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hʐam⁵⁵ | garden (plot) | n | Achang (Longchuan) | Huang and Dai 92 TBL | 0522.28 | |
khʐam⁵⁵ | garden (plot) | n | Achang (Xiandao) | Huang and Dai 92 TBL | 0522.29 |
gh가 k와 f발음 둘다 동시에 나니까
gar은 과거 ghar
파르단 바르단 마르단 마단 마당
티베트-미얀마어 어원사전
1.7.1.4 Deori | ||||||
bari | garden [As.] | Deori/Deuri | Jacquesson 05 Deuri |
1.7.2 Northern Naga/Konyakian | ||||||
pəl | garden | *Northern Naga | French 83 | 493 | ||
1.7.2.2 Konyak-Chang | ||||||
ba | garden | n | Chang | Marrison 67 Naga |
Bodic
kor⁵⁵ ra⁵³ | garden (plot) | n | Cuona Menba | Huang and Dai 92 TBL | 0522.06 |
Tibetan
go¹³ ra⁵³ | garden (plot) | n | Tibetan (Batang) | Huang and Dai 92 TBL | 0522.03 |
Burmish | ||||||
khr | garden | *Burmese | Okell 71 |
마당과 어원이 같다.
ghat-->ghar
팥-->받-->발-->말-->마
우즈벡어
bo‘ston [보스턴]
명사 뜰, 마당, 정원, 공원
팟땅 밭땅
Central Loloish
bē³ | garden | Lisu (Central) | Fraser 22 | |||
be³³ | garden (plot) | n | Lisu | Huang and Dai 92 TBL | 0522.40 | |
bø⁴⁴ | (in compounds for the enclosed garden) | N | Lisu (Northern) | Bradley 94 Lisu |
가둔 감옥 울타리를 친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Tibeto-Burman (previously published reconstructions)
kram fence / garden *Tibeto-Burman Matisoff 03 HPTB 596
감금
Southern Loloish
khḿ fence Akha (Thai) Hansson 89 AHKP 377
khḿ fence Akha Hansson 89 AHKP 377
우리말 가두다는 말일까?
late 13c. (late 12c. in surnames), from Old North French gardin "(kitchen) garden; orchard; palace grounds" (Old French jardin, 13c., Modern French jardin), from Vulgar Latin *hortus gardinus "enclosed garden," via Frankish *gardo or some other Germanic source, from Proto-Germanic *gardan- (source also of Old Frisian garda, Old Saxon gardo, Old High German garto, German Garten "a garden," Old English geard, Gothic gards "enclosure"), from PIE root *gher- (1) "to grasp, enclose.
P.I.E 인도-유럽어 조어는 gher--> 길러 로 보인다.
길렀던 길렀음
den은 養 기를,양으로 보인다.
댱-->쟝-->양
댱-->량-->냥-->양
0.1 Tibeto-Burman (previously published reconstructions) | ||||||
laŋ | lift / raise | *Tibeto-Burman | Matisoff 03 HPTB | 599 | ||
2.1.2 Bodic | ||||||
2.1.2.1 Tibetan | ||||||
laṅ ba | rise | Tibetan (Written) | Marrison 67 Naga | |||
laŋ | rise / stand up | v. | Tibetan (Written) | Huang and Dai 92 TBL | 1567.01 | |
6.1 Lolo-Burmese | ||||||
6.1.1 Burmish | ||||||
laŋʼ | high raised frame, stage | Burmese (Written) | Benedict 76 WBur | |||
9 Sinitic | ||||||
9.0.1 Old Chinese | ||||||
di̯ɑng/i̯ɑng | lift, raise | Chinese (Old/Mid) | Karlgren 57 GSR | 720j |
enclose
1. (담·울타리 등으로) 두르다 2. 에워싸다 3. 동봉하다
기르다 키우다 역시 무시할 수 없네요.
Eastern Tani
jar-dʑi (kaː) raise vt Damu Sun J 93 Tani
프랑스어 jardin 자라든 grow up raise bring up
영어식 사고방식이면 가두다 이것은 오류일 수가 있네요.기르다 키우다 자라다 이 말이 더 적절해 보이네요.
뭉게구름이 생각나네요.^^
빛뭉게지다 빛이 분산되다는 뜻으로 보이긴 하네요.
앗.. 그것도 제가 세계 최초로 어원 밝힌 거에요.
뭉게 꾸르미 는 무지개 라는거에요. 볼리비아 quechua 말로 무지개를 kurmi . 라고 해쓰요.
가르미 가른다 나눈다 빛을 분산 나누는 것으로 보입니다.
@나비우스 앗. 그렇네요. 뭉게가르미. 가른다. 빛을 가른다.
@언두리 가비 가배 가위 바르다 part 나누는 것이죠.바르 바리 바이 배 분배
@나비우스 앗. 가르마 탄다 할 때 가르다 역시 나눈다 군요.
묶여 꾸르미. 묶여 있는건 무지개 색깔이죠. 꾸르미는 동전 꾸러미 처럼 또한 묶여 있는거고요.
꾸르미 그렇네요.세계최촙니다.^^ 축하합니다.생각해내기 몹시 어려운 말이네요.
방장님의 깊은 통찰과 강의로 많은 감명을 받아 아이디어가 계속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이건 제가 세계 최초로 밝힌거에요. 이젠 전 인류에게 헌납합니다. 짜잔.~! 휘모리 장단의 휘모리. 뭉게 구름 의 뭉게꾸르미 는 무지개 였다는 것.
인디언사전도 제대로 없으니 일반인에겐 더더욱 접근하기 어려운 일인 듯합니다.
아마존 접속해서 lakota dictionary 치면 쭈우욱 나옵니다. 고르면 되요.
제가 생각하는 강상원 박사의 강의 중에 이찌방 강의는 그 가베절.에 대한 강의 여쓰요. 설날 뭐 구정 신정. 이 명절은 중국과 항상 싸움의 소재가 되는데요. 외국 나간 유학생이나 이민자들이 고통스러울 꺼에요. 가베 절이 가서 뵈야 된다. 가베. 고향으로 가서 친척 부모 친구 들을 보러 가는 강의 . 산스크리트어 로 풀어주는데 명강의 라고 생각해요. 널리 퍼뜨려야 해요., 중국 학생들과 부딪치면서 스트레스 받을 한국 학생들이 누구나 볼 수 있게 사전으로 만들든지 해야 되요.
맨 위에 버마 말로 커잠.. 을 영어로 garden . 이라고 했는데요.. 이건 번역이 아니고 발음 그대로 버마 사람들이 옮겨 놓은거 아닌가요? 너무 비슷한데요?
이무기 도 제가 세계 최초로 어원 밝혔군요.. 무지개 를 미국 라코타 원주민 語 로 wigmunke. 히그뭉케 - 히무게 - 이무게 - 이무기. 라고 하죠. 폭풍우로 온 마당 가족들이 쓸려가 죽고 난 뒤 둥실둥실 뜬 무지개를 보면서 두려움에 떱니다. 무서운 이무기로 둔갑하는 순간이죠. 평소 잦은 소나기 후 무지개는 그렇게 이뻤는데 지금은 괴물로 보입니다.
세계 최초 어원 풀이 일본말 기모띠 도 제가 풀어쓰요. 미국 라코타 원주민 무지개 wigmunke - 히모게 - 이모게 - 이모지 -이모디 - 기모디 . 라고 외쳤어요. 너무 이쁜 묶어꾸러미 색깔에 뽕갔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