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페타시스 (007660) 고다층 MLB 중심 Mix 개선세 지속 등에 따른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26억원(YoY +42%, QoQ +10%), 349억원(OPM 19%, YoY +105%, QoQ +5%)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는 고다층 MLB 중심의 Mix 개선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가 미/중 분쟁에 따른 반사 수혜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특히 고속 연산 AI Server용 N사향 고다층 MLB 물량이 확대되며 2023년 연간 예상 매출액 200억 수준, 기존 방산용 외에 데이터센터용 고다층 MLB 대응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는 I사향 등 북미 중심의 고객 다변화 및 Mix 개선이 향후 동사 실적에 지속 긍정적일 것으로 분석.
▷또한, 동사는 10월17일 신규시설투자 공시를 통해 410억원 규모의 고다층 MLB 투자를 발표했다며, 장비 조달 및 Set up 스케줄이 앞당겨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당 투자는 2023년 하반기부터 동사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4,000원[유지]
카카오페이 (377300) 2024년 영업이익 첫 흑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영업이익은 309억원(흑전 YoY)으로 설립 이래 최초 영업이익 흑자가 기대된다고 밝힘. 비우호적인 업황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서비스 경쟁력에 힘입어 지속적인 RTPV와 Paying MAU의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중장기적으로 대출 수요 증가, 주식시장 상승 등 금융 환경 턴어라운드 시 폭발적인 수익성 개선과 기업가치 상승이 전망.
▷한편,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04억원(+12.1%, YoY), 영업손실 18억원(적지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별도 영업이익은 705억원(+109.5% YoY)으로 견조하겠으나, 자본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자회사 증권의 실적 부진과 초기 비용 집행으로 인한 손해보험의 적자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40,000원[신규]
F&F (383220) 3분기 견조한 실적 전망 속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 연결매출 4,357억원(+32.5% YoY), 영업이익 1,329억원(+38.9% YoY)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1,240억원을 상회했을 것으로 전망. 브랜드별로는 디스커버리 브랜드 매출이 27% YoY 성장해 이전 분기 성장률을 유지했을 것으로 전망하며, MLB는 15% YoY, MLB kids는 28% YoY 성장했을 것으로 전망. 대부분의 브랜드가 출점 효과보단 기존점 성장에 기인한다고 분석.
▷특히, 해외 수출 매출이 2,092억원으로 56% YoY 성장했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 락다운 영향이 사라진 건 아니지만 타 중국 소비 수혜주와는 다르게 6월부터 빠르게 오프라인 매장에서 소비 회복세가 돋보였고, 9월 겨울시즌 오더가 3Q22 실적에 소폭 기여했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가 내수 기업이라고 치부하기엔 해외 이익 기여가 40% 이상으로 커졌고, 타 해외 소비 수혜주와 비교할 때 밸류에이션이 너무 낮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OCI (010060) 美 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 공장 증설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의 미국 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는 언론을 통해 C13텍사스주에 있는 태양광 모듈 공장 생산 능력을 210MW에서 1GW로 확장한다고 밝힘. 총 4,000만달러(약 570억원)를 투자해 기존 주거용 모듈 외 상업용 및 산업용 모듈로 제품군을 확대하며, 기존 제품 대비 고출력, 고효율 제품인 M10(18.2cmx18.2cm) 모듈을 생산할 예정. 올해 4분기부터 증설에 착수해 이르면 내년 말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이로써 미국 태양광 모듈 공장 생산 능력은 210㎿(메가와트)에서 1기가와트(GW)로 늘어나게 됨.
▷한편, 동사는 이번 증설을 시작으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미국 태양광 시장의 성장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짐.
위메이드 그룹주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 발행 소식에 급등
▷위메이드는 전일 언론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WEMIX$)'를 22일 발행했다고 밝힘. 생태계의 안정적인 규모를 파악하고 위믹스달러의 실제 수요에 대한 공급을 위해 1,100만 위믹스달러를 발행했으며, 이후 위믹스달러 발행량을 조절하면서 가격을 안정시키는 프로토콜인 디오스 프로토콜(DIOS protocol)에 의해 운용될 예정. 위믹스달러는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 생태계의 거래용 화폐로, 다양한 게임 토큰, NFT, 디 파이(DeFi) 등 모든 거래에 사용될 예정.
▷이와 관련,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위믹스달러는 안정성, 스테이블코인과 네이티브 코인의 재귀성, 규모의 확장성을 모두 갖춘 가장 혁신적인 스테이블코인"이라며,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와 네이티브 코인 위믹스를 글로벌 디지털 이코노미의 기축 통화로 만들 것"이라고 밝힘.
▷한편, 위메이드는 NFT와 DAO(탈중앙화 자율조직)를 결합한신경제 플랫폼 '나일(NILE)'을 연이어 선보일 계획임.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프롬바이오 (377220) 日 연구팀, 줄기세포를 이용한 모낭 오가노이드 개발 성공 소식 속 지방유래줄기세포 동결 보존제 관련 특허 보유 사실 부각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 산업과학기술 연구소의 후쿠다 준지 교수 연구팀이 두 가지 유형의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모낭 오가노이드(organoid)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연구팀은 "상호 작용하는 두 배아세포인 표피와 간엽 세포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온전한 모낭의 형태가 만들어졌다"며, "이 모낭 생성 기술이 남성과 여성에 흔히 나타나는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ic alopecia) 같은 탈모 질환의 새 치료법 개발의 길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지방유래줄기세포 동결 보존제 관련 특허를 등록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애드바이오텍 (179530) 축우 나노바디항체 실험서 긍정적인 효과 확인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내몽고대학에서 진행한 ‘축우 나노바디항체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8월부터 동물 수의학 전문 대학인 중국 내몽고 농업대학교 수의학원에서 나노바디항체 함유 제품 급여를 통한 송아지의 로타바이러스 방어 효과 실험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실험군의 로타바이러스 항체가가 대조군 대비 매우 증가하며 폐사율 역시 대조군 대비 80%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나노바디항체 함유 제품에 대한 실험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게 되돼 향후 제품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앞서 분양받은 남춘천산업단지에 내년 중순 예정된 나노바디항체 제품 생산 공장의 착공을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힘.
메드팩토 (235980) 前 모더나 대표 등 임상자문위원 위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그렉 리콜라이 전(前) 모더나 희귀질환 부문 대표 등 4명을 임상자문위원회(CAB·Clinical Advisory board)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힘. 리콜라이 박사는 글로벌 임상 시험기관 아이콘의 의료 및 혁신 최고책임자(CMIO)로 재직 중이며, 이외에도 존 레테리오 클리블랜드 메디컬센터 사이드만 암 센터 부소장, 현 배 시더스 시나이 의료센터 정형외과 교수, 아이작 김 예일대 의대 비뇨기과 과장이 CAB 위원으로 위촉됐음.
▷이와 관련 동사는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과 개발 중인 골질환 치료 관련 물질 개발을 위해 미국 바이오 및 임상 전문가로 CAB를 구성했으며, CAB는 회사의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과 임상 전략, 기술이전 파트너링 등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
이수앱지스 (086890) 애브서틴·파바갈 수출 기대감 속 내년 대규모 흑자전환 전망 등에 강세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대규모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 시작된 애브서틴/파바갈 수출 확대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이며, 대규모 해외 수출을 앞두고 매출원가율을 절감할 수 있는 설비로 교체가 종료되었다고 밝힘. 이에 20%P 매출원가율 하락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경북대와 공동개발을 통해 확보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ISU203 개발이 순항하고 있으며 비임상 준비를 마치고 2024년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의 내년 영업이익은 14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나 최근 동사의 시가총액은 2,000억이 채 되지 않는다며 내년 확실한 실적 턴어라운드를 바탕으로 조기에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루닛 (328130) 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과 '의료AI 솔루션 도입' 협약 체결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SEHA)과 AI 영상분석 솔루션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측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AI 영상분석 솔루션인 루닛 인사이트 제품의 기술 검증(PoC)을 진행하기로 협의했으며, 이를 위해 동사는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제공하고, SEHA는 운영 중인 의료기관에서 올해 연말까지 기술 검증을 추진할 예정.
▷서범석 대표는 "동사는 올해 3월 글로벌 생명공학기업인 로슈(Roche) 중동법인과 루닛 인사이트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중동시장에 본격 진출했다"며, "이번 SEHA와의 업무협약은 중동의료기관에 동사 제품을 공급하고, 중동 지역 공공의료 서비스를 혁신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中 중윤의료과기유한공사와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중윤의료과기유한공사와 척추 임플란트등 의료기기 현지 판매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에는 중국 내 척추 임플란트 시장에서 연매출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양사간 라이선스 아웃(License-out), 주문자 상표에 의한 제품 생산자(OEM) 등 다양한 사업 방식을 도입키로 했으며, 양사는 향후 6개월간 중국 내 제품 인·허가 등 충분한 협의를 거쳐 빠르면 내년 4월경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
▷박근주 대표는 "중국은 의료기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 의존도도 높아 우리 회사에 새로운 기회 요인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미국뿐 아니라 중국 내 현지화 정책 적극 추진 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글로벌 척추 임플란트 메이저 기업으로 도약해 갈 것"이라고 밝힘.
젬백스 (082270) 알츠하이머 치료제 폴란드 IND 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가 지난 13일 스페인에서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으며, 20일 폴란드에서도 승인됐다고 밝힘. 최근 동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의 글로벌 임상시험의 확대 계획을 밝혔으며, 미국에서 허가받은 프로토콜(임상시험계획서)을 적용해 유럽 7개국에서도 동시에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짐. 지난 6일 미국에서 첫 환자 등록과 함께 2상 임상시험이 본격 개시됐으며, 유럽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핀란드에서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진행중임.
파마리서치 (214450)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매출액을 1,946억원(+26.3% YoY, 이하 YoY 생략), 영업이익을 700억원(+33.3%, OPM 36.0%)으로 추정. 이는 리쥬란 판매 호조 지속 때문이며 수익성 좋은 리쥬란HB 침투 가속화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저점에 머물러있다며 본업에서의 견고한 성장과 더불어 리엔톡스 국내 품목허가에 따른 실적 업사이드까지 감안 시 현 주가에서의 투자 매력은 충분하다고 판단.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86,000원[신규]
HK이노엔 (195940) 꾸준한 실적 성장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안정적인 케이캡의 국내 매출 성장, 본격화되는 케이캡의 글로벌 진출, 수익성 개선이 전망되는 수액제와 HB&B 사업부를 기반으로 올해를 비롯해 23년, 24년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케이캡의 매출액은 22년 1,022억원(+30.2% YoY), 23년 1,341억원(+31.2% YoY)으로 전망.
▷이와 관련, 이미 블록버스터로 자리잡았음에도 추가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유는 P-CAB 제제의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여력은 여전하고, 케이캡의 타 소화성궤양용제 대비 장점은 분명하며, 케이캡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연결기준 3Q22 매출액은 2,004억원(+6.2%YoY, -20.4%QoQ), 영업이익 192억원(+12.3%YoY,+8.5%QoQ)으로 컨센서스 매출액 2,079억원, 영업이익 190억원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45,000원[신규]
큐브엔터 (182360) (여자)아이들, 신곡 흥행 소식에 소폭 상승
▷지난 22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소속 걸그룹 (여자)아이들의 ‘Nxde’(누드) MV 조회수가 5천 만 뷰를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17일 발매한 미니 5집 ‘I love’(아이러브)의 타이틀곡 ‘Nxde’(누드)가 유튜브 조회수 5,000만 뷰(10월 22일 기준)를 넘어섰음. 한편, (여자)아이들은 신보 ‘I love’(아이러브) 발매 직후 타이틀곡 ‘Nxde’(누드)는 국내 음원 사이트 멜론, 지니, 벅스의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지난 19일에는 아이튠즈 톱 앨범(Top Album) 부문 전 세계 40개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