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노컷뉴스 박종환 기자]

흑산도 인근 바다를 지나던 세월호의 항적(航跡)이 갑자기 사라진 것으로 드러나 이 때부터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이 시각은 세월호가 갑자기 왼쪽으로 기울어지기 두 시간 반 전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0일 해양수산부가 공개한 세월호의 항적도 자료를 보면, 침몰 사고 당일인 지난달 16일 새벽 6시 11분 57~16분 57초까지 5분간 세월호의 항적도에서 AIS(선박자동식별시스템) 신호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는 5분 동안 전남 신안군 흑산도 북북동쪽 약 35.6㎞ 지점(북위 34° 58' 35", 동경 125° 37' 6")에서 흑산도 북북동쪽 약 32.6㎞ 지점(북위 34° 56' 56", 동경 125° 36' 40")까지 3.126㎞를 이동했다.
이는 세월호가 낼 수 있는 최고 속도(39㎞)에 가까운 시속 36㎞ 이상의 속도로 운항한 것이다.
'이 때 이미 세월호 침몰의 원인이 될 만한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니냐'하는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따라서 이 시간대의 항적도에 대한 정밀복원과 공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당시 시간대에 정전보고는 없었다”며 “선박에서 보내는 AIS 시그널(신호)이 불안정했던가, 배에서 나오는 전파다 보니까 기지국에서 신호를 못 받았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선박에서 발신하는 AIS 신호는 섬과 연안에 설치된 총 42개의 기지국에서 수신된 뒤 중계소 역할을 하는 14개 운영국을 거쳐 '대전 정부통합전산센터'로 모아진다.

세월호는 앞서 새벽 3시 40분 40초~43분 28초(2분 48초간), 4시 5분 32초~8분 19초(2분 47초간)에도 항적도에서 AIS신호가 사라지는 기현상이 반복됐다.
8시 30분쯤 물살이 세기로 유명한 맹골수도(孟骨水道)를 시속 35㎞로 통과한 세월호는 8시 48분 정전과 함께 선박이 왼쪽으로 기운 뒤 동력을 잃고 조류에 떠밀려 북쪽으로 표류하다 침몰했다.
세월호는 또 평상시에도 신고된 항로를 크게 벗어난 채 운항한 정황이 포착됐다.
해수부가 공개한 4월 1일~16일 운항 자료를 보면 세월호는 제주에서 인천으로 가는 도중 태안반도 인근에서 육지쪽으로 정상항로를 크게 벗어난 채 운항한 사실이 확인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유는 모르지만 그렇게(직선으로) 운항한 것이 맞다”고 밝혀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흑산도 인근 바다를 지나던 세월호의 항적(航跡)이 갑자기 사라진 것으로 드러나 이 때부터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이 시각은 세월호가 갑자기 왼쪽으로 기울어지기 두 시간 반 전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0일 해양수산부가 공개한 세월호의 항적도 자료를 보면, 침몰 사고 당일인 지난달 16일 새벽 6시 11분 57~16분 57초까지 5분간 세월호의 항적도에서 AIS(선박자동식별시스템) 신호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는 5분 동안 전남 신안군 흑산도 북북동쪽 약 35.6㎞ 지점(북위 34° 58' 35", 동경 125° 37' 6")에서 흑산도 북북동쪽 약 32.6㎞ 지점(북위 34° 56' 56", 동경 125° 36' 40")까지 3.126㎞를 이동했다.
이는 세월호가 낼 수 있는 최고 속도(39㎞)에 가까운 시속 36㎞ 이상의 속도로 운항한 것이다.
'이 때 이미 세월호 침몰의 원인이 될 만한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니냐'하는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따라서 이 시간대의 항적도에 대한 정밀복원과 공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당시 시간대에 정전보고는 없었다”며 “선박에서 보내는 AIS 시그널(신호)이 불안정했던가, 배에서 나오는 전파다 보니까 기지국에서 신호를 못 받았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선박에서 발신하는 AIS 신호는 섬과 연안에 설치된 총 42개의 기지국에서 수신된 뒤 중계소 역할을 하는 14개 운영국을 거쳐 '대전 정부통합전산센터'로 모아진다.

세월호는 앞서 새벽 3시 40분 40초~43분 28초(2분 48초간), 4시 5분 32초~8분 19초(2분 47초간)에도 항적도에서 AIS신호가 사라지는 기현상이 반복됐다.
8시 30분쯤 물살이 세기로 유명한 맹골수도(孟骨水道)를 시속 35㎞로 통과한 세월호는 8시 48분 정전과 함께 선박이 왼쪽으로 기운 뒤 동력을 잃고 조류에 떠밀려 북쪽으로 표류하다 침몰했다.
세월호는 또 평상시에도 신고된 항로를 크게 벗어난 채 운항한 정황이 포착됐다.
해수부가 공개한 4월 1일~16일 운항 자료를 보면 세월호는 제주에서 인천으로 가는 도중 태안반도 인근에서 육지쪽으로 정상항로를 크게 벗어난 채 운항한 사실이 확인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유는 모르지만 그렇게(직선으로) 운항한 것이 맞다”고 밝혀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세월호의 ais 가 무려 4번이나 고장이 났습니다.
새벽 3시 40분 40초~43분 28초(2분 48초간), 4시 5분 32초~8분 19초(2분 47초간),6시 11분 57~16분 57(5분간)
이외에 8시48분부터 8시52분까지도 고장이 났었습니다.
과연 어떤일이 일어났던걸까요?
첫댓글 여러 새로운 정보....감사합니다.
위 마지막 기사는 처음 보는 내용이네요.
해수부에서 "“선박에서 보내는 AIS 시그널(신호)이 불안정했던가, 배에서 나오는 전파다 보니까 기지국에서 신호를 못 받았을 수 있다”고 해명한 부분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AIS신호는 중고장이 아닌 경우에는 신호 자체가 불안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상에서는 어떤 구조물이 아니라면 전파방해물이 없기때문에 육지에서보다 오히려 더 전달이 잘 됩니다.
저도 이건 주목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