is from 1932. The iron crown was that of the ancient kings of Lombardy, with a thin band of iron in the gold, said to have been forged from a nail of Christ's Cross. Iron horse "railroad locomotive" is from an 1839 poem. Iron maiden, instrument of torture, is from 1837 (probably translating German eiserne jungfrau). The unidentified French political prisoner known as the man in the iron mask died in the Bastille in 1703.
첫댓글 그렇군요.
글씨체를 기본으로 하시기가 어렵나요?
너무 굵으니 보기좋긴한데, 독자들이 부담스러워할수도 있겠네요.
제게는 참 고마운 정보네요.
출처를 알수있을까요?
수정했습니다.출처는 제 머리 자료조사 ^^물론 조합+제 생각 제 블로그에 가시면 여러 글들이 있습니다.인터넷 돌아보면 카페에나 블로그 제 글 많이 떠돌아 다녀요.여러 카페에 글 올리고 있습니다.대략 10개이상의 카페~
무슨일을 하시는지 여쭈어도될까요^^
관심 많은 독자입니다~
@하노이가이드 학원 수학강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