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 스무날만 지나면 추석입니다.
늘 한가위만 같아라 하며 마음 설레지만 사는 일이 어디 그런가요?^*^
명절은 사람을 두 종류로 나눕니다.
기다리는 사람과 기피하는 사람으로 말입니다.
나이를 먹는다는 게, 나눌 수 없다는 게, 먹고살기 힘들다는 게 문제인 셈이지요.
그 중에서 저는 나이는 왠지 먹고 싶지 않습니다. ^^*
주변에는 메밀벌처럼 어울리면서도 나이가 꽤 차이 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띠동갑을 훨씬 넘어 띠를 두 바퀴 돌 정도입니다.
늙어갈수록 나이를 따지지 말고 함께 어울리랬는데
저는
그동안 뭐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흔히 띠동갑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띠가 같으면서 나이가 12살이나 24살, 36살처럼
12배수로 차이 나는 경우를 이릅니다.
이 띠동갑을 사전에서 찾아볼게요.
다음에서 '띠동갑'을 찾으면, '자치동갑'의
잘못이라고 나옵니다.
'자치동갑'은 자칫하면 동갑이 될뻔한 나이 차이라는 뜻으로 한 살 차이를 이릅니다.
네이버에서
'띠동갑'을 찾아보면,
"흔히 12살 차이가 나는 경우에 태어난 해의 띠가 같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띠동갑이란 말의 본뜻은 이와
달리 한 살 차이를 가리키는 [자치동갑]을 뜻하는 말이다."
라고 나옵니다.
다음에서는 '띠동갑은 틀리고 자치동갑이 맞다'고 나와
있고,
네이버에는 '띠동갑을 쓰기는 하나 자치동갑의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띠동갑이
없습니다.
다행히 몇 년 전 한글날 뒤에 인터넷 사전에다 '띠동갑'을 올려놨습니다.
"띠가 같은 사람. 주로 12살 차이가 나는 경우를
이른다."고 풀어놨습니다.
어느 사전이 맞는지는 모르지만,
저는 '띠동갑'을 나이 차이가 12, 24처럼 12배수로 차이 나며
띠가 같은 경우에 씁니다.
명절을 앞두고 한 살 더 먹기 싫어 별걸 다 이야기하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