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 | 2012 | 순위 | 국가 | 2013 |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
| 총계 | 16,487 | 100 |
| 총계 | 155,935 | 100 | |
1 | 태국 | 9,508 | 57.6 | 1 | 중국 | 113,457 | 72.8 | |
2 | 중국 | 3,901 | 23.6 | 2 | 태국 | 39,486 | 25.3 | |
3 | 뉴질랜드 | 1,764 | 10.6 | 3 | 뉴질랜드 | 1,505 | 1 | |
4 | 인도네시아 | 551 | 3.3 | 4 | 싱가포르 | 610 | 0.4 | |
5 | 미얀마 | 236 | 1.43 | 5 | 한국 | 439 | 0.3 | |
6 | 인도 | 177 | 1.07 | 6 | 이스라엘 | 210 | 0.1 | |
7 | 미국 | 127 | 0.7 | 7 | 호주 | 173 | 0.1 | |
8 | 호주 | 118 | 0.7 | 8 | 인도네시아 | 30 | 0 | |
9 | 프랑스 | 50 | 0.3 | 9 | 인도 | 10 | 0 | |
10 | 칠레 | 19 | 0.1 | 10 | 미국 | 9 | 0 |
자료원: Customs Year Book 2010, 2011, 2012
2013, 2014년 1~2월 베트남 상위 수입과일
(단위: 천 달러, %)
과일명 | 2013년 1~2월 | 2014년 1~2월 | 증가율 |
총계 | 25,206,813 | 30,928,562 | 22.7 |
사과 | 5,472,165 | 6,889,167 | 25.9 |
포도 | 4,016,171 | 6,721,928 | 67.4 |
망고스틴 | 5,018,280 | 5,428,180 | 8.2 |
오렌지 | 1,737,388 | 3,141,449 | 80.8 |
감귤 | 3,906,924 | 3,137,760 | -19.7 |
체리 | 766,451 | 1,651,490 | 115.5 |
배 | 1,462,871 | 1,246,742 | -14.8 |
망고 | 798,067 | 701,114 | -12.1 |
자두 | 246,833 | 394,192 | 59.7 |
자료원: http://rigonfruit.vn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관세율
HS Code | Item Description | MFN | ATIGA | ACFTA | AKFTA |
0810 | Curtain (including drapes) and interior blinds, curtains or bed valances |
|
|
|
|
0810.10.00 | Strawberries | 15 | 5 | 0 | 5 |
08100.20.00 | Blackberries, mulberries | 15 | 5 | 0 | 5 |
0810.40.00 | Scanberries, bilberries and other fruits of the genus vaccinium | 15 | 5 | 0 | 5 |
0810.50.00 | Kiwifruit | 7 | 5 | 0 | 5 |
0810.60.00 | Durians | 30 | 5 | 0 | 15 |
0810.70.00 | Persimmons | 25 | 5 | 0 | 15 |
0810.90 | Other |
|
|
|
|
0810.90.10 | Longans (including mata kucing) | 25 | 5 | 0 | 15 |
0810.90.20 | Lychees | 30 | 5 | 0 | 15 |
0810.90.30 | Rambutan | 25 | 5 | 0 | 15 |
| Other | 25 | 5 | 0 | 15 |
주: MFN-최혜국 대우관세, ATIGA-아세안 물품무역협정, ACFTA-중국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AKFTA- 한국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자료원: Customs Year Book 2010, 2011, 2012
○ 베트남은 HS코드 0810 해당 품목에 대해 부가가치세(VAT) 5%를 적용함.
□ 주요 유통채널
○ 수입과일
- 현재 베트남의 대표적인 과일 수입업체는 약 10곳에 이르며, 호치민에 위치한 주요 수입업체는 총 5곳으로 이 중 확인된 대형 수입업체는 다음과 같음.
(1) FSF Co., Ltd (http://fsf.com.vn)
(2) Fruits and Green Co., Ltd(http://www.fruitsandgreens.com)
- Fruit and Green사의 시장점유율은 40%로 집계됨.
- 또한 FSF사 대표 관계자는 과일을 수입하기 전, 수입국의 해당 과일 재배지로 본사 담당자를 파견해 과일재배환경 및 수확 후 과일가공, 보존규정을 검사한다고 전함.
- 베트남에 수입된 과일은 냉장고 및 저장고에 보관해 거래상들에게 유통함.
- FSF사는 수입한 과일의 대략 95%는 Metro, Big C와 같은 대형 슈퍼마켓 및 재래시장인 ‘Ben Thanh’ 시장의 과일 가판점, 식당, 호텔 등으로 도매 판매하고 나머지 5%는 소매 판매함.
○ 현지 재배 과일
- 현지 재배 과일은 수확 후 도매상점, 슈퍼마켓, 거래상들을 통해 1차 유통됨.
- 이후 거래상, 행상인, 과일상점으로 2차 유통
- 현지 소비자들은 수입산 과일의 경우 원산지 확인을 위해 슈퍼마켓에서 구매하기도 하며, 현지재배 과일의 경우에는 전통시장에 가거나 행상인으로부터 구매함.
3. 경쟁동향
□ 경쟁 제품
제품 | 사진 | 가격(소비자가격) | 원산지(수출국) |
체리 | VND 549,000 | 미국 | |
오렌지 |
| VND 159,000 | 미국 |
블루베리 | VND 2,792,000 | 호주 | |
딸기 | VND 1,196,000 | 호주 | |
사과 | | VND 249,000 | 캐나다 |
단감 | VND 499,000 | 뉴질랜드 | |
키위 | VND 300,000 | 뉴질랜드 | |
배 | | VND 105,000 | 한국 |
포도 | VND 200,000 | 한국 | |
망고 | VND 40,000 | 태국 | |
잭프루트 | | VND 18,000 | 태국 |
포도 | VND 70,000 | 중국 | |
람부탄 | VND 10,000 | 베트남 |
주: 1USD=21,100VND
자료원: http://www.kleverfruits.com.vn
○ 현지 소비자에 따르면 현지재배 과일을 구매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 때문
- 제철 과일의 경우, 과일 가격은 다른 과일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함.
- 반면, 현지 재배 과일의 경우 품질이 뛰어나지 못한데 이는 보관 기술력이 열악해 수확 후 보관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
- 이는 수입산 과일에 비해 현지 재배 과일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이유
- 또한 수확한 과일을 운송하는 비용이 높아 수입과일보다 판매가격이 높아짐.
- 수입산 과일과의 경쟁에서 베트남 현지 재배 과일의 시장점유율은 고급 과일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점점 낮아짐.
- 최근 몇 년간 베트남 시장에서 저렴한 가격에 뛰어난 맛을 자랑하는 태국산 과일이 선호되는 추세.
- 현지 소비자들은 태국산 람부탄, 망고, 망고스틴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블루베리, 키위, 사과, 감, 배 등은 고급 과일에 속하며 이들 대부분은 품질과 외형이 뛰어난 미국, 호주, 남아프리카, 한국, 칠레, 캐나다산임.
- 과일 거래상 대부분이 한국산 배는 풍부한 당도와 우수한 맛으로 현지 소비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고 함.
- 반면, 품질 면에서 일본산 배와 크게 다른 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더 높음.
○ 베트남에서 유명한 수입산 과일 브랜드는 다음과 같음
- 뉴질랜드: Fuji 사과, Envy 사과, Sungold 키위, Ambrosia 사과, Queen 사과
- 남아프리카: Forelle 배
- 미국: Navel 오렌지, Thomcord 포도
- 호주: Nashi 배, Corella 배
|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