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과 위치가 틀어진 보령 수상 태양광: 최근 사진(참고 https://blog.naver.com/cpa54/223236089573)
댐지역 수상 태양광 폭설 강풍에 육지와 충돌 심해져
수위 변동폭 증가로 도입 계류장치 기능 상실
안정성 상실후 부체파손 시 침몰
1.서론
수상 태양광은 구조물이기에 폭설이 동반하는 강풍으로 흔들리면 위태로워진다. 배가 아니라 구조물이기에 강한 동요가 지속되면 연결부분이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상태양광은 고박을 위해 100여군데 묶어 고정한지라 서로 상이한 힘을 받게 된다. 폭설 강풍시 수상 태양광이 받는 외력이 특별한 이유는 적설로 이해서 무게중심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 동요는 극심해짐과 동시에 이합집산하여서 구조물 취약부에 집중되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2.본론
이런 경우 수위변화로 계류가 엉키거나 늘어지기라도 한다면 부유 시설은 위치 이탈하고 수중 바닥에 위치한 송전선로는 고르지못한 바닥면으로 인해서 강한 장력을 받고 단선된다. 이런 상황에서 발전량 감소가 급속히 진행되고 동요가 심할수록 붕괴위험에 노출되고 피로도는 누적된다. 기존 수상태양광에 적용한 계류장치가 수변 환경변에 대응하지 못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면 위험 상황을 방조하거나 대론 더욱가속시키기도 하는데 이때 각 구조물 week points 가 응력 집중으로 와해의 시발점으로 부상한다. 일부 해안가에 위치한 수심 낮은 곳은 안전장치 미비로 더욱 위험하다. 폭설 강풍이 불면 단시간 내에 풍압을 집중해서 받기 때문이다. 허술한 고박상태로 방치된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강한 외력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 있게 되는데 방치하면 부분 파손이나 침몰이 일어나기도 한다.
평소 상황도 다르지 않다. 구조물은 피로도가 지속적으로 쌓이다가 보수가 늦어지면 한계상황을 맞는데 폭설 강픙으로 인해 약한 외력에도 와해가 촉발된다. 계류장치 문제로 인해서 피로도 누적으로 인한 와해증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하게 표출된다. 보령댐 이원호 새만금 실증단지을 포함한 다수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 동요 문제를 좌시하다간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된다.
3.결론
수상 안전을 갖기 위한 노력을 결코 운이 대신 하여주지 않는다. 수변의 악조건은 구조물의 취약성을 여지없이 노출시키기 때문에 대비가 않되있거나 위험신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와해는 시간문제이다. 뚜렷한 대비책이 없이 과거의 운에 사로잡혀서 안위한다면 침몰의 순간을 목도해야 할 것이다. 우선 해결책은 이러하다. '독보적인 계류장치와 경량화된 구조유닛, 그리고 수중 송전 인프라 기술의 체계화'가 되어야만 안정한 발전시설로 수상 태양광은 거듭날 수 있다.
내가 여기에 다시 고구려 을지문덕 장군이 수나라 우중문에게 주는 시를 적음이 의미가 있기를 바란다.
神策究天文(신책구천문)
妙算窮地理(묘산궁지리)
戰勝功旣高(전승공기고)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
수상 태양광산업이 강소국가 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데 일조하길 바라며 나의 글을 맺는다.
한국수자원공사 워크숍 합천 수상태양광 운영관리 1년, 과제와 개선 방향, 8분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_YLdzYwykic
K-water 에너지 워크숍 Vlog 18분 31분
https://www.youtube.com/watch?v=t2urpesJzzM
보수후에도 위치이탈과 방향 불일치한 보령댐 수상 태양광 11월 모습 : 보유 기술의 한계 노출(참고 https://blog.naver.com/sooapa/223268930086)
정남향과 일치하지 않고 시설물 간 방향 틀어진채 준공한 소양강댐 수상 태양광(참고 한국동서발전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iamewp/223261107487)
방향이 틀어진채로 가동중인 합천 수상 태양광: 준공 당시 사진
방향이 틀어진채로 가동중인 합천 수상 태양광: 준공 당시 사진(출처 환경부)
방위각과 경사도에 따른 일사량(전기생산량) 비교표, 출처: 서울특별시 에너지정보-햇빛지도
당진 대호호 수상 태양광: 동서발전 제공
새만금 수상 태양광 실증 단지 경사각을 낮춤으로써 조류오염을 심화시키고 있는 모습
#별첨
혁신기술 '복원력 계류장치'
복원력 계류장치 적용한 수상 태양광 전경
아이앤아이월드 독보적 '복원력 계류장치'로 고박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아이앤아이월드 수상 태양광 개념도
[아이앤아이월드 수상 태양광 발전 특징]
(1)무축 회전식은 축이 없기 때문에 축공사비 절감
(2)축과 구조물간의 충돌이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 장점
(3)태풍이 오는 경우, 복원력 계류 시스템으로 고정하여 강한 바람에도 안전
(4)복원력 계류시설을 이용하여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면 홍수로 인한 부유물로부터 발전시설 보호 가능
(5)복원력 계류장치를 활용하여 소파제 설치하면 파도 필터링 기능 제공
(6)무축 회전식은 축공사가 불필요하여서 "파일공사"로 인한 담수의 '누수현상' ‘파이핑(Piping) 현상'을 방지
(7)복원력 계류장치는 저수지 바닥면 암반의 균열에 의한 "제방·사면 균열, 침하" 등 붕괴위험 문제 사전 차단 가능
1.[근거논문-국내 학술논문 발표 자료]: The Pivotless Tracking 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nd the Collected Data Analysis
Hongsub Jee1) ․ Minwoo Kim2) ․ Jaesung Bae1) ․ Jeongho Jeong1) ․ Jaehyeong Lee1)* 1)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2)INIworld Co., Ltd. Suwon, 16417, Korea
Received November 23, 2021; Revised December 16, 2021; Accepted December 16, 2021
3).URLhttps://journal.kpvs.or.kr/articles/pdf/d28a/cpr-2021-009-04-4.pdf
2.[근거논문-외국 학술논문 발표 자료]: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ivotless Tracking and Fixed-Type Floating Solar Power Systems
by Hongsub Jee 1,Yohan Noh 1,Minwoo Kim 2 andJaehyeong Lee 1,*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Republic of
Korea
2). INIworld Co., Ltd., Suwon 16417, Republic of Korea*
Author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Appl. Sci. 2022, 12(24), 12926; https://doi.org/10.3390/app122412926
Received: 13 November 2022 / Revised: 8 December 2022 / Accepted: 15 December 2022 / Published: 16 December 2022
3).URLhttps://www.mdpi.com/2076-3417/12/24/12926
아이앤아이월드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